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누판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
사전(28)
- 누판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판의 소장처와 완결(刓缺 : 글자가 닳아 없어짐.) 여부, 인지수(印紙數) 등을 포함한 간결한 해제를 달고 있다. 그러므로 ≪누판고≫는 정조조 전후에 전국에서 판각된 책판에 대한 서지자료로서 그 가치가 높이 평가될 뿐 아니라, 당대의 출판문화 사정과 우리 나라...
- 누판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정조 때 서유구(徐有榘, 1764-1845)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책판(冊板)의 목록.정의조선 정조 때 서유구(徐有榘, 1764-1845)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책판(冊板)의 목록.[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Nupan-go | MR표기Nup’an’g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교남책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루 수집하여 소장한 개인장서의 목록인 동시에 영남 각 지방의 책판목록이다. 책머리에 기록된 ‘계묘정월일(癸卯正月日)’은 이 책에 수록된 책록과 ≪누판고 鏤板考≫의 책록을 비교하고, 또 성대중의 생존연대를 아울러 고찰하면 1783년(정조 7) 계묘로 추정된다. ...
- 삼운보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누판고(鏤板考)』에 의하면, 울산과 충청남도 이성(尼城)의 노강서원(魯岡書院)에 책판이 소장되어 있다고 한다. 거기에 기록된 인지(印紙)의 분량으로 미루어서, 현재 널리 유포된 책은 울산판이며, 이성판은 울산판의 절반 크기의 책으로 추정된다. 『누...
- 서원판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서원에서 개판한 서적의 종류 수가 얼마나 되는지는 전체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없어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1796년(정조 20) 서유구(徐有榘)가 편찬한 ≪누판고 鏤板考≫가 있어, 한정된 시기의 것이기는 하나, 이것을 통하여 17∼18세기 우리 나라 서원...
고서·고문서(2)
- 누판고(鏤版考)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출판/인쇄 | 형식분류고서-서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누판고(鏤板考)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출판/인쇄-서목 | 형식분류고서-서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신문·잡지(1)
- 춘추_1941_1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22 광고10 124 편지부칠 때 주의할 일 128 누판고를 독함 창해학인...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1
연구과제(1)
-
조선시대 전라도의 출판문화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김소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3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3)
-
누판고 / 鏤板考 [종교·철학/유학]
조선 정조 때 서유구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책판목록. 7권 3책. 필사본. 편성체재는 먼저 어찬·어정의 2문을 별치하여 왕의 친저서와 명찬서를 열거한 다음, 사부분류법을 택하여 분류하였는데, 각 부별로 세분된 유문과 수록된 판본 수는 다음과 같다. 경부 8류 2속에
-
교남책록 / 嶠南冊錄 [언론·출판/출판]
지방의 책판목록이다.책머리에 기록된 ‘계묘정월일(癸卯正月日)’은 이 책에 수록된 책록과 『누판고 鏤板考』의 책록을 비교하고, 또 성대중의 생존연대를 아울러 고찰하면 1783년(정조 7) 계묘로 추정된다.수록범위는 대구·경주·예안·선산·용궁·영천·현풍·고령·의흥·청송·성
-
남당집 / 南塘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한원진의 시문집. 본집 38권 19책, 습유·부록 6권 3책, 합 44권 22책. 목판본. 『남당선생문집습유』·『남당선생연보』·『남당경의록』 등 각기 별행본으로 유포되었던 것을 합해 출간한 것이다. 본집 38권은 1769년에 간행된『누판고』와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