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녹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8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40)
사전(697)
- 녹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와 조선 초기에 중앙의 여러 관서에 설치된 하위관직. [내용] 고려시대 중앙의 여러 관부에는 문하녹사 등의 정7품에서부터 병과권무(丙科權務)에 이르기까지 각급의 녹사직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조선 초기에도 8품에서 권무에 이르기까지
- 녹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중앙 관서의 상급 서리직 관직. [내용] 고려 말과 조선 초에 성중관(成衆官)으로 총칭되던 여러 종류의 상급 서리들이 세조 때 정리되어 녹사만이 남게 되었다. 의정부와 중추부에 나뉘어 소속되었으며, 문반의 관부에는 의정...
- 녹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초기의 토관직. [내용] 조선 초기 평안도‧함길도의 평양‧의주‧강계‧함흥‧회령‧경원‧경성‧온성‧부령 등 각 관의 정9품‧종9품 토관직으로 설치되어 있었으나, ≪경국대전≫에 참사(參事)‧섭사(攝事)로 정리되고 있다. ...
- 녹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와 조선 초기에 중앙의 여러 관서에 설치된 하위관직.정의고려와 조선 초기에 중앙의 여러 관서에 설치된 하위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noksa | MR표기nok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綠蓑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P1_D_0182 綠蓑 일상도구 買蓑觀漲, 百錢, 溪橋, 細雨, 蓬扉 金東峯 本集 D_17_01_18 대동운부군옥 17권 1장 1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1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878)
- 世界 記錄事典 기네스 북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世界 記錄事典 기네스 북 인문학 기타인문학 기타인문학일반 世界 記錄事典 기네스 북 노리스 맥와터 編著; 박영봉 譯 은광사 서울대표표제어世界 記錄事典 기네스 북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기타인문학 | 소분류기타인문학일반
- 世界記錄事典 기네스북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世界記錄事典 기네스북 인문학 기타인문학 기타인문학일반 世界記錄事典 기네스북 노리스 맥와터 편; 최철원 역 경화사 서울 1983...대표표제어世界記錄事典 기네스북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기타인문학 | 소분류기타인문학일반
- 世界記錄事典 기네스북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世界記錄事典 기네스북 인문학 기타인문학 기타인문학일반 世界記錄事典 기네스북 노리스 맥와터 編著; 박영봉 譯 은광사 서울 198...대표표제어世界記錄事典 기네스북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기타인문학 | 소분류기타인문학일반
- 회의록사(會議錄寫)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도지사회의록 국가기록원 해주 회의록사(會議錄寫) 회의록 1928년 03월 18일 冲本正晴(면장) 隅利吉(1),최경태(崔景台)(2),이목(李穆)(4),田邊新一(5),오세호(吳世皥)(6),한영찬(韓泳瓚)(9),신승희(辛承禧)(12) 萬代龍助...대표표제어회의록사(會議錄寫) | 건명수도사용료신설의건(해주면)-황해도지사회의록 | 회의년월1928년 03월 | 회의일18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 회의록사(會議錄寫)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록첨부) 국가기록원 해주 회의록사(會議錄寫) 회의록 1928년 03월 02일 冲本正晴(면장) 최경태(崔景台)(2),萬代龍助(3),이목(李穆)(4),田邊新一(5),오세호(吳世皥)(6), 垣內禧議(7), 三上爲助(8), 한영찬(韓泳瓚)(9),...대표표제어회의록사(會議錄寫) | 건명황해도해주군해주면면차입금의건(회의록첨부) | 회의년월1928년 03월 | 회의일02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구술자료(4)
- 군사적 요충지 녹사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 후에 다음을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년 2월 23일(수) | 조사장소순창군 동계면 동심리 526-1번지 오동마을 제보자 자택 | 제보자이종엽
