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논어고금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0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0)
사전(8)
- 논어고금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의 『논어』 연구를 위한 중요한 문헌이라 할 수 있다.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의 구조적분석(構造的分析)과 그 공자사상(孔子思想)」(정종, 『다산학보』3‧4, 1980‧1981)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의 수사학적고찰(洙泗學的考察)」(...
- 논어고금주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지은 《논어(論語)》 주석서.정의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지은 《논어(論語)》 주석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Noneo gogeumju | MR표기Nonŏ kogŭmj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오규 소라이(荻生徂徠)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왔다. 오규 소라이의 문집이 조선에 유입됨으로써 후대 학자들에게도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는데, 일례로 정약용(丁若鏞)은 『논어고금주(論語古今註)』에서 오규 소라이의 주장을 수십 차례나 인용하였다. 저서로 『역문전제(譯文筌蹄)』‧『논어징(論語徵)』‧『변도(辨道)』‧『변명...유형분류인물
- 논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고금주 論語古今註≫이다. 한대에서 청대에 이르는 중국의 거의 모든 학자들과 우리 나라 선비, 그리고 일본의 연구성과까지 검토, 비판해 독자적인 주장을 폈다. 논어의 첫 간행은 1056년(문종 10)으로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다. ≪논어≫를 포함한 비각소장(祕...
- 자찬묘지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식(四禮家式)』 9권, 『악서고존(樂書孤存)』 12권, 『주역심전(周易心箋)』 24권, 『역학서언(易學緖言)』 12권, 『춘추고징(春秋考徵)』 12권, 『논어고금주(論語古今注)』 40권, 『맹자요의(孟子要義)』 9권, 『중용자잠(中庸自箴)』 3권, 『희정당대학강록(熙...
단행본(2)
- 정본 여유당전서 8-논어고금주 1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1.論語古今註 卷一 2.論語古今註 卷二 3.論語古今註 卷三 4.論語古今註 卷四 5.論語古今註 卷五
- 정본 여유당전서 9-논어고금주 2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종교‧철학 | 유형단행본1.論語古今註 卷六 2.論語古今註 卷七 3.論語古今註 卷八 4.論語古今註 卷九 5.論語古今註 卷十
고서·고문서(589)
- 子曰:“三年無改於父之道,可謂孝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360 論語古今注 卷二 ITKC_MP_0597A_0360_020_0200 子曰:“三年無改於父之道,可謂孝矣。”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권차명論語古今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子曰:“君子欲訥於言而敏於行。”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360 論語古今注 卷二 ITKC_MP_0597A_0360_020_0240 子曰:“君子欲訥於言而敏於行。”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권차명論語古今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子路有聞,未之能行,惟恐有聞。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360 論語古今注 卷二 ITKC_MP_0597A_0360_030_0130 子路有聞,未之能行,惟恐有聞。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권차명論語古今注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子曰:“知之者不如好之者,好之者不如樂之者。”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370 論語古今注 卷三 ITKC_MP_0597A_0370_020_0030 子曰:“知之者不如好之者,好之者不如樂之者。”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권차명論語古今注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子食於有喪者之側,未嘗飽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370 論語古今注 卷三 ITKC_MP_0597A_0370_030_0090 子食於有喪者之側,未嘗飽也。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권차명論語古今注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신문·잡지(1)
- 동서춘추_1967_01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2) 왕건과 이성계 지명관 316 탕아 돌아오다 김덕진 326 한국의 명저 (2) 정약용, 논어고금주 이을호 334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7
연구과제(2)
-
다산 논어고금주 영문 번역 및 해설
한국 학술 번역사업 | 김홍경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 2013 | 국외 | 해외
-
다산 논어고금주 영문 번역 및 해설
한국 학술 번역사업 | 김홍경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 2018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1)
-
논어고금주 / 論語古今註 [언론·출판]
저자 정약용(1762-1836). 필사본. 3권 1책(결질) 이 책은 <헌문> 하에서 <위령공> 상까지 수록되어 있다. 정약용의 <논어고금주> 총40권 가운데 권25, 권26, 권27의 3권을 1책으로 묶은 것이다. 내용은 <헌문 제14>의 13장부터 <위령공 제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