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능침전”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되, 전주(田主)가 수전(水田)은 1결당 백미 2두, 한전(旱田)은 황두(黃豆) 2두씩 국가에 납입해야 하는 세(稅)가 면제된 토지였다. 이러한 이 비록 ≪경국대전≫에는 보이지 않으나 실제로는 능원묘위전(陵園墓位田)의 이름으로 조선 말까지 존속되었으며,...
  • 용인군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 구성은 군계(郡界)ㆍ연혁(沿革)ㆍ군명(郡名)ㆍ방리(坊里)ㆍ도로(道路)ㆍ결총(結摠)ㆍ호구(戶口)ㆍ환총(還摠)ㆍ역도(驛賭)ㆍ풍속(風俗)ㆍ토산(土産)ㆍ고적(古蹟)ㆍ인물(人物)ㆍ각(殿閣)ㆍ사찰(寺刹)ㆍ성첩봉수(城堞烽燧)ㆍ산천명승(山川名勝)ㆍ선생안(先生案)ㆍ명환(...
    이칭별칭용인읍지(龍仁邑誌)
  • 통진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川)ㆍ연혁(沿革)ㆍ봉수(烽燧)ㆍ성첩(城堞)ㆍ각(殿閣)ㆍ명환(名宦)ㆍ충효열(忠孝烈)ㆍ고적(古蹟)ㆍ제영(題詠)ㆍ사찰(寺刹)ㆍ명승(名勝)ㆍ풍속(風俗)ㆍ인물(人物)ㆍ토산(土産)ㆍ사환(社還)ㆍ역토도(驛土賭)ㆍ결총(結摠)ㆍ호총(戶摠)ㆍ선생안(先生案) 등으로 되어 있다. ...
  • 안산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편찬위원회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연혁(沿革)ㆍ방리(坊里)ㆍ결총(結摠)ㆍ호구(戶口)ㆍ환총(還摠)ㆍ풍속(風俗)ㆍ고적(古蹟)ㆍ토산(土産)ㆍ인물(人物)ㆍ충신(忠臣)ㆍ효자(孝子)ㆍ열녀(烈女)ㆍ효부(孝婦)ㆍ명환(名宦)ㆍ(殿)ㆍ사찰(寺刹)ㆍ성첩봉수(城堞烽燧...
  • 파주군읍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9년에 편찬된 경기도 파주군(지금의 파주시)읍지. [내용]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장서각도서에 있다. 내용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ㆍ방리(坊里)ㆍ도로(道路)ㆍ고적(古蹟)ㆍ풍속(風俗)ㆍ각(殿閣)ㆍ공해(公廨)...

고서·고문서(4)

  • 각양석자무용가전 6,000양을 고창, 무장 두 군의 공전 중에서 속히 나용하라는 훈령.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宮內府의 照會에 따르면 현재 廟社殿宮, 各陵園山殿 내에 배열된 黃花席, 黃別紋席을 새로이 高敞, 茂長에서 만들고자 하는데 탁지부에서 감독 차로 派員主事 吳然淑을 특별히 내려 보내고 인근의 고을의 公錢 중에서 해당 비용을 마련하는 것을 허락하여 發訓한다 하였음. 그...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殿東間二檁以下方椽墜落.琉璃甎望瓦片一併脫落.將東邊陳設配椅一張·稍有掽損等語.殿宇.供奉神牌寶座.工程關繫重大.承修官員.宜何等小心.乃於購買木料時.未能敬謹採擇.輒以市賣杉松充用.致逾時窌榫𡮦朽.一經透雨.閒有脫墜.竟將殿內所設豫備安奉神牌之龍椅.稍有掽損.辦理玩忽已極.幸而脫墜之處係在東...
    출처전거『淸實錄』 仁宗睿皇帝實錄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以萬計畿右倉粟不足支一月又奏乞轉江淮米助經費仍請自省曹擇官㑹一路嵗費計其所不足仰給中都官朝廷從之爲嵗給二十萬緡謂之至今畿右頼之移知永興軍兼永興軍路安撫使治尙夷昜不務竒聲近効而民亦不敢犯雍人爲之立生祠召還爲吏部尙書給事中姚勔駮之改知眞定府兼眞定府路安撫使眞定公舊遊人聞其來也老穉迎者夾道自欒鄗屬邢...
    국가중국 | 서명계륵집 | 왕대숙종(肅宗)  7
  • (1849); 是歲七月之念止吟永一絶, 暮抵德街, 夜雨朝霽, 楸石洞, 茶野店買魚喚酒, 暮宿院谷, 途中九日有感, 學峴宗丈宗烋氏時宰寧城止因呈一絶, 登子規樓奉讀御藻不勝感愴, 觀風樓, 彰節祠, 莊陵祇謁, 奉讀莊陵誌, 靈泉(在), 次禁夢菴板上韻, 淸冷浦謁端廟遺墟碑止仍吟數絶,...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여러 왕릉·왕비릉의 수호 경비를 조달하기 위하여 각 능침별로 지급된 토지. 수조권자인 능침은 경작 농민으로부터 1결(結)당 30두(斗)의 조(租)를 거두어 들이되, 전주(田主)가 수전(水田)은 1결당 백미 2두, 한전(旱田)은 황두(黃豆) 2두씩 국가에 납입

  • 급정자각상량제진설도 공급귀인묘소사후사제동 / 殿及丁字閣上樑祭陳設圖 公及貴人墓所祠后士祭同 [정치·법제]

    왕릉 앞에 침전이나 정자각을 조성하고 상량제를 지낼 때 제물을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도. 공과 귀인의 묘를 조성하기 전에 올리는 사후토제(祠后士祭)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사후토제는 묘의 광중을 파기 전에 토지신에게 지내는 제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