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누선” 에 대한 검색결과 2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1)

사전(5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다락을 설비한 조선 후기의 전선(戰船). [내용] ≪각선도본 各船圖本≫ 중의 전선도는 바로 이 을 그린 그림이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중국 사신이 내왕할 때 평양 대동강에서 뱃놀이하면서 탄 배도 이라 하고 있으나(中宗實錄 卷84...
  • TD_P2_D_0067 운송도구 萬隻, 大破, 扶餘都督府 唐高宗顯慶五年 百濟 蘇定方 羅史 D_20_01_105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10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10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군사·국방/병기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강신엽 [정의] 상갑판 위에 다락을 갖춘 배. [내용] 은 일반적으로 다락을 설치한 배를 통칭하지만 구체적으로는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971 제도 () 층루(層樓)나 망루(望樓)가 있는 배. 다락배라고도 하는데, 전투용과 놀이용이 있다. 『고려사』에는 태조 때 10여 척의 대선(大船) 갑판 위에 누노(樓櫓)가 있으며 말을 달릴 수 있다고 하...
    유형분류제도
  • 국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통신사 일행이 탄 배가 조선 국왕의 국서(國書)를 받들고 오사카의 요도가와[淀川]를 지나는 장면의 그림.
    정의통신사 일행이 탄 배가 조선 국왕의 국서(國書)를 받들고 오사카의 요도가와[淀川]를 지나는 장면의 그림.[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상세정보] | 문광부표기Gukseo nuseondo | MR표기Kuksŏ nusŏnd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152)

  • 下益州望金陵王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10 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ITKC_MP_0597A_1610_000_0820 下益州望金陵王氣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晉羣臣賀王濬下益州,金陵王氣黯然收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20_0500 晉羣臣賀王濬下益州,金陵王氣黯然收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인조 연간 이경전(李慶全) 석루선조필택(石祖筆澤)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29822 B029822 구선 龜船 군사교통 正祖實錄 十五年(1791) 十一月 정조실록_11511021_002 ○慶尙左道水軍節度使崔東岳馳啓, 以不如龜船之捷疾, 而本營多而龜船少, 請以六隻改作龜船。 備邊司啓言: “ 十隻內, 三隻改作龜船, 則似適中。” 從之...
    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9823 B029823 구선 龜船 군사교통 正祖實錄 十五年(1791) 十一月 정조실록_11511021_002 ○慶尙左道水軍節度使崔東岳馳啓, 以不如龜船之捷疾, 而本營多而龜船少, 請以六隻改作龜船。 備邊司啓言: “ 十隻內, 三隻改作龜船, 則似適中。” 從之。...
    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3)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국 포와에 가잇 손챵희씨의 부인이 미금 이원을 긔부고 겸야 편지엿기로 젼문을 긔야 디에 잇 동포로야금 다름이 잇기 바라노라 하와이 가이막가월니 농쟝에 우거 손챵희의 실인고모잇가난 일녀의 몸이되엿오나 이젼 례졀은 불구고 샤쟝각하의게두어 ...
    게재일1907년 6월 26일 | 기사분류잡보
  • 露帝遭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아라사 황뎨의 루션()스탄다드호 본월 십일일 휘니슈 근쳐에셔 암쵸에 걸녓 겻헤잇던 슈뢰뎡 칠쳑이 구죠엿다더라
    게재일1907년 9월 17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하나의 경이: 거물 정백의 전향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하며 전향을 선언함. 국민보도연맹, 오제도,정백, 남로당, 여운형, 근로인민당,조국통일 민주주의, 전향 선언 14-20.오제도_하나의 경이 거물 정백의 전향(1957.00.00).pdf pdf
    대표표제어하나의 경이: 거물 정백의 전향 | 자료유형회고/전기 | 집필자오제도 | 출처『사상검사의 수기』 | 키워드국민보도연맹, 오제도,정백, 남로당, 여운형, 근로인민당,조국통일 민주주의누선, 전향 선언

기타자료(4)

  • 당 설인귀가 임윤법사(琳潤法師)에가 편지를 위임하여 신라왕에게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어떻게 해야 할 지 의심을 품고서 나라를 맡을 무거운 뜻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귀(仁貴)는 ()에 돛을 활짝 펴서 달고 깃발을 휘날리며 북쪽 해안을 순시할 때, 그가 지난 날에 활에 상한 새의 신세인 것을 불쌍히 여겨 차마 공격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대표표제어당 설인귀가 임윤법사(琳潤法師)에가 편지를 위임하여 신라왕에게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1(辛未/신라 문무왕 11/唐 咸亨 2/倭 天智 10)
  • 문무왕이 설인귀의 편지에 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일의 근본과 까닭을 물어보지도 않으시고 곧바로 수 만의 무리를 보내 저희 나라를 뒤엎으려고 ()들이 푸른 바다에 가득하고 배들이 강어귀에 줄지어 있으면서 저 웅진을 헤아려 신라를 공격하는 것입니까. 오호라. 두 나라를 평정하기 전에는 발자취를 쫓는 부림을 입더니...
    대표표제어문무왕이 설인귀의 편지에 답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1(辛未/신라 문무왕 11/唐 咸亨 2/倭 天智 10)
  • 당나라 摠管 설인귀가 신라 문무왕에게 보낸 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一朝振立 此並天情遠及 威力相持 方州連郡 遂爲盤錯 從此 遞蒙冊命 拜以稱臣 坐治經書 備詳詩禮 聞義不從 見善而輊 聽縱橫之說 煩耳目之神 忽高門之基 延鬼瞰之責 先君盛業 奉而異圖 內潰疑臣 外招強陣 豈爲智也 又高麗安勝 年尙幼冲 遺壑殘郛 生人减半 自懷去就之疑 匪堪襟帶之重 仁貴 竟...
    대표표제어당나라 摠管 설인귀가 신라 문무왕에게 보낸 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 신라 문무왕이 薛仁貴에게 보낸 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一介之使 垂問元由 卽遣數萬之衆 傾覆巢穴 滿於滄海 艫舳連於江口 數彼熊津 伐此新羅 嗚呼 兩國未定平 蒙指蹤之驅馳 野獸今盡 反見烹宰之侵逼 賊殘百濟 反蒙雍齒之賞 殉漢新羅 已見丁公之誅 大陽之曜 雖不廻光 葵藿本心 猶懷向日 揔管稟英雄之秀氣 抱將相之高材 七德兼備 九流涉獵 恭行天罰...
    대표표제어신라 문무왕이 薛仁貴에게 보낸 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2)

  • / [과학기술/과학기술]

    다락을 설비한 조선후기의 전선. ≪조선왕조실록≫에서 중국 사신이 내왕할 때 평양 대동강에서 뱃놀이하면서 탄 배도 이라 하고 있으나, 그것은 단지 차양으로 지붕을 얹어놓은 강선에 지나지 않고, ≪고려사≫에도 태조가 구사한 대형군을 후세에 이라 하였으나, 그것은

  • 왕겹 / 王唊 [역사/선사시대사]

    첩자를 놓아 침략군을 내탐하는 한편, 침략군의 사령관인 장군(將軍)과 강화교섭을 시도하면서 왕에게 항복을 건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