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녹차” 에 대한 검색결과 1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0)

사전(4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것을 강조하는 장편의 명문이다. 위의 격문과 「삼정책」은 병인양요사건과 조선 말기의 정치‧경제를 살피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집 / 김사립전 ...
  • 구례장죽전시배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에 있는 시배지. 전라남도 기념물 제138호. 우리 나라 의 시배지는 그곳 사람들이 ‘진대밭’이라고 부르는 화엄사 밑 장죽전일 것이라고 믿어지고 있다. 진대밭이라 부르는 대밭은 계곡에서 50m쯤 오르면
    연계항목구례장죽전녹차시배지(求禮長竹田綠茶始培址)
  • 근대신어 : 희춘(히-춘)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68088 희춘 하항 히-춘 熙春 hyson 支那産 의 一種 중국산 의 일종 李鍾極 (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 漢城圖書株式會社 1936 618 동식광물, 음식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사회생활] 동식광물, 음식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세겹승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他都監未捉去之前預爲定送事手決內依禮曹圖畵署一正殿所排玉燈一鐵索多紅眞絲三甲繩具今番段置令三房依謄知進排事手決內依三房尙衣院, (빈전1683/197ㄴ03~05)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품목질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품목을 적은 항목을 묶어 놓은 것. 품목은 위에 여쭙는 글이고, 질(秩)은 묶음이라는 뜻이다. 의례(儀禮)와 관련하여 일방(一房)의 낭청이 가례도감(嘉禮都監)이나 국장도감(國葬都監)의 당상(堂上)에게 여쭌 글을 모은 것이다. 稟目秩都監草謄白紙四卷白休紙二斤白筆四...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95)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송병순이 송병선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進士見 日間省況如何 爲念不已 允範有相議事 暫須越來似好 以此傳及也 姑不一 我之去之人 間果思得耶 須探問以覓也
    분야문학 | 유형문헌
  • 人事門6_洪南坡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天有雨意, 遂不入, 其自重如此. 余子孟休赴東堂, 旣入, 雨作還出, 俄而快霽, 人或惜之. 余聞之喜, 貽書云: “謹愼如此, 其爲喜慶, 不啻登科之報也.” 者, 祈子孫之見而有識也.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二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書及見唱和新篇粗審動靜喜承台候萬福向嘗辱許枉顧雖日企佇乃出於乘興不敢坐邀然又思潁之請決在此春若得自乘一鹿造門求見亦未爲晚未間春暖惟冀以時衛重
    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下亥八 〈文侯之命〉 【蘇云:“余讀〈文侯之命〉,知東周之不復興也。孔子存之,亦以示戒於天下後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1860_070_0460_2015_037_XML 037 孔子之篇,亦以存周也。周之東遷,猶能策命諸侯,特錄一篇以存周...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8)

  • 중국 지역별 음식문화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차는 그냥 차지.’ 차도 여러 종류예요. 저도 몰랐는데 친구가 저쪽에서 차 장사해요. 저녁때마다 물장사 하는데요. 근데 차는 우리 생각에 는 숙성 잠깐 얘는 발효 안 한 거예요. 그냥 숙성만 간단하게 [조사자: 그렇죠, 예예.] 그거는 정성 덜 들어간 거죠? 그거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동순옥 [중국(한국계), 여, 1971년생, 결혼이주 2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청자: 술도?] 아, 술은 아니고. [조사자: 고기, 먹는 음식은 다.] 네. 드시는 음식만 모두. 근데 그 대신 아침 하고 점심. 저녁은 금식해요. [조사자: 하루 두 끼만 드시고.] 네. 하루 두 끼만 드시고 저녁에는 과일도 안 되고. 그냥 뭐 물, , 설탕
    국가캄보디아 | 제보자체아다비 [캄보디아, 여, 1983년생, 결혼이주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그 이야기잖아요. 야자나무. 융티탄프엉: 야자나무. 아무튼 이런 것을 팔았어요, 그 가게에서. 그거 베트남어로 써드릴게요, 나중에. 백옥장: 쩌우깜. 왜냐면 그 때는 베트남은 그 때는 특징한 게, 할머니들은 , 타서 파는 거예요. 음료수는 과일 같은 거 아
    국가베트남 | 제보자융티탄프엉 [베트남, 여, 1988년생, 유학 3년차] 백옥장 [베트남, 여, 1982년생, 유학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아침에 일어나면, 엄마가 우리나라 전통 차 있어요, 우유, 수태차끓인 물에 약간의 소금과 우유를 섞어 따뜻하게 먹는 일종의 밀크티이다.라고 있는데, 그게 우유찬데, 그거를 끓여가지고 하늘에도 뿌리고, 해에도 뿌리고, 산에도 뿌리고 해서 “모든 가족들과 인제 모든
    국가몽골 | 제보자툭스자르칼 [몽골,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나. 작은 가게 하나 있는데 거기 가게는 뭐, 원래 빈랑, 빈랑 열매하구 뭐 그, 차 같은 거는 팔아요. 같은 거 팔아요. 그래서 그, 아침에 노파가 시장에 가요. 시장에 가는 길에, 가는 길에서 그 나무의 열매를 봤으니 그냥 이렇게 말해요. “티야, 티야.” 그
    국가베트남 | 제보자쩐티빅프엉 [베트남, 여, 1977년생, 기타]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2)

