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녹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8)
사전(148)
- 녹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과거 응시자의 자격을 심사해 응시원서를 접수하던 제도. [내용] 단 한번의 시험으로 합격‧불합격이 결정되는 알성시‧정시‧춘당대시를 제외한 식년시(式年試)‧증광시(增廣試)의 경우는 시험 전에 반드시 녹명을 해야만 하였다. 시한은 시험 1...
- 녹명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녹명지(錄名紙). 녹명에 쓰는 종이. 녹명은 과거 응시자가 원서를 내고 성명을 등록하는 것. 試筆拾柄 亦送 分用宜當 洪郞處 氣困不能作書 此意傳之 錄名一卷 白紙四束 送去, 김성일(金誠一), 12-146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수보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태조가 아직 왕위에 오르기 전 어떤 사람이 지리산의 돌로 된 벽에서 장차 등극하리라는 글(寶錄)이 적힌 기이한 책을 얻어 바쳤다는 내용의 노랫말로 되어 있다. 4언1구의 한시에 모두 16구로 되어 있다. 선율은 『의례경전통해시악(儀禮經傳通解詩樂)』의 「녹명(鹿鳴...
- 녹명(祿命)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녹명 녹명 祿命 명과학(命課學), 음양학(陰陽學) 사주(四柱), 팔자(八字), 운명(運命), 산명(算命) 명리학(明理學), 운명술(運命術), 산명술(算命術), 삼명술(三命術), 오성술(五星術), 관상감(觀象監) 정치인사/선발 개...상위어명과학(命課學), 음양학(陰陽學) | 동의어사주(四柱), 팔자(八字), 운명(運命), 산명(算命) | 관련어명리학(明理學), 운명술(運命術), 산명술(算命術), 삼명술(三命術), 오성술(五星術), 관상감(觀象監)
- 녹명(錄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녹명 녹명 錄名 과거(科擧) 녹명관(錄名官), 녹명소(錄名所), 보거단자(保擧單子), 보단자(保單子), 사조단자(四祖單子), 입문소(入門所)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박현순 [...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녹명관(錄名官), 녹명소(錄名所), 보거단자(保擧單子), 보단자(保單子), 사조단자(四祖單子), 입문소(入門所)
고서·고문서(146)
- 鹿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460 詩經講義 卷二 ITKC_MP_0597A_0460_100_0010 鹿鳴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詩經講義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鹿鳴之什 鹿鳴(록명)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HCBO_2:1:1:1 《鹿鳴》興於獸, 而君子大之, 取其得食而相呼. 此蓋飮食燕享之事, 故取以爲喩. HCBO_2:1:1:2 燕以至於旅酬, 無算爵, 則易以怠荒. 故“旅也而語”者, 振刷其無節也. 示之以周行, 乃所以好我, 卽愛人以德之義. HCBO_2:1:1:3 《燕義》云...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鹿鳴之什 四牡(사모)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HCBO_2:1:2:1 人君將勞使臣, 不必探其情而自爲詩, 乃採之於民, 擇其曲盡事情者, 而施之, 此便是“探其情而代之言”也. 此篇, 緊要在中二章. 其首二章卽其張本, 而“啓處”一句包“將父”、“將母”在中. 其末一章復繳首二章之意, 而以養親申結之. HCBO_2:1:2:2 始言“...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鹿鳴之什 常棣(상체)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HCBO_2:1:4:1 《左傳》僖公二十四年云: “召穆公思周道 道: 《春秋左傳》에는 ‘德’으로 되어 있다.之不類, 故糾合宗族于成周, 而作詩, 曰‘棠棣之華云云.’”. 《註》云: “召穆公述周公之詩. 然述之非作, 聖人已言之.” 愚意, 穆公實述周公之意而作也. 如“文王曰咨”, 分...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鹿鳴之什 伐木(벌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HCBO_2:1:5:1 人之上坂伐木, 豈無所求而爲之? 鳥之出谷遷喬, 爲求其友也. 人之求友以輔仁, 亦猶是也. 物性不比人之或容僞飾, 故其嚶鳴也, 必誠求之也. 人亦求友之誠如此, 則必爲鬼神之所感動而聽許矣, 言所求必得也. 旣得而宴樂親厚, 如二三章之爲, 則豈不終至於和平乎? 下章“...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기초학문(5)
- 녹명관이 일본 근대문화 수용에 미친 영향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수진, 게재일 : 200928864 전수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근대학회 2009 녹명관이 일본 근대문화 수용에 미친 영향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로쿠메이칸鹿鳴館 무도회로 본 일본표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경희, 게재일 : 201564798 이경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본연구소 2015 로쿠메이칸鹿鳴館 무도회로 본 일본표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5
