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노수신” 에 대한 검색결과 3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8)

사전(163)

  • 적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북도 괴산군 칠성면 사은리 에 있는 ()이 을사사화(乙巳士禍)로 유배되어 거처하던 적소(謫所). [내용] 충청북도 기념물 제74호. 은 1545년(인종 1) 사간원정언이 되어 이...
    연계항목노수신적소(盧守愼謫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朝人物考)』 『조선명신록(朝鮮名臣錄)』 『조선유학사(朝鮮儒學史)』(현상윤, 민중서관, 1949) 유묵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이칭별칭 과회(寡悔)| 소재(蘇齋), 이재(伊齋), 암실(暗室), 여봉노인(茹峰老人)| 문의(文懿), 문간(文簡)
  • TD_L14_D_0341 인물 寡悔, 蘇齋, 壁書獄, 領相, 文章, 儒宗 中廟癸卯, 丁未 光州, 海島 灘叟, 晦齋, 退陶 D_03_01_129 대동운부군옥 3권 1장 12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3권 1장 12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J_0221 인물 愁髮含霜白, 衰顔倚酒紅, 髮短何勞白, 顔衰肯更紅, 衰鬢霜供白, 愁顔酒借紅, 鬢爲愁先白, 顔因醉後赬, 鬢短愁催白, 顔衰酒借紅, 詩語意相類, 優劣, 鬢爲憂時白, 顔因嗜酒酡, 全襲樂天, 酡醉顔, 酡字下得無意 我朝 尹式...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0권 1장 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학자 인물 한국 조선 중종~선조 이기순 이범직 2009 과회(寡悔) 소재(蘇齋), 이재(伊齋), 암실(暗室), 여봉노인(茹...

고서·고문서(102)

  • 六月, 右議政白上曰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六月, 右議政白上曰 29_207_021.jpg ○六月, 右議政白上曰: “戶曹判書, 必以有心計年未老者委任, 可也。 正二品之列, 無此等人。 願簡自聖心, 擢而用之。” 上曰: “年少之人, 有欲爲戶判者乎?” 守愼慙而退。 副...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閏四月。 左議政自春辭疾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 經筵日記三 56 ○閏四月。 左議政自春辭疾 30_189_088.jpg ○閏四月。 左議政自春辭疾, 請免章十三上, 上終不允, 乃出仕。 上引見賜酒。 時領、左相雖人望, 而不能有爲, 只隨波而已。 變異疊現, 自上別無消弭之策, 而遽請復正殿, 識者...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六月。 辭疾不已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 經筵日記三 56 ○六月。 辭疾不已 30_189_140.jpg ○六月。 辭疾不已, 上累賜不允批答。 一日鄭澈製進, 其略曰: “大臣無可去之義, 而有必退之志, 則不過苟焉謀身以負國也。 自卿 卿: 대규에는 없음.爰立之日, 衆喜得 得: 대규에는...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九月。 左議政以母喪去位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 經筵日記三 56 ○九月。 左議政以母喪去位 30_189_174.jpg ○九月。 左議政以母喪去位。 ○大司諫李珥上疏辭職。 其意略曰: “當今急務在於打破東、西, 保合士類, 而臣不能鎭定, 請爲庶官, 以盡葵藿之誠。” 上答曰: “具悉卿意, 可勿辭...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隆慶五年辛未○今上四年三月。 以爲大司憲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隆慶五年辛未○今上四年三月。 以爲大司憲 28_119_110.jpg 隆慶五年辛未○今上 今上: 대규에는 없음.四年三月。 以爲大司憲。 守愼自復職之後 守....後: 대규에는 없음.每欲退休, 上章乞歸養父母, 言甚切至, 命授近...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기초학문(1)

  • 穌齋 『大學集錄』의 지식세계와 그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5
    72083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사학회 2015 穌齋 『大學集錄』의 지식세계와 그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15

멀티미디어(52)

