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논어집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1)
사전(22)
- 논어집주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송(宋)대의 성리학자 주희(朱熹, 1130-1200)가 찬(撰)한 《논어》의 주석서(註釋書).정의송(宋)대의 성리학자 주희(朱熹, 1130-1200)가 찬(撰)한 《논어》의 주석서(註釋書).[유교대사전] | 문광부표기Noneo jipju | MR표기Nonŏ chipch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논어집주(論語集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논어집주 논어집주 論語集註 유학 한문 중국 송 성낙수 박종국 2015 주희 10권 4책 규장각, 삼척시립박물관 [정의] 중국 송대(宋代)의 학...
- 六羽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J4_S_0025 六羽 제례 別廟, 祔, 初獻, 八羽 魯 仲子, 左氏, 公, 穀, 左氏, 李氏, 汪氏, 孟子, 聲子, 隱公, 桓, 惠公, 聖人 春秋考, 論語集註, 必用, 穀梁, 公羊, 穀梁 S_19_01_20 성호사설 19권 1장...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9권 1장 2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觚不觚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1_O_0065 觚不觚 경서·경학 削觚, 觚, 木簡, 學書牘, 稜, 稜角, 戒酗, 酒器, 竹簡, 削牘, 操䉉之䉉, 柧稜之柧, 觚稜, 竈觚, 六觚, 骰子, 擲錢 宋 姚寬, 孔子, 史游, 毛西河奇齡, 陸機, 夫子, 老耼, 紫陽 論語集注, 西溪...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2권 7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논어상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 원문 장구에 해당하는 『논어집주(論語集註)』를 그대로 옮겨 실었으며, 이어서 다시 행을 바꾸고 한 자를 낮추어 『주자대전(朱子大全)』 안에 담겨진 『논어』 각 편장에 관계된 논평과 해설에 관한 내용을 모두 추출해 요약‧정리하였다. 논평과 해설 내용은 주로...
고서·고문서(36)
- 논어집주대전(論語集註大全)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논어집주대전(論語集註大全)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八佾 第三章(제삼장)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如《集註》所謂“必因僭禮樂而發者” 必因……發者: 《論語集註》에는 “疑其爲僭禮樂者發也.”로 되어 있다. , 看得親 親: 국중본(가)에는 ‘襯’으로 되어 있다.切. 若懸空泛說一箇禮樂, 則何必不仁也? 不義者, 亦同然. 惟見不仁者欲用之, 故聖人言之. 一部《論語》, 須以此意看....서명논어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돈어(豚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尹和靖則不然矣。 福源曰, 尹和靖, 如孔門之曾子, 魯以得之, 故其言最簡約精確, 論語集註, 多取其言矣。 㻐曰, 臣有區區之見, 敢此仰達矣。 聖敎爲民之盛意, 溢於前後絲綸, 可以透金石而感豚魚矣。 爲今之守令者, 孰不感激奔走, 惕念奉行, 而以丹·懷事言之, 前後近臣承命安集, 流民幾皆...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돈어(豚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尹和靖則不然矣。 福源曰, 尹和靖, 如孔門之曾子, 魯以得之, 故其言最簡約精確, 論語集註, 多取其言矣。 㻐曰, 臣有區區之見, 敢此仰達矣。 聖敎爲民之盛意, 溢於前後絲綸, 可以透金石而感豚魚矣。 爲今之守令者, 孰不感激奔走, 惕念奉行, 而以丹·懷事言之, 前後近臣承命安集, 流民幾皆...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3)
-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논어집주』와 『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철승, 게재일 : 201020642 이철승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철학연구회 2010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논어집주』와 『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유형논문 | 게재일2010
- 『논어』의 ‘학이’1장에 나타난 배움과 익힘의 논리와 의미-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철승, 게재일 : 2009/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9975&local_id=10023902 『論語集註』와 『讀論語大全說』을 통한 『論語』의 핵심 사상에 대한 朱熹와 王夫之의 관점 비교 http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철승, 게재일 : 2010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9975&local_id=10025019 『論語集註』와 『讀論語大全說』을 통한 『論語』의 핵심 사상에 대한 朱熹와 王夫之의 관점 비교 https유형논문 | 게재일2010
주제어사전(3)
-
논어집주 / 論語集註 [종교·철학/유학]
上中下) 권3책으로 구성된 ≪논어집주(論語集註)≫ 중 제3책 권하(卷下)이다.
-
논어집주대전 / 論語集註大全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사서류(四書類). 胡廣(明) 等 受命編. 목판본(신간). 한성 규장각 1820년(순조 20) 20권 7책. 표제는 논어(論語), 간기는 庚辰(1820) 신간내각장판(新刊內閣藏板). 주희가 본인의 학설에 기초, 이정(二程)과 그 제자들의 학설을 참고,
-
사서삼경 / 四書三經 [문학/한문학]
유교의 기본 7가지 경전. 『논어』·『맹자』·『대학』·『중용』·『시경』·『서경』·『역경』을 지칭한다.『대학』과『중용』은 원래『예기』의 편명이었던 것을 주자(朱子)가『논어집주』10권과『맹자집주』7권에『대학장구』1권,『중용장구』1권을 더하여 사서라 하고『사서혹문(四書或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