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노인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
사전(1)
- 노인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동성집단이나 동성마을에서 운영하던 경로기관. [내용] ‘양로소(養老所)’라고도 한다. 물론 전통사회의 모든 마을들에 노인소가 다 있지는 않았으며, 또한 각 노인소마다 그 존재형태가 달랐다. 한편 마을의 사회적 여건이 변화함에 따라 노인소...
고서·고문서(47)
- 부주전상백시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父主前上白是 安生行期退轉一旬今始登程幾日同 病之餘亦不無去留之懷耳再昨得見 好節目冊子於本島者似與朴閤 主見又相不同豈內固一體而外若佯 異者耶其心可謂路人所知也三 札及兩度唁狀付上隨便傳去伏望 六月稅舡便文煥似上去換着衣 服而來耳不備達 三月十三日子益鉉 追上書분야문학 | 유형문헌
- 형주전상평서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知委其心可謂路人所知也 海曲蒼生莫不竊笑豈意廟論 衰削至此也蒙宥早晩固不敢望也 而無論某時回道見鷄龍及靑乃 已爲計耳剪蔓不備上平書 丙子三月吉日舍弟益鉉분야문학 | 유형문헌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自上宜有敦諭勉出之道矣。 上曰, 司馬昭之心, 路人所知, 彼輩之疏, 專出乖亂, 得其惡言, 不足怒, 且予旣施島配之典, 則大臣何如是過嫌乎? 使入侍承旨, 敦諭于領府事, 使之同爲入侍, 可也。 入侍承旨蔡成胤, 承命趨出。 左承旨趙最壽入侍。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2782 B062782 도배 島配 도서 일반 英祖實錄 十三年(1737) 三月 영조실록_11303011_001 ○己亥 / 憲府【持平韓翼謩。】 申前啓, 又啓: “明彦父子之心, 路人所知, 國家無法, 至今假息。 酌處之命, 出於意外。 夫玄機雖以誣告自服, 世樞輩之招, 不能自白...출처전거英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1898 B061898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高宗 1年 2月 2日_015 ... 科, 字字凶譎, 節節陰憯, 設心造意, 路人所知。 此不可但以挾雜KC03860覬[希覬]論之, 則島配之典, 豈足以懲其萬一也哉? 魯觀至嚴, 禹鼎昭揭, 雖以大聖人好生之德, 歸之無恥無識...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2)
- 노인소비자의 인적자본 및 사회적 자본이 노동시장 참여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영애, 게재일 : 201658853 이영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노인소비자의 인적자본 및 사회적 자본이 노동시장 참여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유형논문 | 게재일2016
- SERVICE QUALITY, PERCEIVED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MONG FITNESS CENTER MEMBERS AGED 60 YEARS AND OVER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현순, 게재일 : 2014201_id=10025512&local_id=10049054 스포츠센터 노인소비자의 서비스품질,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도, 행동의도 간의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re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14
연구과제(1)
-
박완서 노년문학의 총체적 연구 -‘심리학적․사회학적 노년학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박태상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
-
노인소 / 老人所 [사회/촌락]
동성집단이나 동성마을에서 운영하던 경로기관. ‘양로소(養老所)’라고도 한다. 물론 전통사회의 모든 마을들에 노인소가 다 있지는 않았으며, 또한 각 노인소마다 그 존재형태가 달랐다. 한편 마을의 사회적 여건이 변화함에 따라 노인소도 그 형태와 원래의 기능이 많이 바뀌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