  • 소재 과 조선의 양명학_9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대한 관념 4주차. 조선 유학의 사단칠정논변 5주차. 예송 6주차. 열녀의 탄생 7주차. 조선의 법치 8주차. 조선 최고의 개혁 대동법 9주차. 소재 과 조선의 양명학 10주차. 논쟁으로서의 서학 강명관 전)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한문학 박
    강좌제목한국 유학의 논쟁 | 강의자강명관
  • 소재 과 조선의 양명학_9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대한 관념 4주차. 조선 유학의 사단칠정논변 5주차. 예송 6주차. 열녀의 탄생 7주차. 조선의 법치 8주차. 조선 최고의 개혁 대동법 9주차. 소재 과 조선의 양명학 10주차. 논쟁으로서의 서학 강명관 전)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한문학 박
    강좌제목한국 유학의 논쟁 | 강의자강명관
  • 소재 과 조선의 양명학_9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대한 관념 4주차. 조선 유학의 사단칠정논변 5주차. 예송 6주차. 열녀의 탄생 7주차. 조선의 법치 8주차. 조선 최고의 개혁 대동법 9주차. 소재 과 조선의 양명학 10주차. 논쟁으로서의 서학 강명관 전)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한문학 박
    강좌제목한국 유학의 논쟁 | 강의자강명관
  • 소재 과 조선의 양명학_9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대한 관념 4주차. 조선 유학의 사단칠정논변 5주차. 예송 6주차. 열녀의 탄생 7주차. 조선의 법치 8주차. 조선 최고의 개혁 대동법 9주차. 소재 과 조선의 양명학 10주차. 논쟁으로서의 서학 강명관 전)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한문학 박
    강좌제목한국 유학의 논쟁 | 강의자강명관
  • 소재 과 조선의 양명학_9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대한 관념 4주차. 조선 유학의 사단칠정논변 5주차. 예송 6주차. 열녀의 탄생 7주차. 조선의 법치 8주차. 조선 최고의 개혁 대동법 9주차. 소재 과 조선의 양명학 10주차. 논쟁으로서의 서학 강명관 전) 부산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성균관대학교 한문학 박
    강좌제목한국 유학의 논쟁 | 강의자강명관

주제어사전(19)

  • / [종교·철학/유학]

    1515(중종 10)∼1590(선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숭의 후손, 아버지는 홍이다. 1531년(중종 26) 이연경의 딸과 결혼하여 그의 문인이 되었다. 1541년이언적과 최초의 학문적 토론을 벌였다. 1543년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한 이후 전적·수찬을 거쳐

  • 노소재문적 / 盧蘇齋文籍 [언론·출판/출판]

    조선전기 문신·학자 의 후손가(경상북도 상주시)에 소장된 전적류. 의 문집·일기 및 관계 문서로, 문적에는 『노소재문집(盧蘇齋文集)』·『정사수록(呈辭手錄)』·『정청일기(政廳日記)』·『춘추관일기(春秋館日記)』·『광산노씨보략(光山盧氏譜略)』등이, 문서에는 매

  • 충주팔봉서원 / 忠州八峯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팔봉안길(문주리)에 있는 서원. 1582년(선조 1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자(李耔)·이경연(李慶延)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고 1612년(광해군 4) 김세필(金世弼)·()을 추가 배향하였다. 1672년

  • 김언건 / 金彦健 [종교·철학/유학]

    1511(중종 6)∼1571(선조 4).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공저, 아버지는 장사랑 자, 어머니는 흥양이씨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어 어려운 과정에서 학문을 닦았고, 장년이 되자 ·임훈 등과 교유하였다. 저서로는『운정유집』이 전한다.

  • 백광훈 / 白光勳 [종교·철학/유학]

    1537년(중종 32)∼1582년(선조 15). 조선 중기의 시인. 아버지는 세인, 어머니는 신광통의 딸이다. 형인 광안과 광홍 및 종제 광성 등 한 집안 4형제가 모두 문장으로 칭송을 받았다. 양응정· 등에게서 수학하였다. 예빈시, 소격서 참봉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