- 희곡 『손탁호텔』과 『녹명관』 속에 나타난 전통과 근대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수진, 게재일 : 201148658 전수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희곡 『손탁호텔』과 『녹명관』 속에 나타난 전통과 근대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1
- 鹿鳴館の朝鮮儒者-朴戴陽が見た1884年の東京、表象の近代をめぐって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황호덕, 게재일 : 200508228 황호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東京大學比較文學文化硏究會 2005 鹿鳴館の朝鮮儒者-朴戴陽が見た1884年の東京、表象の近代をめぐって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차범석의 『손탁호텔』과 미시마 유키오의 『廘鳴館』에 나타난 여성 리더십 비교 - 손탁과 아사코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수진, 게재일 : 201657796 전수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차범석의 『손탁호텔』과 미시마 유키오의 『廘鳴館』에 나타난 여성 리더십 비교 - 손탁과 아사코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8)
- 輪牒錄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무쳥에셔 각부부원으로 륜쳡야 현임 칙쥬판임관의 셩명을 젹어가 그 건인즉 쳥에셔 관안을 슈졍 쥬의라라게재일1906년 4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부에서 각군슈를 가감지인으로 로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에서 각군슈를 가감지인으로 로 공쳔야 쳔에든 사들을 록명야 어졔 쥬본을 올녓더니 군슈가 여러히 낫는 각부에셔 천즁에 나식 벼름이 되엿다 나 슈효와 셩명은 아직 셰치 안키로 이로만 등 노라게재일1898년 8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지나간 월요일에 법부대신이 검 국쟝...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지나간 월요일에 법부대신이 검 국쟝 피상범씨를 감옥셔에 보여 슈 죄안들을 낫낫치 실 엿 그즁에 혹 죄명도 모로고 증거도 업고 혹 판도 아니고 갓친지 경년 열셰 죄인이 십여명이라 져져히 록명야 대신이 장상 쥬고 방송 터이오 그즁에 쥭일 죄인...게재일1898년 8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부상 텽에셔 독립 협회로 편지 거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가히 샤를 드리울수 업셔셔 셩토여 헛첫더니 일향 아득것슬 잡어 독립관에 회를 베푸니 이거시 황명을 억지로 협박여 다시 독립회를 셜시 거시 아니냐 만일 즉간에 록명 셩을 불지으고 허여지지 아니면 인화문 남어지 방망이를 다시 용맹잇게 시혐 거시오 너희 무리...게재일1898년 12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을미년 칠월에 처음으로 십삼부를 마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찰직무와 쟝졍도 모로 자를 즁임을 맛겨 페단이 적지 아니 니 불가불 별반 변통이 잇셔야 쓰겟다 야 다시 쟝졍를 만들고 경무텽에 훈령야 이젼에 무고히 러진 사과 권임 슌검과 셔긔 슌검 즁으로 여 보라 엿더니 경무텽에셔 로 야 십 여명을 록명...게재일1898년 8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
- 이진문;李鎭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2964 일본 東京 학교(집합) 朝鮮大高同窓會會員名簿 제1호(1923년 12월 30일 현재) 1924 5면 2. 제2 통상회원(무순) 이진문;李鎭文 경남 고성군 회화면 녹명리 328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녹명 / 錄名 [정치·법제/법제·행정]
과거 응시자의 자격을 심사해 응시원서를 접수하던 제도. 단 한번의 시험으로 합격·불합격이 결정되는 알성시·정시·춘당대시를 제외한 식년시(式年試)·증광시(增廣試)의 경우는 시험 전에 반드시 녹명을 해야만 하였다. 시한은 시험 10일 전에 녹명소에서 하는 것이 원칙이었
-
녹차 / 錄差 [정치·법제/법제·행정]
신원을 확인하여 등록하고 임명. 중국으로 파견되는 삼사(사·부사·서장관)가 데리고 갈 자제와 가노는 의정부에서, 교린국에 파견되는 사신의 경우에는 이조에서 각각 녹차하였다.『통문관지』에 의하면 정사와 부사는 서자·마두·좌견마·일산봉지 각 1명과 인로 2명, 농마두·건
-
태학은배시집 / 太學思杯詩集 [문학/한문학]
성균관 태학생과 초계문신들의 시를 모아 1798년에 간행한 시선집. 5권 2책. 고활자본. 정조가 성균관 춘당대(春塘臺)에서 친시(親試)를 보인 다음, 『시경(詩經)』 녹명장(鹿鳴章) ‘我有嘉賓(아유가빈)’이라는 글귀를 새긴 은배(銀杯)를 하사하고 어제문(御製文)을
-
풍아별곡 / 風雅別曲 [문학/고전시가]
皇者華」·「첨피기욱 瞻彼淇薁」·「녹명 鹿鳴」·「실솔재당 蟋蟀在堂」·「산유추 山有樞」의 5편을 각각 새겨서 불렀다.
-
보거주 / 保擧主 [사회/사회구조]
조선시대 과거응시자들의 신분보증인. 과거응시자들 중에서 사조 이내에 현관이 없는 자는 녹명시에 반드시 보단자를 첨부하게 하였는데 이는 신분이 미천하거나 애매한 자들의 응시를 예방하기 위한 조처였다. 또 여기에는 과거에 관한 제반규정의 준수나 과장에서의 농간을 예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