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느티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5)
사전(349)
- 느티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따뜻한 곳에 분포하고 우리 나라‧일본‧대만‧중국에 분포하고 있다. 지난날 우리 나라의 마을에는 대개 큰 정자나무가 있었는데 정자나무로서 가장 뛰어난 기능을 발휘한 것이 느티나무였다. 그것은 수관(樹冠:나뭇가지나 잎이 무성함)이 크고, 고루 사방으로 퍼지고 짙은...
- 안변느티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강원도 안변군 안변읍에 있는 느티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203호. 느티나무는 안변군 당위원회와 행정경제위원회 청사 앞에서 자라고 있다. 느티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화강암지대에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고...
- 안악느티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남도 안악군 금강리에 있는 느티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150호. 느티나무는 안악읍에서 동쪽으로 약 12㎞ 떨어진 오룡산 기슭의 금강리 마을 가운데 있다. 북쪽에는 오룡산 줄기가 뻗어 내리고 남쪽에는 논밭과...
- 만월대느티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개성직할시 송악동에 있는 느티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381호. 느티나무는 고려시대 왕궁터였던 만월대 앞을 지나 서쪽으로 약 300m 정도 떨어진 길 옆에 있다. 느티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화강암지대에 생긴...
- 석담느티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남도 벽성군 석담리에 있는 느티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129호. 느티나무는 석담 명승지를 거슬러 흐르는 구곡천 기슭에 있다. 뒤에는 오랜 유적지인 소현서원이 있고 앞에는 휴양소 건물들이 자리잡고 있다. 이...
고서·고문서(19)
- 룡담산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성터, 느티나무, 풍산고, 설풍, 설음, 봄, 앙상한가지, 풍상, 휘망, 웃음, 새음, 이슬대표표제어룡담산 | 성씨한
- 朝鮮文學讀本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朝鮮文學讀本 卷一 朝鮮文學讀本_卷一 夜宴 春城 盧子泳 1938 조선일보출판부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제강점기 사찬독본 한국어 앞뒤山이 이마를 맞댄 山峽 내가 자란 帆石里는- 밤이면 수무나무와 느티나무 그늘밑에 누리는 漆黑이 되어 한치앞을 볼수 없다. 관...서명朝鮮文學讀本 | 자료명夜宴
- 1913년 안동군 녹전면(祿轉面) 사신동(四新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頭(솔머리), 佳野, 新安, 都致谷(도치), 於色(어서기, 어시기, 어석리), 安知(앗재, 안재), 胎峯 등의 자연마을이 있다. 송두에는 수령이 700년 된 느티나무(천연기념물 제275호)가 마을의 당나무로 자리잡고 있으며, 마을의 안녕을 위해 매년 동제를 지낸다.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현소장처안동시청
- 1913년 안동군 녹전면(祿轉面) 사천동(沙川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북서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砂器幕(사그막), 艮川(가르내) 등 자연마을이 있다. 사기막은 고려시대에 이 곳에 사기점이 있었다고 하여 칭해진 이름이다. 사천리 느티나무 군락지에서 남쪽으로 100m쯤 언덕 위에 塞泉亭이 남아 있다. 1913년 현재 사천동에는 姜氏, 權氏,...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현소장처안동시청
- 철도 관사 대침수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시 용산의 철도청 관사는 1층 천장까지 물이 찼고, 용산역의 열차가 물에 잠겼다. 또한 뚝섬에 샛강이 생겨 신천(新川)이라는 지명이 생겼고, 지금은 자취를 감춘 피수대(避水臺)의 느티나무 윗가지까지 물이 찼다. 경성, 용산, 수해, 대홍수, 을축년 일본어 김...자료명철도 관사 대침수 | 발행처內田寫眞舘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8)
- 마을의 느티나무 제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마을 분들과의 대화를 통해, 조사장소였던 우금2리에 원래 커다란 괴화나무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마을 분들은 괴화나무를 느 티나무라고도 부르는데, 그와 관련된 이야기가 없는지 묻자 구연하셨다.조사일시2010. 1. 30(토) | 조사장소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우금2리 544 우금2리 마을회관 | 제보자조찬묵
- 숲거리 느티나무 환각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이어 이영하 선생의 숲거리 느티나무 이야기를 옆에서 듣고 있던 박영국씨가 되받아 구연하였다. *조사일시1983-05-24 | 조사장소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 제보자박영국
- 후방에 선 남성들의 전쟁 경험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다. 무기창고로 사용하던 느티나무 폭격으로 마을이 불바다가 되기도 하였다. 구연자가 아버지만 두고 피난 갔다가 아버지를 잃었다. 전세가 역전되자 어린 인민군 패잔병을 숨겨주고 취 직도 시켜주었다. 인민군들이 퇴각하면서 한국군 군복을 빼앗아 입고 대한청년단원들을 살해했다조사지역경기 구리 | 조사일2014년 2월 12일
- 큰 나무 거인신의 거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무 큰 거 있잖아. 거기 살고 있어. 거인이 거기 살고 있어.] [조사자: 아 거인이 큰 나무에 산다고?] [청자1: 한국에도 그거 있는데.] [조사자: 느티나무?] [청자1: 아카시아인가?] [조사자: 아카시아는 안 큰데?] [청자1: 아니야, 아카시아나무 아니고.]국가필리핀 | 제보자마이린 [필리핀, 여, 1975년생, 결혼이주 7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김경복 서도소리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녹음목록A면1) 섬마타령1 (06:45-08:30) 소리 김경복 가사 \"선들 선들/ 저 느티나무/ 농민을 따라서/ 선경자라/ 에헤야 에헤야 섬마나 섬섬 내 사랑아/ 김매러 가서/ 김매러 가서/ 사리천 밭을/ 김매러 가세/ 에헤야 에헤야/ 섬마나 섬섬 내 사랑아\"2)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경복
