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농기구” 에 대한 검색결과 8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64)

사전(36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 이전에 이미 농경이 시작되었으리라는 추측을 불러일으킨다. 우리가 처음 쓴 는 뒤지개[掘棒]이다. 이것은 긴 작대기의 한 끝을 뾰죽하게 깎은 것으로(이에 앞서 끝이 가는 생나무나 나뭇가지를 거의 그대로 썼을 것이다) 땅 속의 식물이나 그 뿌리를 캐고 씨앗...
  • 한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김광언(金光彦)이 지은 우리 나라 에 관한 저서. [내용] A5판. 630쪽. 1986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간행하였다. 국내 농서와 문헌 그리고 일본문헌을 통해 조사, 연구된 에 관한 설명과 더불어 그림 및 사진 등을 수록...
  • 돌낫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석기시대부터 나타나 청동기시대까지 사용한 수확용 . [내용] ‘석겸(石鎌)’이라고도 한다. 날은 양쪽에서 마연하였는데 안쪽으로 조금 휘어져 들어가 있어 몸쪽으로 끌어당기듯이 수확물을 베어내는데 알맞다. 날의 반대쪽은 앞쪽 끝부분으...
    이칭별칭석겸(石鎌)
  • 반달돌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곡물의 이삭을 따는데 쓰인 청동기시대의 . [개설] ‘반월형석도(半月形石刀)’라고도 한다. 수확구(收穫具)의 일종이며 한반도 전역에 걸쳐 출토되고 있다. [내용] 주로 점판암계통의 석재를 이용해 타원형이나 반월형 등의...
    이칭별칭반월형석도
  • 쇠낫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쇠로 만든 낫. [개설] 철판을 단조작업으로 가공하여 만든 후 안쪽에 날을 만들어서 풀이나 곡식, 나뭇가지 등을 자르는데 사용되는 이다. [내용] 형태는 직선형으로 앞쪽은 뾰쪽하거나 둥글고 뒤쪽은 끝 부분을 짧게 ‘ㄱ...
    이칭별칭철겸(鐵鎌)

고서·고문서(54)

  • 3621 P-SDK-03621-P-D-05-02 P-SDK-03621-P-D-05-02-1 P-SDK-03621-P-D-05-02-2 각종 작은 各種小農具 기계농장 회엽서 편 봉투 있음. 5매 세트. 사제엽서 경제산업 ...
    자료명각종 작은 농기구 | 발행처愛知産業株式會社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공업협동조합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공업협동조합 오 남자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연길시(延吉市) 연변인민출판사 6 2 ...
    대표표제어농기구공업협동조합 | 성씨
  • 공업협동이사장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공업협동이사장 오 남자 강원도 철원군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연변인민출판사 6 2 공업협동이사...
    대표표제어농기구공업협동이사장 | 성씨
  • 기계농장 회엽서 편의 봉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
    3619 P-SDK-03619-P-D-05-00 P-SDK-03619-P-D-05-00-1 P-SDK-03619-P-D-05-00-2 기계농장 회엽서 편의 봉투 Kikai Nojo Past Cards 기계농장 회엽서 편 봉투 있음....
    자료명기계농장 회엽서 농기구편의 봉투 | 발행처愛知産業株式會社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조선의 재래농구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권업모범장(勸業模範場)이 기록한 자료로 자료명은 “조선의 재래농구(朝鮮の在來農具)”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작성년도는 1925년(대정 14)이다. 이 자료는 모두 130면이며 일본어로 기록되어 있다. 이 자료는 조선에 존재하는 의 종류와 그
    분류일상생활 | 소장처東京大学,京都大学 | 출판사朝鮮総督府勸業模範場

구술자료(8)

