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능마아청” 에 대한 검색결과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者)는 실직(實職)이면 교체하고, 금군 및 훈련원의 봉사 이하는 그 사일(仕日 : 근무일수)을 삭감하도록 한 것이다. 이같이 설치된 은 『속대전』에 산직청(散職廳)으로 정비되었다. 관원으로는 당상관 3인이 있었다. 그 중 1인은 훈련원의 도정이 예겸(例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무관에게 병학(兵學)을 고강(考講)하고 권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정의조선 후기 무관에게 병학(兵學)을 고강(考講)하고 권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Neungmaacheong | MR표기Nŭngmaach’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험(試驗), 병조(兵曹), 병법(兵法) 교육(敎育) 훈련원(訓鍊院) 도정(都正), 훈련원(訓鍊院) 습독관(習讀官) 산직청(散職廳) 능마아(能麽兒), 능마아강(能麽兒講), 훈련원(訓鍊院), 감생청(減省廳)
    상위어시험(試驗), 병조(兵曹), 병법(兵法) 교육(敎育) | 하위어훈련원(訓鍊院) 도정(都正), 훈련원(訓鍊院) 습독관(習讀官) | 동의어산직청(散職廳) | 관련어능마아(能麽兒), 능마아강(能麽兒講), 훈련원(訓鍊院), 감생청(減省廳)
  • 중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였다. 5군영의 중군은 번갈아 가며 병조 ()의 당상관을 겸하였다. 용호영의 중군은 금위별장을 겸하기도 하였으며, 금군별장과 함께 초관(哨官)‧교련관(敎鍊官)을 시취(試取)하였다. 훈련도감의 중군은 훈련도감의 마군(馬軍)과 보군(步軍)의 군...
  • 육전조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결속색(結束色)‧성기색(省記色)‧경생색(梗栍色)‧형방‧예방〕‧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세손위종사(世孫衛從司)‧도총부‧오위장(五衛長)‧부장(部長)‧훈련원‧()‧사복시‧내시(內寺)‧군기시〔장무색(掌務色)‧총계(銃契)‧화약계‧궁전색(弓箭色)‧별조색(別造色)‧...

연구과제(1)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무관에게 병학을 고강하고 권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1629년(인조 7) 1월 이귀·이서 등의 건의로 설치되어, 오위도총부·훈련원의 낭청·내삼청의 금군 및 여러 대장의 군관 등이 모두 학습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은 한 달에 여섯 차례의 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