- 녹사리장 대신 생긴 감밭장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 후에 다음을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년 2월 23일(수) | 조사장소순창군 동계면 동심리 526-1번지 오동마을 제보자 자택 | 제보자이종엽
- 정승의 직무태만을 경고한 녹사의 아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의 부탁으로 시작했다. *조사일시1982-08-11 | 조사장소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 | 제보자송재충
- 독립군의 활동지라 하여 일제에 의해 파장된 녹사리장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 후에 다음을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1년 2월 23일(수) | 조사장소순창군 동계면 동심리 526-1번지 오동마을 제보자 자택 | 제보자이종엽
기초학문(2)
- 『陳錄巳傳』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철호, 게재일 : 199905771 임철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국문학회 1999 『陳錄巳傳』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3275d유형논문 | 게재일1999
- 서독의 동독 人權侵害 記錄事例와 한국의 援用方案 : '北韓人權記錄保存所' 設置․運營을 中心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제성호, 게재일 : 200600842 제성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앙법학회 2006 서독의 동독 人權侵害 記錄事例와 한국의 援用方案 : '北韓人權記錄保存所' 設置․運營을 中心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388)
- 별행록사기화족(別行錄私記畵足)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별행록사기화족(別行錄私記畵足) 別行錄私記畵足 별행록사기화족 형태서지 節要畵足 定慧 著 朝鮮 韓國 木板本 星州 靑巖寺 1757年(英祖 33)刊 不...대표표제어별행록사기화족(別行錄私記畵足) | 대표서명別行錄私記畵足 | 한글서명별행록사기화족 | 서지형태형태서지
- 宮廷錄事·施政任免一束·雜件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문서 주한일본공사관기록 주한일본공사관기록 12 宮廷錄事·施政任免一束·雜件 1897년 3월31일 서울 서울 일본공사가 공사관원, 상업회의소 의원...대표표제어宮廷錄事·施政任免一束·雜件 | 연월일1897년 3월31일 | 지역서울
- 개성의 상공(商工)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개성 1937 10 개성의 상공(商工) 20 녹사(錄事) 경제·산업 사건 근대 본 회의소 녹사(錄事)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지역개성 | 자료명개성의 상공(商工)
- 개성의 상공(商工)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개성 1937 12 개성의 상공(商工) 21 녹사(錄事) 경제·산업 사건 근대 본 회의소 녹사(錄事)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지역개성 | 자료명개성의 상공(商工)
- 개성의 상공(商工)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개성 1938 2 개성의 상공(商工) 22 녹사(錄事) 경제·산업 사건 근대 본 회의소 녹사(錄事)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지역개성 | 자료명개성의 상공(商工)
연구결과보고서(1)
- 연행록사전(燕行錄事典) 편찬 및 DB 구축 사업 (Ⅱ) - 19세기 연행록 148종을 대상으로 - [연행록사전(燕行錄事典) 편찬 및 DB 구축 사업 (Ⅱ) - 19세기 연행록 148종을 대상으로 -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타자료(70)
- 김흥주;金興周;유하성;有賀盛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6132 남한 전북 전주고등보통학교 2-41 學友住所錄 1944 1면 김흥주;金興周;유하성;有賀盛 전남 영광군 郡西面 綠沙里 139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일본이 발해 사신에게 겨울옷을 지급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발해→일본 【번역】 정월 을묘일(5)에 발해 사신들 중 객사 대사 이하와 녹사(錄事) 이하 육인(陸人)에게 겨울옷을 주었다. (『類聚國史』 194 殊俗部 渤海 下) 【원문】 正月乙卯 賜渤海客徒大使已下錄事已下陸人冬衣服科 (『類聚國史』 194 殊俗部 渤海 下)대표표제어일본이 발해 사신에게 겨울옷을 지급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24년(甲辰/신라 헌덕왕 16/발해 宣王 建興 7/唐 穆宗 長慶 4/日本 淳和天皇 天長 1)