  • 원숭이가 된 게으름뱅이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있다면서 간략하게 줄거리를 들려주었다. 그러자 제보자는 일리가 있는 이야기라면서 반응을 해주었다. 옛날에는 에도 생명이 있었다. 아주 게으른 사람이 밭일을 하지 않고 게으름만 피웠다. 호미가 게으른 남자의 엉덩이를 때리려다 엉덩이에 꽂혀 그 사람의 꼬리가 되었다
    국가대만 | 제보자사의진 [대만, 여, 1989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고양 이무기제 ➁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6) 달구질: 달구소리의 후렴구는 ‘에헤라 달구’이다. 달구질은 병이 났을 때 12지신 탈을 쓰고 를 들고 시계방향으로 돈다. 집의 살을 푸는 가살풀이와 다르다. 7) 용구재는 제사지내는 장소이고, 강구재는 이무기를 보내는 곳이다. 용구재와 강구재는 500m정도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현규
  • 고양 이무기제 ➁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6) 달구질: 달구소리의 후렴구는 ‘에헤라 달구’이다. 달구질은 병이 났을 때 12지신 탈을 쓰고 를 들고 시계방향으로 돈다. 집의 살을 푸는 가살풀이와 다르다. 7) 용구재는 제사지내는 장소이고, 강구재는 이무기를 보내는 곳이다. 용구재와 강구재는 500m정도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경희
  • 힘 약한 남자와 갓파의 거래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알아? 이렇게 긁어내는 ] [조사자2: 갈퀴요?] [조사자1: 갈퀴가 아니고.] 아무튼 여덟 개 있는 거 일곱 갠지 뭐 어쨌든 여덟 개로 보이니까 여덟 개. [조사자2: 갈퀴인데? 긁어내는 거는?] 농사할 때나 쓰는 그런 건데. [조사자2: 넉가래는 이렇게 미는
    국가일본 | 제보자모우에 히로꼬 [일본, 여, 1967년생, 결혼이주 1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사는 게 이 살아 있는 우산에게는 행복한 것이다.” 라고 했대요. 그래서 히코이치는 살아있는 우산하고 어, 아, , 거기 성주한테 큰 돈을 받았았어요. 그리고 나서 성주는 성주는 거기 살아있는 우산을 얻었는데 근데 그때는 날씨가 너무 좋은 날씨가 쭉, 이어가고
    국가일본 | 제보자이케다 마유미 [일본, 여, 1967년생, 결혼이주 2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1)

  • 명칭의 혼란상과 통시적 변화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광호, 게재일 : 2015
    55227 이광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어문연구학회 2015 명칭의 혼란상과 통시적 변화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397)

  • 김원선 황해일보사 리종언 봉산군, 토성리, 배미동 봉산군 토성리 배미동 농민들은 지난 13일 현재 올해의 영농에 사용할 (보습 호리 낫 호미 원구 가래 등) 일체를 확보하였다. 이곳 농민들은 지난해까지만 하여도 를 미리 준비하지 않고...
    대표표제어민주청년_1953_0221_01 | 책임주필김원선
  • 한효 평양시 민본리 15 투사신문사 조선수원공장, 소사공장 남조선 공업의 파탄사태는 대소공업을 막론하고 날로 더욱 심각하여지고 있으며 전반적 산업 분야에 미치는 영향이 막대하거니와 10월 24일부 국제신문은 위축침체에 빠진 남조선의 ...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106_03 | 책임주필한효
  • -(合資會社原田農具製作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合資會社原田農具製作所) 인천 - 合資會社原田農具製作所 花町 - 합자회사 제조 - -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
    대표표제어-(合資會社原田農具製作所)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농기구 제조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韓星澤(東亞商事農具部)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韓星澤(東亞商事農具部) 서울 韓星澤 東亞商事農具部 蓬萊町 1-27 기계기구 - 소매 1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韓星澤(東亞商事農具部) | 지역서울 | 품목기계기구 | 영업종목농기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源基(不二工業所) 서울 金源基 不二工業所 蓬萊町 1-82 기계기구 - 소매 1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源基(不二工業所) | 지역서울 | 품목기계기구 | 영업종목농기구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기타자료(42)

