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농가집성” 에 대한 검색결과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3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그러나 각 부분의 내용은 시대에 따른 개수와 보충이 있어 당시로서는 내용과 체재를 갖춘 종합 농서라고 할 수 있다. 더구나, 당본(唐本) ≪사시찬요≫와 ≪≫에 들어간 ≪사시찬요초≫를 비교해 보면 후자가 상당히 한국화된 내용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인조 때 문신 신속(申洬, 1600-1661)이 편술한 농서.
    정의조선 인조 때 문신 신속(申洬, 1600-1661)이 편술한 농서.[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Nongga jipseong | MR표기Nongga chips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농서 한문 한국 조선 효종 성낙수 박종국 2015 신속(申洬) 1655 1책(76장) 현종실록자본(顯宗實錄字本) 규장각 [정의...
  • 사시찬요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미상의 조선시대 농서. 1책. 필사본. 신속(申?)이 편찬한 ≪≫ 하편(下篇)에 들어 있다. 이 책은 당나라의 한악(韓鄂)이 지었다는 ≪사시찬요≫를 초록한 것으로 보이기도 하나 실상 대부분이 한국적인 내용의 농서이다. 1960년 일본에서 조선시대인...
  • 치생요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醬) 종류 등의 가공 및 이용법을 풀이하고 있다. 또한, 하권에는 일반 농작물의 재배에 관한 것을 『()』을 참고하여 서술하고 있다. 이 책의 서문을 보면, 자신이 이와 같은 책을 저술할 수 있는 것은 초야에 묻혀 살기 때문에 가능하였다는 구절...

고서·고문서(3)

주제어사전(3)

  • / [경제·산업/산업]

    서는 내용과 체재를 갖춘 종합 농서라고 할 수 있다. 더구나, 당본(唐本) ≪사시찬요≫와 ≪≫에 들어간 ≪사시찬요초≫를 비교해 보면 후자가 상당히 한국화된 내용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피도 적으며 인용도 우리 나라의 풍토에 맞추어 적절히 교정되었고, 우

  • 치생요람 / 治生要覽 [경제·산업/산업]

    또한, 하권에는 일반 농작물의 재배에 관한 것을 『()』을 참고하여 서술하고 있다. 이 책의 서문을 보면, 자신이 이와 같은 책을 저술할 수 있는 것은 초야에 묻혀 살기 때문에 가능하였다는 구절로 보아, 강와는 실학을 연구하던 시골의 한 유생으로 여겨진다

  • 농사직설 / 農事直說 [경제·산업/산업]

    뒤에도 판을 거듭하여 1492년(성종 23)에 내사본(內賜本)으로, 1656년(효종 7)에는 ≪≫에 포함되어 십항본(十行本)으로, 이어서 1686년(숙종 12)에 숭정본(崇禎本)으로 인행(간행)되었다. 내사본은 일본에까지 건너갔다. 그 뒤에도 ≪산림경제≫·≪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