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농사력” 에 대한 검색결과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 절기와 계절을 [표]와 같이 구분하였다. [표] 관행(24절기와 관행농사법) 기후 동양 서양 節氣名 氣節 太...
  • 청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청명을 기하여서 봄일을 시작하므로 이날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으로는 청명 무렵에 논밭둑의 손질을 하는 가래질을 시작하는데, 이것은 특히 논농사의 준비작업이 된다. 다음 절기인 곡우 무렵에는 못자리판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농사...
  • 경칩(驚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날이기도 하다. 경칩에는 중앙과 지방의 무관을 중심으로 독제(纛祭)를 지냈으며, 경칩 이후 해일(亥日)에는 선농제(先農祭)를 지냈다. 으로는 씨를 뿌리는 파종기이다. [연원 및 변천] 경칩은 그 전후로 국가가 주관하는 여러 제의가 행해졌다. 경칩에는 독...
    상위어24절기(節氣) | 관련어기독묘(旗纛廟), 독소(纛所), 독제(纛祭), 서운관(書雲觀), 선농단(先農壇), 선농제(先農祭)
  • 월령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춘분 등) 그것이 농가행사의 () 구실을 한다. 등장인물의 면에서 ① ‘달거리’는 화자인 ‘나’가 임‧어버이‧아버지‧낭군‧벗 등 고정적 인물을 청자로 설정하여 서술하는 반면, ② ‘월령체’에서는 그러한 고정적 청자를 설정하는 경우가 전혀 없다. 두...
  • 입추(立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立夏)·입동(立冬)과 함께 사립(四立)에 해당된다. 에서는 논과 밭을 매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연원 및 변천] 가을의 초입인 입추에는 개화(改火)의식이 행해졌다. 이 의식은 구화(舊火)를 신화(新火)로 바꾸는 행화(行火)를 말한다. 여름의 토왕일(土旺...
    상위어사립(四立), 팔절(八節) | 관련어대서(大暑), 보사제(報祀祭), 처서(處暑), 태일초례(太一醮禮)

주제어사전(1)

  • / [경제·산업/산업]

    계절·절기(節氣) 및 동식물의 상태에 따라 한 해 동안의 기후 변화와 농가행사(農家行事)를 기술한 달력. 계절은 온대지방의 봄·여름·가을·겨울과 같이 1년을 비슷한 기상상태가 연속되는 기간을 기준으로 구분한 것으로, 기후학적으로는 3·4·5월 동안을 봄, 6·7·8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