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논어언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11)
- 논어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해본과 함께 원간본이 도산서원(陶山書院)에 소장되어 있다. 이 책에는 편찬과 간행에 대한 기록이 없으나 함께 간행된 ≪소학언해≫의 범례와 발문(跋文) 및 관여관원열함(關與官員列銜), 그리고 ≪논어언해≫의 ‘만력십팔년칠월일(萬曆十八年七月日)’이라는 내사기(內賜記)...
- 논어언해(論語諺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논어언해 논어언해 論語諺解 철학유교/국어 문헌 한국 조선 선조 성낙수 박종국 2014 1590년(선조 23) 4권 4책 을해자체 경서자(乙亥字體經書字) 도산서원,
- 임고서원소장전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 것이다. ③ 『논어언해』: 3책. 경서체자본. 권수에 ‘宣賜之記(선사지기)’라는 새보가 있는 점으로 보아 1590년 선조가 임고서원에 내사한 것인 듯하다. ④ 『심원록』: 6책. 필사본. 임고서원이 창건된 1553년에서 조선 말기까지 이 서원을 심방한...연계항목임고서원소장전적(臨皐書院所藏典籍)
- 논어대문구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책의 구결은 선조 때 교정청에서 편찬, 간행된 『논어언해(論語諺解)』의 구결과 부분적인 차이를 보인다. 구결이 차이가 있는 곳은 차자(借字)로써 『논어언해』와 같이 교정하여 써넣었다. 이 책은 국어사 연구뿐 아니라 경서 연구에도 이용될 수 있는 자료인데, 유일본으로...
- 조정종손가소장문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稅課標)로서 세제 연구의 자료가 된다. 그밖에 ≪삼봉집≫‧≪한서≫‧≪논어언해 論語諺解≫‧≪송조명현오백가파방대전문수 宋朝名賢五百家播芳大全文粹≫ 등도 조선 전기 간본이 있다. 일부 낙질이 있으나, 조선 전기에 간행된 것으로 서지학연구는 물론, 교육문화사 연구...연계항목조정종손가소장문적(趙靖宗孫家所藏文籍)
고서·고문서(3)
- 論語諺解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411 1291_01 論語諺解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일상생활, 교육생활, 논어언해, 논어 한자, 한글 병용 전적 KJ059.JPG 활자본 미상 선장본 미상 24.6 17 1책 조정 종가 ...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論語諺解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412 1291_02 論語諺解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조정 종가, 일상생활, 교육생활, 논어언해, 논어 한자, 한글 병용 전적 KJ059-1.JPG 조정 종가 상주박물관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상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논어언해한언문(論語諺解漢諺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유교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기초학문(1)
- ≪사서언해≫의 국어학적 고찰—≪논어언해≫의 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남경란, 게재일 : 200621054 남경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6 ≪사서언해≫의 국어학적 고찰—≪논어언해≫의 어휘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06
주제어사전(3)
-
논어언해 / 論語諺解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사서류(四書類). 선조(宣祖) 명찬. 전주부: 하경룡(河慶龍), 1810년(순조 10) 4권 4책. 표제와 판심제는 논해(論解)이다. 간기는 세경오(歲庚午,1810) 중춘개판전주부하경룡장판(仲春開板全州府河慶龍藏板). 선조의 명으로《논어》의 원문에 구결
-
논어대문구결 / 論語大文口訣 [언어/언어/문자]
언해(論語諺解)』의 구결과 부분적인 차이를 보인다. 구결이 차이가 있는 곳은 차자(借字)로써 『논어언해』와 같이 교정하여 써넣었다. 이 책은 국어사 연구뿐 아니라 경서 연구에도 이용될 수 있는 자료인데, 유일본으로서 고려대학교 도서관 화산문고(華山文庫)에 소장되어 있다
-
칠서언해 / 七書諺解 [언어/언어/문자]
유교 경서인 사서삼경을 한글로 해석한 책. ≪대학언해≫ 1권 1책, ≪중용언해≫ 1권 1책, ≪논어언해≫ 4권 4책, ≪맹자언해≫ 14권 7책의 사서와 ≪주역언해≫ 9권 5책, ≪시경언해≫ 20권 10책, (판본에 따라 5·7책으로도 되었음.), ≪서전언해≫ 5권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