- 일본이 발해 사신에게 겨울 옷을 지급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번역】 정월 을묘일(5)에 발해 사신들 중 객사 대사 이하와 녹사(錄事) 이하 육인(陸人)에게 겨울 옷을 주었다. (『類聚國史』 194 殊俗 渤海 下) 【원문】 正月乙卯 賜渤海客徒大使已下錄事已下陸人冬衣服科 (『類聚國史』 194 殊俗部△ 渤海 下)대표표제어일본이 발해 사신에게 겨울 옷을 지급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24년(甲辰/신라 헌덕왕 16/발해 宣王 建興 7/唐 長慶 4/日本 天長 1)
- 일본이 임동인을 송발해객사로 삼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발해 일본→발해 【번역】 12월 경오일(4)에 종6위상 임숙녜동인(林宿禰東人)을 송발해객사(送渤海客使)로 삼고 대초위하(大初位下) 상모야공계익(上毛野公繼益)을 녹사(錄事)로 삼았다. (『日本後紀』 20 嵯峨紀) 【번역】 12월 경오일(4)에 종6위상 임숙녜...대표표제어일본이 임동인을 송발해객사로 삼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10년(庚寅/신라 헌덕왕 2/발해 定王 永德 2/唐 憲宗 元和 5/日本 平城天皇 大同 5, 嵯峨天皇 弘仁 1)
- 일본이 임동인을 송발해객사로 삼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발해 【번역】 12월 경오일(4)에 종6위상 임숙녜동인(林宿禰東人)을 송발해객사(送渤海客使)로 삼고 대초위하(大初位下) 상모야공계익(上毛野公繼益)을 녹사(錄事)로 삼았다. (『日本後紀』 20 嵯峨紀) 【번역】 12월 경오일(4)에 종6위상 임숙녜동인을 송발해객사로...대표표제어일본이 임동인을 송발해객사로 삼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06년(丙戌/신라 애장왕 7/발해 康王 正曆 12/唐 元和 1/日本 延曆 25, 大同 1)
연구과제(3)
-
연행록사전(燕行錄事典) 편찬 및 DB 구축 사업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조융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
연행록사전(燕行錄事典) 편찬 및 DB 구축 사업 (Ⅱ) - 19세기 연행록 148종을 대상으로 -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신익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
연행록사전(燕行錄事典) 편찬 및 DB 구축 사업 (Ⅲ) - 17세기 이전 연행록 230종을 대상으로 -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신익철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22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44)
-
녹사 / 錄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와 조선 초기에 중앙의 여러 관서에 설치된 하위관직. 고려시대 중앙의 여러 관부에는 문하녹사 등의 정7품에서부터 병과권무(丙科權務)에 이르기까지 각급의 녹사직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조선 초기에도 8품에서 권무에 이르기까지 각급의 녹사직이 설치되어 있었다.
-
문하녹사 / 門下錄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종7품 관직. 목종 때 이미 두어져 있었으며, 문종 때 정원 1인, 종7품으로 정하여졌다.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에 의하여 도첨의녹사(都僉議錄事)로 바뀌고, 품질은 정7품으로 되었다. 1356년(공민왕 5) 반원운동의 일환으로 문종 관제
-
병마녹사 / 兵馬錄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지방관직. 정종 8년 병마사제(兵馬使制)를 정비하면서 동서북면에 병마사 1인(3품), 지병마사 1인(3품), 병마부사 2인(4품), 병마판관 3인(5·6품)과 함께 병마녹사 4인을 두었다.
-
경아전 / 京衙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앙 각사의 하급 관리. 경아전에는 녹사·서리·조례·나장 등이 있었는데, 그 중 상급 서리인 녹사와 하급 서리인 서리가 주종이었다.
-
제생원 / 濟生院 [과학기술/의약학]
조선 초기 서민들의 질병치료를 관장하였던 의료기관. 1397년(태조 6) 조준의 건의에 따라 설치하였다. 의료·의약, 특히 향약의 수납·보급과 의학교육 및 편찬사업을 맡아보았다. 관원으로는 설치 당시에 지원사(知院事)·영(令)·승(丞)·주부(主簿)·녹사(錄事)를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