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느릅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3)
사전(88)
- 느릅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내용] 한자어로는 분유(枌楡)‧가유(家楡)라고 한다. 학명은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이다. 나무높이는 15m, 지름은 70㎝에 이른다. 원줄기가 곧게 자...이칭별칭분유(?楡)|가유(家楡)
- 김화당느릅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강원도 김화군 김화읍에 있는 당느릅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456호. 당느릅나무는 김화읍에서 동남쪽으로 약 1㎞ 떨어진 금천강 기슭에 있다. 나무 앞에는 남동쪽으로 흘러가는 금천강이 있고 강기슭으로부터 김화읍까지 논밭이 펼쳐져 있다....
- 삼척하장면의느릅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갈전리에 있는 느릅나무. [내용] 천연기념물 제272호. 나무의 높이는 31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는 3.4m로서, 나무의 나이는 약 2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나무에는 매년 왜가리가 와서연계항목삼척하장면의느릅나무(三陟下長面의느릅나무)
- 사훤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불’을 의인화한 것이다. 가상국인 원나라에서 느릅나무나버드나무 따위를 부벼서 불을 일으켜 근신들에게 나눠주는 임무를 담당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무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왕느릅나무의 종자를 가공한 약재. [효능 및 기능] 이 약은 ≪신농본초경 神農本草經≫에서부터 약으로 쓰기 시작하였으며, 느릅나무의 종자를 쓴다고 하여 유무이(楡蕪夷)라고도 한다. 약효성분으로는 탄닌산‧당정유
고서·고문서(35)
- 楡岾寺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당도하엿네 긔구험로 좁은 길노 올나가 보니 그 아래에 지은 뎐각 화려하도다 [ (2.) ] 珠簾 畫閣 重重疊疊 一帶村이요 數百餘 名 諸僧들의 修道處일세 奇異하다 五十三佛 坐定한 곳은 殿閣 안에 느릅나무 걱구로 셧네구분창가 | 편저자鄭敬惲
- ○휘(煇)와 함께 여막을 지켰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머물렀다. 노(奴)가 분묘의 머리 쪽 끊어진 두둑을 다듬었다. ○용인(龍仁) 형수가 유토궤(柳土簣) 12개, 느릅나무 껍질 2속(束)을 보냈다. 들으니 효성(孝誠)의 아내 효성(孝誠)의 아내 : 이문건의 중형 忠楗의 딸을 가리킨다. 이충건의 딸이 金孝誠과 혼인했으므로,...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휘(煇)와 함께 여막을 지켰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수영(守英)‧막산(莫山)‧석만(石萬) 등이 느릅나무 뿌리를 캐서 주었다. 二十七日癸未, 陰欲雨。 二十七日癸未, 陰欲雨。 ○與煇共守廬。○濟翁兄以石灰價租二石畢送。卽付允山家, 使舂正。○奴輩篩黃土及石灰。○夜叉、衆伊等輸炭十石, 暮還。朴諫氏到其處, 以長木十二介載二牛委送,...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유졈사가(棆岾寺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修道處)일세 긔이(奇異)하다 오십삼불(五十三佛) 좌뎡(座定)한 곳은 뎐각(殿閣) 안에 느릅나무 걱국로 섯네 [ 三, ] 노(老)―승(僧)의 전(傳)하는 말 자세(仔細) 드르니 아홉 룡(龍)이 거(居)하던 곳 분명(分明)하도다 굉장(宏壯)하다 무연뎐각(無煙殿閣) 그 가온...구분창가 | 편저자정경운
- 1913년 안동군 길안면(吉安面) 송사동(松仕洞) 토지조사부(土地調査簿)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가 많아 붙여진 명칭이라는 이야기도 전한다. 재일은 이 마을을 개척한 선비가 재동(才童)이 많이 배출되길 바라는 뜻에서 붙인 것이라고 한다. 홈다리는 나무로 만든 홈(논에 물을 댈 때 이용하는 것)으로 사람이 계곡을 건너 다녀서 붙여진 명칭이라고 한다. 느릅실은 느릅나...내용분류경제-농/수산업-토지대장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토지대장 | 현소장처안동시청
신문·잡지(6)
- 은하수_1991_11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우리는 우리대로-몇몇 인테리녀인들의 내심독백 손효빙 34 고향의 느릅나무 김은철 36 나약 장봉주 4...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1
- 장백산_1986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조약돌 김문학 134 샘물 김일권 135 지게 외 김기덕 136 느릅나무 외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6
- 교원신문_1950_0410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보장하기위하여 학원에서 테득한 학리를 실지 식수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연구적인 노력을 다하는 동시에 상호 검열을 전개하면서 예정한 느릅나무 220,000본의 식수를 완료하였다. 이 특화운동을 계기로하여 생물학써클학생들은 평양시 전체 공원에 있는 수목들을 종별로 세밀히 조...대표표제어교원신문_1950_0410_02 | 날짜1950년 4월 10일 | 책임주필김한성
