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누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9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65)
사전(518)
- 누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마루바닥을 지면에서 한층 높게 지은 다락식의 집. [내용] 누각(樓閣)과 정자(亭子)를 함께 일컫는 명칭으로서 정루(亭樓)라고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신증동국여지승람≫ 누정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樓)...이칭별칭정자
- 누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3정1호제(三丁一戶制)의 원칙에 의해 편성되었다. 이는 하나의 자연가호내에 다수의 인정이 기거하고 있을 경우 적절하게 군정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자연히 많은 누정을 야기시키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1459년(세조 5)에 호패법(號牌法)이 다시 실시되고...
- 누정(樓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누정 누정 樓亭 누각(樓閣), 누대(樓臺) 대각(臺閣) 정사(亭榭), 정자(亭子) 문화예술/건축 건축 조선 조선 이해준 [정의] 누각(樓閣)과 정자(亭子)의 줄인 말로...관련어누각(樓閣), 누대(樓臺) 대각(臺閣) 정사(亭榭), 정자(亭子)
- 보산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보룡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누정. [내용] 고려 공민왕 때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낸 박정(朴頲)이 간신배로 인하여 조정이 어지러워지자 낙향하여 세운 정자이다. 1375년(우왕 1)에 건립되었으며, 이곳에...
- 망미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자강도 강계시 부창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누정. [내용] 정면 3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합각지붕건물. 1436년(세종 18)에 처음 짓고, 1837년(헌종 3)에 고쳐지었다. 압록강의 지류인 독로강(禿魯江) 기슭...
고서·고문서(350)
- 교남누정시집(嶠南樓亭詩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邾婁定公之時,有弒其父者。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940 喪禮外編 卷二 ITKC_MP_0597A_0940_020_0070 邾婁定公之時,有弒其父者。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권차명喪禮外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樓亭閒燕之觀,亦城邑之所不能無者。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320 牧民心書 卷十二 ITKC_MP_0597A_1320_010_0030 樓亭閒燕之觀,亦城邑之所不能無者。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권차명牧民心書 卷十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漢馮異謝賜珍寶錢帛,諭以蕪蔞亭豆粥滹沱河麥飯厚意,久不相報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0950 漢馮異謝賜珍寶錢帛,諭以蕪蔞亭豆粥滹沱河麥飯厚意,久不相報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남산(南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3992 B033992 남산 南山 산악 輿地圖書 平安道 三和府 樓亭 樓亭不波樓(在府衙之傍) 雙比亭(在府南山二里)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6)
- 누정기에 나타난 하동 누정의 공간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70434 한국연구재단 남명학연구소 2012 누정기에 나타난 하동 누정의 공간인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내포 지역 누정문학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재숙, 게재일 : 201665555 이재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6 내포 지역 누정문학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6
- 한국전통누정(樓亭)의 비실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지은, 게재일 : 201143656 김지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한국전통누정(樓亭)의 비실체성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유형논문 | 게재일2011
- 16세기 누정의 공간적 특성과 樓亭題詠의 문학사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862164 한국연구재단 우리어문학회 2008 16세기 누정의 공간적 특성과 樓亭題詠의 문학사적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유형논문 | 게재일2008
- 누정 현판의 심미사유 내원 고찰-함양 화림동 누정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구교현, 게재일 : 201716025 구교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문화학회 2017 누정 현판의 심미사유 내원 고찰-함양 화림동 누정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20)
- 본人의老親이去乙未分以銀貨一千兩貰居于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人의老親이去乙未分以銀貨一千兩貰居于北署大安洞四十一統六戶閔泳憲家고辛丑至月分紙貨一千五百兩而以三千五百兩仍爲영買而家價加五百兩不爲推去更欲相持故로今春屢呈漢裁所閔氏自知理屈半年終不出頭依法律缺席裁判決書영爲妥案出板之際에更考漢府文案則光武二年統首老親名下細書無券立旨去니雖未知何許欲巧凶人所...게재일1905년 10월 25일 | 기사분류광고
- 본人의老親이去乙未分以銀貨一千兩貰居于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人의老親이去乙未分以銀貨一千兩貰居于北署大安洞四十一統六戶閔泳憲家고辛丑至月分紙貨一千五百兩而以三千五百兩仍爲영買而家價加五百兩不爲推去更欲相持故로今春屢呈漢載所閔氏自知理屈半年終不出頭依法律缺席裁判決書영爲妥案出板之際에更考漢府文案則光武二年統首老親名下細書無券立旨去니雖未知何許欲巧凶人所...게재일1905년 10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 본人의老親이去乙未分以銀貨一千兩貰居于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본人의老親이去乙未分以銀貨一千兩貰居于北署大安洞四十一統六戶閔泳憲家고辛丑至月分紙貨一千五百兩而以三千五百兩仍爲영買而家價加五百兩不爲推去更欲相持故로今春屢呈漢裁所閔氏自知理屈半年終不出頭依法律缺席裁判決書영爲妥案出板之際에更考漢府文案則光武二年統首老親名下細書無券立旨去니雖未知何許欲巧凶人所...게재일1905년 10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本人의老親이去乙未分以銀貨一千兩貰居于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本人의老親이去乙未分以銀貨一千兩貰居于北署大安洞四十一統六戶閔泳憲家而至庚子年以一千五百兩仍爲△買相約幸丑分紙貨一千五百兩送之換券矣러니只浂標家舍價二千兩內一千五百兩捧受印則雖△約外나甲辰年分浂五百兩不受乙巳春의又送不受屢欲相持은無他事而家價高謄之致也不可不屢呈漢裁所閔氏自知理屈고終不出頭故執行...게재일1905년 11월 17일 | 기사분류광고