  • 밭 방문객의 지각된 가치가 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여호근, 게재일 : 2007
    31020 여호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조리학회 2007 밭 방문객의 지각된 가치가 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실험적 가상가치평가법(CVM-X)을 이용한 밭의 관광가치 평가: 하동군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여호근, 게재일 : 2007
    31021 여호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호텔경영학회 2007 실험적 가상가치평가법(CVM-X)을 이용한 밭의 관광가치 평가: 하동군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7)

  • 赤松鹿郞(赤松鹿郞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赤松鹿郞(赤松鹿郞商店) 서울 赤松鹿郞 赤松鹿郞商店 漢江通 8-20 기타 - 용달(用達) - 27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
    대표표제어赤松鹿次郞(赤松鹿次郞商店) | 지역서울 | 품목기타 | 영업종목용달(用達)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11 향기로운 의 고향 전남 보성군 편 13 간의 모든 것 15 Korean Culture 1-...
    발행국가호주 | 발행연도2002
  • 7.5 刊記: 修心訣成化十九年癸卯(1483)四月日固城地碧雲寺開板; 刊記: 普濟尊者三種歌成化十五年己亥(1479)四月日開板留板光陽白雲山屛風菴 誠庵文庫 3-444 無 備考: 修心訣, 大施主金中生兩主, 募綠比丘, 信空心法要, 大施主金中生內尹. 募丘信空....
    대표표제어직교심종(直交心宗) | 대표서명直交心宗 | 한글서명직교심종 | 서지형태형태서지
  • 4 와 홍차 25 서부호주 한인회 2012년 한국의 날 성황리에 마쳐 28 항공규정
    발행국가호주 | 발행연도2012
  • 농산물의 생산은 다음과 같이 증가시킬 것. 화곡물의 총 수확을 40-50%, 그 중 소맥 55-65%, 목화 55-65%, 아마 40-50%, 사탕무 65-70%, 마령서 40-45%, 해바라기 50-65%, 포도 55-60%, 담배 65-70%, 고급 약 75%...
    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1101_02 | 날짜1952년 11월 1일 | 책임주필김명호

기타자료(3)

  • 다량 확인되었는데 밭으로 개간되되거나 민묘가 조성되면서 많이 파괴되었다. 학동1,2호 요지는 도촌저수지와 연접하고 있는데 1호 요지는 저수지 축조로 일부가 훼손되었고, 2호요지는 경사가 급하고 주변이 암반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촌리 일대의 요지는 덤벙분장기법이 주...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보성군/(재)남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전라남도
  • 문무왕이 설인귀의 편지에 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艫舳連於江口 數彼熊津 伐此新羅 嗚呼 兩國未定平 蒙指蹤之驅馳 野獸今盡 反見烹宰之侵逼 賊殘百濟 反蒙雍齒之賞 殉漢新羅 已見丁公之誅 大陽之曜 雖不廻光 葵藿本心 猶懷向日 揔管稟英雄之秀氣 抱將相之高材 七德兼備 九流涉獵 恭行天罰 濫加非罪 天兵未出 先問元由 來書 敢陳不叛 請揔管審...
    대표표제어문무왕이 설인귀의 편지에 답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1(辛未/신라 문무왕 11/唐 咸亨 2/倭 天智 10)
  • 신라 문무왕이 薛仁貴에게 보낸 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濫加非罪 天兵未出 先問元由 來書 敢陳不叛 請揔管審自商量 具狀申奏 雞林州都督左衛大將軍開府儀同三司上柱國新羅王金法敏白 (『삼국사기』7, 신라본기 7, 문무왕 11년) 【해석】 (가을 7월 26일에 대왕이 설인귀의 편지에 답하여 말하였다.) “선왕께서 貞觀 貞觀 : 당나라...
    대표표제어신라 문무왕이 薛仁貴에게 보낸 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5)

  • / [정치·법제/법제·행정]

    신원을 확인하여 등록하고 임명. 중국으로 파견되는 삼사(사·부사·서장관)가 데리고 갈 자제와 가노는 의정부에서, 교린국에 파견되는 사신의 경우에는 이조에서 각각 하였다.『통문관지』에 의하면 정사와 부사는 서자·마두·좌견마·일산봉지 각 1명과 인로 2명, 농마두·

  • 집 /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황오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2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연활자본. 1932년 이종소(李鍾韶)·강신용(姜信鏞)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최영년(崔永年)의 서문과 권말에 강신용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시, 권2

  • 보성다향대축제 / 寶城茶香大祝祭 [생활/민속]

    1975년부터매년 5월에 전라남도 보성군에서 열리는 지역축제. 1975년 5월 21일 제1회 군민의 날에 제1회 ‘보성다향제’를 시작으로 2008년 제34회까지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다가, 2009∼2010년에는 ‘보성다향제’와 ‘보성대축제’를 함께 사용하였다. 그

  • 차 / 茶 [생활/식생활]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 것 같으나, 이것은 차잎의 채취 시기 또는 가공방법에 따라 나눈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불발효차인 , 반발효차인 우롱차, 발효차인 홍차로 구분된다.

  • 명의록언해 / 明義錄諺解 [언어/언어/문자]

    등에게 명하여 찬집한 책이다. 권수의 앞에 명의록언해목록이 실려 있고 권수에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와 어제윤음(御製綸音), 권1에 진명의록차자(進明義子)와 진명의록전문(進明義錄箋文)·하찬집청전교(下纂輯聽傳敎)·도승지홍국영상소(都承旨洪國榮上疏)·명의록범례를 싣고,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