- 신여성_1931_05_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느릅나무 그늘지면 신형철 77 신한잡초 81 불만한 그들의 사랑 민봉호 82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1
- 동북후비군_2002_37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을 재배하여 하유주, 강은국 56 느릅나무버섯으로 치부 염옥걸, 양영강, 호지강 56 소똥으로 닭을 쳐 조덕우 56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2002
멀티미디어(1)
- 15세기 중반 느릅나무껍질[楡皮] 지리 제도 근현대 경제 물산 분포도 패턴도 전국 군현 1:4,000,000 15세기 중반 O/X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없음 경제_461_약재_15세기_중반_느릅나무껍질[楡皮]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기타자료(3)
- 당나라 摠管 설인귀가 신라 문무왕에게 보낸 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웃고 이야기하면서 군사문제를 함께 의논하여 기일을 정해 응원하기로 하고 하루아침에 군사를 크게 일으켜서 바다와 육지에서 날카로운 기세를 떨쳤습니다. 이 때 변방의 풀에 꽃이 피고 느릅나무 楡 : 옛날 중국의 변경지방에는 느릅나무를 심었으므로, 여기서의 느릅나무는 변경지...대표표제어당나라 摠管 설인귀가 신라 문무왕에게 보낸 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 보령댐 수몰지구 도요지 발굴 조사 보고-용수리 3호 백자요지 발굴조사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적 파괴가 예상되었다. 개간된 경작지에는 은행나무 묘목과 호두나무, 그리고 느릅나무 등이 빽빽하게 심어져 있었으며, 은행나무 두 그루가 두 곳의 가마폐기물 퇴적 위에 심어져 있어 유적 파괴가 상당히 진행되어 있었다. 노출된 지표는 남북으로 세 개의 농로가 형성되어 있었...발행연도1996 | 발굴기관한국수자원공사/해강도자미술관 | 발굴지역충청남도
- 당 설인귀가 임윤법사(琳潤法師)에가 편지를 위임하여 신라왕에게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육지에서 날카로운 기세를 떨쳤습니다. 이 때에 변방의 풀에 꽃이 피고 느릅나무에 새 열매가 맺혔습니다. 지난 번 황제께서 직접 참여하신 전투에서 문제(文帝)께서 몸소 나가 백성들을 안부를 묻고 불쌍한 사람을 진휼하였으니, 이는 의로움이 깊음을 보여주신 것입니다. 얼마...대표표제어당 설인귀가 임윤법사(琳潤法師)에가 편지를 위임하여 신라왕에게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1(辛未/신라 문무왕 11/唐 咸亨 2/倭 天智 10)
주제어사전(15)
-
느릅나무 /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과학/식물]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한자어로는 분유(枌楡)·가유(家楡)라고 한다. 학명은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이다. 나무높이는 15m, 지름은 70㎝에 이른다. 원줄기가 곧게 자라서 많은 가지를 내어 둥근 수형(樹形)을 이룬
-
김화당느릅나무 / 金化唐─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강원도 김화군 김화읍에 있는 당느릅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456호. 당느릅나무는 김화읍에서 동남쪽으로 약 1㎞ 떨어진 금천강 기슭에 있다. 나무 앞에는 남동쪽으로 흘러가는 금천강이 있고 강기슭으로부터 김화읍까지 논밭이 펼쳐져 있다. 느릅나무가 자라
-
시무나무 / David Hemiptelea [과학/식물]
느릅나무과 시무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꽃은 4∼5월에 피며, 수꽃과 양성화가 한 그루에 같이 핀다. 열매는 6월에 익어 8∼9월까지 붙어 있다. 다른 느릅나무속 식물들에 비해 열매가 비대칭이고 종자에 날개가 한쪽에만 달리며 긴 가시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
비술나무 / Dwarf Elm|Siberian Elm [과학/식물]
느릅나무과 느릅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비술나무는 느릅나무과의 큰키나무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몽골, 극동러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주로 중부 이북의 평지 및 하천 주변에 분포하지만 지리산, 백양산 등 남부지역에도 드물게 자란다. 3∼4월에 잎이 나기
-
삼척 갈전리 당숲 / 三陟 葛田里─ [과학/식물]
강원도 삼척시 하장면 갈전리에 있는 느릅나무. 천연기념물 제272호. 나무의 높이는 31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는 3.4m로서, 나무의 나이는 약 2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나무에는 매년 왜가리가 와서 새끼를 치기 때문에 서낭당목으로 추앙받고 있어 주민들이 정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