- 조선_1939_28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明治년간 朝鮮關係文獻抄錄(補遺其一) (三) 樓井義之 85 彙報 101 기사분절 道知事會議開催さる, 101 各道農村振興課長會議, 101 學校敎員に武道奬勵...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9
멀티미디어(56)
- 누정(樓亭)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누정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1 시계열 통합 루/정/기타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여지도서; 대동지지 없음 문화_057_누정(樓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여지도서; 대동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이름이 같은 누정(樓亭) 지리 제도 근현대 문화 누정 분포도 점묘도 전국 군현 1:4,000,005 시계열 통합 자료명/중복 수 없음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여지도서; 대동지지 없음 문화지도유형분포도 | 자료원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여지도서; 대동지지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김영호 교수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한국의 누정은 관련 기록이 삼국시대부터 보이며, 조선시대 누정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이는 사대부들의강좌제목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 강의자안세현 교수, 안득용 교수, 백진우 교수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한국의 누정은 관련 기록이 삼국시대부터 보이며, 조선시대 누정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이는 사대부들의강좌제목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 강의자안세현 교수, 안득용 교수, 백진우 교수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한국의 누정은 관련 기록이 삼국시대부터 보이며, 조선시대 누정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이는 사대부들의강좌제목한국의 누정과 누정문화 | 강의자안세현 교수, 안득용 교수, 백진우 교수
기타자료(5)
- 최재창;崔在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2688 북한 평남 평양광성고등보통학교 3-01 光成 제2호 1925―04―18 157면 1. 금년도 졸업생일람표(제5회) 無順 최재창;崔在昌 평양부 누정 128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광성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동래 명장동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의 규모라 약 14.5평의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기단석과 온돌이 시설되지 않은 누정 형식의 건물이다. 2호 건물지는 4.6m x 3.5m의 규모로 약 5평의 면적으로 기단석과 온돌이 모두 시설되어 있으며, 상부에 기와가 전혀 함몰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초가로 추정된다....발행연도2005 | 발굴기관경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부산광역시
- 신라가 당에 보낸 질자와 학생 등이 귀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巨海洪波 浩浩萬里 一葦濟涉 不越五旬 如鳥斯飛 屆于東國 王事斯畢 迴㯭累程 潮退反風 征帆阻駐 未達本國 恐懼在舟 夜耿耿而罔爲 魂營營而至曙 (…) 介副相失 舟楫差池 毒惡相仍 疾從此起 扶持歸國 (「王文幹 墓誌銘」: 唐代墓誌滙篇)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보낸 질자와 학생 등이 귀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40년(庚申/신라 문성왕 2/발해 이진 11 咸和 11/唐 開成 5/日本 承和 7)
- 당 현종이 신라 성덕왕에게 보낸 勅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나온다. 等到 縁事緒未及還期 忽嬰疹 疹 : 全唐文』에는 瘵로 나온다. 疾 遽令救療 而不幸殂逝 相次數人 言念殊鄉 載深軫悼 想卿聞此 良以增懐 然死者生之常 固其命也 固當理遣 無以累情 秋初 秋初 : 全唐文』에는 初秋로 나온다. 尚熱 卿及首領百姓以 以 : 全唐文』에는...대표표제어당 현종이 신라 성덕왕에게 보낸 勅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 강원감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간)과 누정은 청음정, 부평각(6간), 봉래각(6간) 등의 건물이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 하층의 일부 확인된 건물지는 위의 기록에서 보여지는 18세기의 건물들 보다 이른 시기의 건물들로 여겨지는데 정확한 건물지의 성격을 알 수 없다. 다만 출토유물 중 자기류 중에서 분...발행연도2001/04 | 발굴기관강릉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강원도
연구과제(1)
-
고려시대 관동 유람과 문화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창현 | 고려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31)
-
누정 / 漏丁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군적 편성시 정남으로 군적에서 빠진 정호, 또는 군적에서 고의로 정호를 빠뜨리는 행위. 조선 세조 이전의 군호는 자연가호를 중심으로 3정1호제의 원칙에 의해 편성되었다. 이는 자연히 많은 누정을 야기시키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1459년(세조 5)
-
거연정 / 巨然亭 [예술·체육/건축]
북한의 행정구역상 자강도 강계시 남산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누정. 정면 3칸, 측면 2칸의 합각지붕건물. 군사기술을 연마하던 사정(射亭)으로, 지금의 건물은 1890년에 세운 것이다.
-
괘궁정 / 掛弓亭 [예술·체육/건축]
북한 양강도 혜산시에 있는 조선후기 혜산진성 남문의 문루였던 누정.북한문화재. 조선시대의 누정으로 정면 3칸(9.45m), 측면 2칸(6.1m)의 익공식(翼工式) 합각지붕건물이다. 둘레에는 10개의 긴 기둥을 세워 1·2층 기둥을 겸하게 하였고, 가운데는 기둥을 세우
-
향산별곡 / 香山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이 작품은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330구이며, 국한문혼용체로 되어 있다. 음수율은 3·4조가 주조를 이루며 3·3조, 2·4조, 4·4조 등도 드물게 보인다. 묘향산의 뛰어난 경치와 사찰·누정(樓亭)·암자·사적 등 경치 좋
-
지례군읍지 / 知禮郡邑誌 [지리/인문지리]
어 있다. 내용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성씨(姓氏)·산천(山川)·풍속(風俗)·방리(坊里)·호구(戶口)·전부(田賦)·군액(軍額)·성지(城池)·임수(林藪)·창고(倉庫)·봉수(烽燧)·학교(學校)·단묘(壇廟)·불우(佛宇)·공해(公廨)·누정(樓亭)·도로(道路)·교량(橋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