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녹패” 에 대한 검색결과 4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8)

사전(3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이조와 병조에서 왕명을 받아 종친ㆍ문무관원에게 녹과(祿科)를 정해 내려주는 증서. [내용] 에 기재된 녹과에 의해 호조에서는 녹봉인수증인 녹표(祿標)를 발급하였다. 관원은 이 녹표를 가지고 광흥창(廣興倉)에 가서 녹봉을 인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이조와 병조에서 왕명을 받아 종친‧문무관원에게 녹과(祿科)를 정해 내려주는 증서.
    정의조선시대 이조와 병조에서 왕명을 받아 종친‧문무관원에게 녹과(祿科)를 정해 내려주는 증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nokpae | MR표기nokp’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성주도씨종중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태조 때 도응(都膺)에게 내린 사령왕지(辭令王旨) 및 (). [내용] 보물 제724호. 그 내용을 보면, 왕지가 4장이고 가 1장으로 모두 5장이 지정되었다. 현전하는 조선 태조 때의 사령왕지로서 태조 4년(1395) 및...
    연계항목성주도씨종중문서(星州都氏宗中文書)
  • 재판기록발서하(裁判記書下)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595 문헌 재판기록발서하(裁判記書下) 재판기록발서하 裁判記書下 1729년부터 재판(裁判)으로 부산 왜관에 부임했던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의 근무 일기. 1729년 6월부터 1730년 9월까지의 기록이 담겨있다. 쌀과
    유형분류문헌
  • 근대신어 : 녹배당(黨)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8573 녹배당 나항 黨은全國의通行貨幣紙錢으로全用主義執者며(合衆國紙錢을綠色으로印出故로此黨의名을라謂홈이라) 녹배당(黨)은 전국에 통행하는 화폐를 종이 돈으로 전용하는 주의를 주장하는 것이며(미국의
    출전西遊見聞[交詢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정치단체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369)

  • 신묘년 (祿)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녹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녹패 | 현소장처의성 아주신씨 오봉 가문‧호계 가문
  • 신미년 (祿)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녹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녹패 | 현소장처영해 도곡 무안박씨
  • 1726년(丙午)에 朝奉大夫行宗簿寺主簿 韓元震의 秋等 祿牌이다. 수령일은 병오 8월 27일이고 과등은 9과이며, 수령액은 米 1석 1두, 太 6두이었다. 본 문서의 형태는 󰡔경국대전󰡕의 녹패식과는 다르다. 즉 우측에 녹봉 수령자의 계사직이 해서이면서 전서의 모양...
    분야문학 | 유형문헌
  • 丙午(1726) 奉訓郞行司諫院正言 韓啓震의 丙午年 녹패이다. 수령일은 병오 4월 27일이다. 좌하단에 由無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인수 인계가 끝났다는 표시로 해창의 관리 ‘韓’이 수결을 하였다. 越無라는 것은 감봉이 없다는 표시로 쓴 것인데 해창의 관리는 ‘...
    분야문학 | 유형문헌
  • 1756년 (祿)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녹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녹패 | 현소장처대전 선사박물관

구술자료(1)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이조와 병조에서 왕명을 받아 종친·문무관원에게 녹과를 정해 내려주는 증서. 에 기재된 녹과에 의해 호조에서는 녹봉인수증인 녹표(祿標)를 발급하였다. 관원은 이 녹표를 가지고 광흥창(廣興倉)에 가서 녹봉을 인수하였다. 조선시대의 녹과는 제1과부터 제18과

  • 정색 / 政色 [정치·법제/법제·행정]

    정월에 봉급증표인 의 수여 및 금군의 정·영과 각 여의 기총·대장·대부·여수·대정 등의 서반 소속 잡직 등의 제수를 관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