신문·잡지(16)
- 도라지_1994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58 젊은 느티나무 강신재 64 추억의 이름으로 유홍종 73 도라지 회관 95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4
- 조선출판경찰월보 078호 조선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당겼다. 느티나무의 그늘에서 자고 있어도 땀이 코끝을 흐르는 중복(中伏)의 더위였다. 한증막을 #하는 그들은 보리 깔개 위에서 한바탕 하고 났을 때는 온몸은 삶은 호박처럼 됐다. 여자는 이(李) 주사(主事)가 하라는 대로 아버지의 명령인 것처럼 듣고 있었지만 더는...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78호 조선일보 | 출판물명조선일보(朝鮮日報) 1935년 2월 5일
- 장백산_1988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82 단국왕검 장춘식 84 늙은 느티나무 류흥식 97 동굴속의 향연 고신일 111...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8
- 도라지_1996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랑을 키우는 느티나무 안재식 59 갈매기 소녀 김광채 63 두 정승 윤한식 68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6
- 송화강_1990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리재춘 45 느티나무 아래서 김창희 45 박우물 리상학 46 한 시인에게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0
기타자료(13)
- (교육동화) 느티나무가 본 아이들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동화) 느티나무가 본 아이들 (교육동화) 느티나무가 본 아이들 교육 문헌 초등교육 학생생활 초등교육 교사문화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상삼 | 사료철명문교경북
- (교육동화) 느티나무가 본 아이들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동화) 느티나무가 본 아이들 (교육동화) 느티나무가 본 아이들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상삼 | 사료철명문교경북
- (권두시) 느티나무에 대하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권두시) 느티나무에 대하여 (권두시) 느티나무에 대하여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현암 | 사료철명충북교육
- 1.적칠문관목주자(赤漆文灌木厨子)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그 안에는 쇼무천황의 곁에 둔 물품이 들어있었다. 적칠문관목주자는 “백제국왕 의자왕이 내대신에게 붉게 옻칠한 느티나무 주자[廚子]를 보냈다(赤漆槻木廚子一口 右百濟國王義慈進於內大身)”는 기록을 통해 백제 의자왕 또는 의자왕 때의 하사품으로 추정된다. 느티나무로 만들어졌으...대표표제어1.적칠문관목주자(赤漆文灌木厨子) | 주제분류정창원 고대물품
- 부여 정각리 갓점골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지 3. 정각리 갓점골 백자 요지 4. 능산리 입수유적 5. 가탑리 토기산포지 6. 중정리 당산기슭 유물산포지 7. 중정리 밤성골 유물산포지 ・사진 / Ⅴ. 정각리 갓점골 돌무지 유적 민속조사 1. 정각리 절골 탑 2. 갓점 느티나무 신목 3. 갓점 들돌 ・사진 /...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재)충청매장문화재연구원/대전지방국토관리청 | 발굴지역충청남도
주제어사전(44)
-
느티나무 / Zelkova serrata MAKINO [과학/식물]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높이는 26m, 지름은 3m에 이르며, 가지가 고루 사방으로 자라서 수형이 둥글게 되는 경향이 강하고 수피는 비늘처럼 떨어진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잎 끝이 좁고 가장자리에 뚜렷한 톱니가 발달한다. 꽃은 1가화
-
교가리느티나무 / 交柯里─ [과학/식물]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교가리에 있는 느티나무. 강원도 기념물 제14호. 높이는 10m, 가슴높이의 둘레 9m에 이르는 거목으로 옛 장터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나무의 나이는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약 2,200년으로 추정한다. 옛날에는 주위에 큰 나무가 많이 있었고
-
긴잎느티나무 / Zelkova serrata var. longifolia Nakai [과학/식물]
느릅나무과 느티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표고 1,200m 이하의 전국에 분포한다.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이다.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리에 소재하는 긴잎느티나무는 천연기념물 제95호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긴잎느티나무는 느티나무의 한 변종으로
-
만월대느티나무 / 滿月臺─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개성직할시 송악동에 있는 느티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381호. 느티나무는 고려시대 왕궁터였던 만월대 앞을 지나 서쪽으로 약 300m 정도 떨어진 길 옆에 있다. 느티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화강암지대에 생긴 충적토이고 모래메흙이며 거름기와 습기는
-
봉진느티나무 / 鳳進─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황주군 삼훈리에 있는 느티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170호. 느티나무는 긴동역에서 동쪽으로 약 10㎞ 정도 떨어진 봉진동 마을 어귀의 산기슭아래에 독립수로 있다. 느티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산림밤색 토양이고 메흙이다. 봉진느티나무는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