검색결과 필터

[전체] “다대포패총” 에 대한 검색결과 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서기전 2000년 후반으로 추정하고 있다. 은 비록 규모나 출토유물의 양은 적으나 뚜렷한 층위를 가진 유적으로, 신석기시대와 원삼국 내지 가야시대 두 시기의 문화를 잘 나타내주고 있다. 특히, 신석기시대의 문화층에서 검출된 각종의 토기조각은 남해안...
  • 다대포해수욕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모의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는 새로운 관광명소가 되고 있다. 매년 해변에서 열리는 부산국제록페스티벌과 다대포해넘이축제 등의 문화‧축제행사에 많은 방문객이 다녀가고 있다. 주변에는 해안 절경지인 몰운대(沒雲臺)가 있고, ‧다대포객사‧낙동강하류 철새도래지...
  • 대항리패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 조개미[蛤九味]에 있는 조개더미. [개설] 1981년 4월 11일에 전라북도 기념물 제50호로 지정되었으며 지정면적 3,484㎡에 이른다. 석래산(石來山, 244m)을 배경으로 하고, 변산해수욕장...
    이칭별칭대항리조개무덤|대항리조개무지|대항리조개더미

주제어사전(1)

  • / [역사/선사시대사]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에 있는 신석기시대와 원삼국시대 내지 가야시대의 조개더미. 낙동강구에 가까운 몰운대(沒雲臺)의 북쪽 끝부분에 있는 비교적 소규모의 유적지이다. 유적지의 현상은 바다에 면한 동서 양편이 오랜 기간동안 파도에 의해 상당부분이 붕괴된 상태이다. 특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