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능고집”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것이 없다는 남시구의 글을 보고 부연한 것인데, 어릴 때부터 비루한 마음을 갖지 않도록 어른의 마음에 먼저 비루함을 없애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조선 후기의 학자 박신경의 시문집. 1910년 간행. 국립중앙도서...

단행본(1)

고서·고문서(2)

  • 卷1 詩 戲題, 題寄伯兒(漢述), 夏日睡罷偶吟, 登鳴 鳳胎峯有感, 苦雨呈南野兄, 喜晴用前韻, 輓金 九思退甫(樂行), 輓金芝谷扶仲(正漢), 輓大 山李景文(象靖幷序), 有感呈南野兄, 哀五馬, 族兄師仲(龍慶)有盆梅只結一子戲題小絶, 次 權汝炯三五七言, 草澗亭戲贈權君瞻彦丹彦平 ...
    분야문학 | 유형문헌
  • 天之曆數在汝躬,汝終陟元后。人心惟危,道心惟微,惟精惟一,允執厥中。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之德,庸久不釋,如直而溫,寬而栗。又不變,則執中也,非於人心ㆍ道心之間,察其幾而操其中。修道之工,欲純乎道心,豈可於二心之間,執其中乎?且《荀子》精一之語,本不與執中相干。彼是中庸之大訓,此是專壹之至戒。【且荀子之意,謂一而后精也,非謂精而后一】 然則人心ㆍ道心也,精一也ㆍ執中也,義理各殊,歸...
    권차명梅氏書平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능고 박신경의 문집. 석인본, 발:박주대(1909)‧박만진(1910). 6권3책. 권1는 시 54제 77수, 권2에는 서 11편과 서 3편, 기 5편, 발 3편이 실려 있다. 권3,4는 잡저로 <주서강록간보차의상>과 <주서강록간보차의하>가 수록, 권5는 <서론어문의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