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농사직설” 에 대한 검색결과 1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2)

사전(13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本)으로 인행(간행)되었다. 내사본은 일본에까지 건너갔다. 그 뒤에도 ≪산림경제≫‧≪임원경제지 林園經濟志≫ 기타 여러 국내 농서에 인용되었다. [내용] ≪≫의 내용이 대부분 중요 곡식류에 국한되고 기술이 간단하나, 우리 나라 풍토에 맞는 농법으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세종 때의 문신인 정초(鄭招, ?-1434)‧변효문(卞孝文, 1396-?) 등이 왕명에 의하여 편찬한 농서.
    정의조선 세종 때의 문신인 정초(鄭招, ?-1434)‧변효문(卞孝文, 1396-?) 등이 왕명에 의하여 편찬한 농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Nongsa jikseol | MR표기Nongsa chiksŏ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I5_D_0169 서적-문집 風土, 樹藝, 古書, 老農, 已驗之術, 詮次 東方 我英廟, 鄭招 寶鑑 D_19_05_85 대동운부군옥 19권 5장 8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5장 8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농업 문헌 한국 조선 세종 정일영 박종국 2014 정초(鄭招), 변효문(卞孝文) 등 1429년(세종 11) 1책 목판 () 서...
  • TD_R2_D_0203 靑粱 식물 D_06_03_18 대동운부군옥 6권 3장 1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6권 3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2)

  • 》은 1429년(세종 11)에 세종의 명령으로 정초(鄭招), 변효문(卞孝文) 등이 제작한 농서(農書)이다. 내용은 곡식 종자의 선택과 저장, 논밭갈이, 벼를 비롯한 기장∙조∙수수∙콩∙팥∙녹두∙보리∙밀 등의 잡곡의 재배, 삼[麻]의 파종과 재배 등이 서술되어
    저자정초(鄭招), 변효문(卞孝文) | 간행시기1429년(세종 11) | 판본형태1책(40장)
  • 序文 정초(鄭招) 등 11 ○ 命摠制鄭招等撰 其序曰 農者天下國家之大本也 自古聖王 莫不以是爲務焉 帝舜之命 九官十二牧也 首曰食哉 惟時誠以 粢盛之奉生養之資 捨是無以爲也 恭惟 太宗恭定大王 嘗命儒臣 掇取古農書切用之語 附註鄕言刊板頒行 敎民力本
    서명農事直說 | 저자정초(鄭招)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초(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비망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비망기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種稷【附 姜稷】 정초(鄭招) 등 nongsa_01_084_014.jpg 11 ○ 稷性宜下濕之地 二月中旬耕地 以木斫【所訖羅】 熟治 自三月上旬至四月上旬 皆可種 種法與種黍粟同 或撒擲種亦得 田若塉薄 用糞灰【熟糞與尿灰也 下倣此】 或先布雜草於...
    서명農事直說 | 저자정초(鄭招)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耕地 정초(鄭招) 등 nongsa_01_084_004.jpg 11 ○ 耕地宜徐 徐則土軟 牛不疲困 春夏耕宜淺 秋耕宜深 春耕則隨耕隨治 秋耕則待土色乾白乃治 ○ 旱田 初耕後 布草燒之 又耕則 其田自美 ○ 薄田 耕菉豆 待其茂盛 掩耕則 不莠不虫 燮塉爲良 ○ 荒地...
    서명農事直說 | 저자정초(鄭招)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8)

  • / [경제·산업/산업]

    조선 세종 때의 문신인 정초(鄭招)·변효문(卞孝文) 등이 왕명에 의하여 편찬한 농서. 1책. 1429년(세종 11)에 관찬(官撰:정부에서 편찬한 책)으로 간행하여 이듬해 각 도의 감사와 주·부·군·현 및 경중(京中)의 2품 이상에게 널리 나누어 주었다. 이 책은 그 뒤

  • 객토 / 客土 [경제·산업/산업]

    편찬된 ≪ ≫의 종도조(種稻條)에 “정월에 얼음이 풀리거든 갈고, 거름을 넣거나 혹은 새 흙을 넣음이 또한 득이 된다.”라는 구절로 보아 500∼600여 년 전부터 지력증진수단으로 실시해 온 것 같다. ≪≫에서 말하는 새 흙은 곧 객토를 뜻하기 때

  • 농종법 / 壟種法 [경제·산업/산업]

    ()』에서는 삼을 만종법으로, 밭벼·기장·조·피·콩 등을 농종법으로 파종하도록 설명하고 있다. 농종법과 견종법의 구분은 파종할 작물의 생육기가 여름철 비가 내리는 우기에 걸치느냐의 여부에 달려 있다. 생육기가 우기에 걸치는 대부분의 여름작물은 『』에서

  • 도리깨 / [경제·산업/산업]

    콩·보리 등 곡식을 두들겨서 알갱이를 떨어내는 데 쓰이는 연장. 『()』의 ‘고로(建吉: 향명은 都里鞭)’, 『과농소초(課農小抄)』와 『월여농가(月餘農歌)』의 ‘연가(連暇)’,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의 ‘도리(邏)’, 그리고 『농정촬요(農政撮要)』의

  • 금양잡록 / 衿陽雜綠 [경제·산업/산업]

    보아, 인간(印刊)은 구손에 의해 저자가 죽은 뒤 1492년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농서는 조선 초기의 농사기술에 관한 저서인 『 』과 쌍벽을 이루는 저서이며, 전자가 관찬(官撰)인 데 반해 이 책은 저자 개인의 경험과 견문으로 이루어진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