  • 교육위원회 소식 21개 실업계 고교에 수리센터 설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위원회 소식 21개 실업계 고교에 수리센터 설치 교육위원회 소식 21개 실업계 고교에 수리센터 설치 교육 문헌 교육기회확대 학교시설설비
    범주1교육기회확대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전북 교육 위원회 | 사료철명문교월보
  • 교육위원회 소식 농기계 378대 수리해줘-농업계고 수리센터에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위원회 소식 농기계 378대 수리해줘-농업계고 수리센터에서 교육위원회 소식 농기계 378대 수리해줘-농업계고 수리센터에서 교육 문헌 중등교육 실업...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전북교육 위원회 | 사료철명문교월보
  • Proposed FY 1954 Program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업: 삼림, 관개 및 개간, 가축 등 포함. 2. 산업 및 전력: 시멘트 공장, 공장, 제지 공장 등의 설립. UNKRA, PUSAN, NEW YORK, Program, FY 1954, Food, Agriculture, Industries, Pow...
    국내소장처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 발신자Mcclure | 수신자Kingsley
  • Annex A: Farm tools distribution concerning second part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배부현황이며, 경기도에 삽 9,644개, 쟁기 3,988개, 개간쟁기 983개, 제초기 500대, 전라도에 삽 17,695개, 쟁기 9,489개, 개간쟁기 1,562개, 제초기 2,900대를 배부하였음. Farm tools distribution,...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Agenda joint ROK-UNCACK resettlement committee 22 March 1952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3.22. 대한민국(ROK)-유엔군민사지원사령부(UNCACK) 공동 재정착 위원회 안건으로, 세금감면, 주택공급 등의 주요 과제와 텐트 및 , 건물자재 제공 등 효율적 방안 등이 명시되어 있음. Joint Rok-UNCACK, United Nati...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Joint Rok-UNCACK Resettlement Committee

주제어사전(18)

  • / [경제·산업/산업]

    농사를 짓는 데 쓰는 연장. 우리가 처음 쓴 는 뒤지개[掘棒]이다. 이것은 긴 작대기의 한 끝을 뾰죽하게 깎은 것으로(이에 앞서 끝이 가는 생나무나 나뭇가지를 거의 그대로 썼을 것이다) 땅 속의 식물이나 그 뿌리를 캐고 씨앗구멍을 내는 데에 썼다. 뒤지개는 발전

  • 한국고 / 韓國 [경제·산업/산업]

    김광언(金光彦)이 지은 우리나라 에 관한 저서. A5판. 630쪽 1986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간행하였다. 국내 농서와 문헌 그리고 일본문헌을 통해 조사, 연구된 에 관한 설명과 더불어 그림 및 사진 등을 수록하였으며, 내용은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 돌태 / [경제·산업/산업]

    흙덩이를 고르거나 씨앗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땅을 다지는 데 쓰는 연장. 돌태는 남태와 같은 구실과 기능을 하지만, 나무 몸체에 나무살이 박혀 있는 인 남태의 형상과는 좀 다르다. 길이 70㎝ 안팎의 둥그스름한 돌덩이에 구멍을 뚫고 끈을 꿰어 쓰거나 쇠고리를

  • 경원개시 / 慶源開市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조선이 청나라와 통상하던 국제시장.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의 요청으로 조선에서는 북쪽 여러곳에 시장을 두고 통상을 계속하였으나, 경원에서 정식으로 시장을 개설한 것은 1645년(인조 23) 암구뢰달호호(巖丘賴達湖戶)의 사람들이 를 무역하면서 시작되었다.

  • 농무도감 / 農務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를 원나라의 둔전에 공급하는 것이었다. 고려에서는 전통적으로 권농사를 파견하여 권농의 임무를 수행하게 하였고, 1243년(고종 30)에는 권농별감을 파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