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노포동고분”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적, 김해 양동리 유적과 함께 한반도 남부지방 국가발생의 배경 및 당시의 사회생활 해명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부산Ⅰ』(부산시립박물관, 1988) 『부산노포동유...
  • 부산광역시립박물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굴조사가 행해졌는데, 대표적 발굴유적으로는 덕천동고분군, 군, 두구동임석유적, 복천동고분군, 가달고분군, 만덕동사지, 당감동성지, 해운대구석기유적, 금단곶보성지, 청강리고분군, 동삼동패총, 범방패총 등을 들 수 있다. 학술연구작업으로는, 발굴조사된 유적...
    이칭별칭부산박물관
  • 덧널무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 있다. 韓國考古學槪說(金元龍, 一志社, 1973) 釜山(釜山直轄市立博物館, 1985) 慶州朝陽洞土壙墓群4次發掘槪觀(崔鍾圭, 韓國考古學年報 9, 1982) 경주 조양동 무덤...
    이칭별칭목곽묘|목곽봉토분|목곽분|나무곽 무덤
  • 부산광역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호)은 초기철기시대의 유적으로 여기에서는 제철노지(製鐵爐址)가 발견되었다. 삼국시대의 고분군은 동래 복천동고분군(사적 제273호), 연제구의 연산동고분군(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호), 금정구의 군(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2호), 강서구의 생곡동 가달고분(부...
    이칭별칭부산

주제어사전(1)

  • / [역사/선사시대사]

    부산광역시 금정구 노포동에 위치하고 있는 청동기시대 집자리[住居址] 및 초기철기시대의 덧널무덤[木槨墓] 유적. 청동기시대 전기 유적에서 보이는 벽구는 영남지방 전기 청동기시대 집자리의 한 특징이다. 골아가리토기는 청동기시대 전기 유적의 표지적(標識的) 유물이며, 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