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노상직” 에 대한 검색결과 6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

사전(42)

  • 소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4년 의 문인들이 편집‧간행하였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서지적 사항] 48권 25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 진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묵은 쌀. 秧米數斗僅得送 此本調病者最良 其陳米未知新米亦勝於他新耶, (), 40-126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식보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보답을 받음. 음덕(陰德). 淨居康攝 炳燭增輝 左墳右典講究千古 朝負暮. 嘉惠來人 人間樂事 此已極矣 況滿庭琳琅 箇箇是希世之良珍 善家食報理所不誣, (), 53-17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안항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누추한 거처. 안회(顔回)가 살던 누추한 거리라는 데서 나온 말. 數日來 未得往探爲鬱 此兄來致惠墨 固知高棲調攝 淸閑可. 而有簞空之歎 顔巷之樂 自在其中耶, (),40-126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소눌선생문집책판외오십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의 시문집 및 그 외 50종 문헌의 책판. [내용] 1,113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76호. 은 김해 금곡(金谷)에서 출생하였으며, 자는 치팔(致八), 호는 소눌‧눌인(訥人)‧자암병수(...

고서·고문서(7)

주제어사전(12)

  • / [종교·철학/유학]

    1855년(철종 6)∼1931년. 일제 강점기 학자. 부친은 노호연, 부인은 하태긍의 딸이다. 성재 허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10년(융희 4) 경술국치를 당해 중국 안동현으로 가서 먼저 망명한 형 노상익과 합류하였다. 주요 저서로《동국씨족고》·《역연제강》·《고

  • 달서재문집 / 達西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의병 채선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판본. 1912년 성산(城山)에서 7세손 정규(廷奎)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권두에 정홍경(鄭鴻慶)의 서문과 권말에 김유헌(金裕憲)·목태석(睦台錫), 8세손 도(濤), (

  • 정종호 / 鄭宗鎬 [종교·철학/유학]

    1875년(고종 12)∼1954년. 일제 강점기 유학자. 부친 정재설과 모친 재령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노상익의 딸이다. 중부 정재기, 결혼 후에는 노상익·에게 학문을 배웠다. 파리장서 사건 때 본문을 칠곡군에 있는 장석영으로부터 받아서 대구의 윤상태

  • 괴암일고 / 乖庵逸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이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9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919년 목판으로 간행되었고, 1939년 그의 9세손인 병제(秉濟) 등에 의하여 편집, 중간되었다. 권두에 장석룡(張錫龍)의 서문과 권말에 ()·최종응(崔鍾應)의

  • 괴천문집 / 槐泉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유문룡의 시·서(書)·축문·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3권 2책. 목활자본. 권두에 ()의 서문과 그의 족후손(族後孫) 해엽(海曄)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영남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156수, 권2에 소 1편, 서(書)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