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농무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성격도 권농이나 농무에 그 일차적인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고 농우나 농기구‧곡물 등을 징발하는 것이 그 사명이었다. 은 일본정벌의 중단과 함께 사라졌다. 그러므로 은 원나라의 일본정벌이 남긴 역사적 소산물이라 하겠다. ...
  • 벼농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지규모로 보아 대체로 1년 또는 2년 만에 재배되는 휴한농법(休閑農法)이 관행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전농사(典農司) 등의 권농관(勸農官)을 두는 한편, 1363년(공민왕 12)에는 제학(提學) 백문보(白文寶)가 수차(水車...
  • 농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는 이것이 강화되어 명종 때에는 안찰사‧감창사(監倉使)가 그것을 겸하였으며, 이어서 충렬왕 때에는 중앙에 ()이 설치되었다. 한편으로는 친경적전(親耕籍田)을 맡아 종묘제(宗廟祭)에 쓰는 쌀을 바치는 기관으로 사농시(司農寺)가 있어 권농의 본령을...

고서·고문서(1)

  • 中等敎科東國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粮을 人民의게 給予ᄒᆞ며 或官牛ᄅᆞᆯ 借ᄒᆞ야 農耕을 助ᄒᆞ니 其初에ᄂᆞᆫ 地方官으로,ᄒᆞ야곰 勸農使ᄅᆞᆯ 兼ᄒᆞ더니 後에ᄂᆞᆫ 輸粮,勸農,等官을 設ᄒᆞ고 ᄯᅩ 光宗時,距今九百四十年頃에ᄂᆞᆫ 墾田式을 定ᄒᆞ야 陳田을 耕墾ᄒᆞᆫ 人은 其私田에ᄂᆞᆫ 初年秋收ᄂᆞᆫ...
    서명中等敎科東國史略 | 자료명產業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일본정벌을 위한 군량미 확보를 위해 설치하였던 임시관서. 설치시기는 1277년(충렬왕 3)이다. 원나라에서는 1270년(원종 11)에 일본정벌을 위한 준비로 고려에 둔전책을 실시, 이듬해인 1271년에는 농무별감을 여러 도에 나누어 보냈다. 직무는 농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