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노비종부법”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양인남자(良人男子)와 천인처첩(賤人妻妾) 사이의 자녀에게 부계(父系)를 따라 양인이 되게 하는 법. [내용] 고려시대 이래 전통적으로 천인의 혼인은 동색혼(同色婚)만 인정하고 양천교혼(良賤交婚)은 금지하였으며, 이 경우 소생은 모두 천인계...
    이칭별칭종부법
  • 조문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소론계의 반란[李麟佐의 亂]과 계속되는 역모 적발로 불안했던 왕권의 안정과 확립에 일정한 기여를 하였다. 또, ()의 폐지, 조운수로(漕運水路)의 편의를 위한 안흥목[安興項]의 개척, 주전(鑄錢)의 필요성 역설 등과 같이 민생 문제에도 큰 관심을 보였...
    이칭별칭 숙장(叔章)| 학암(鶴巖)| 문충(文忠)
  • 노비종모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還賤)이 번복되었다. 노의 양처소생에 대해 1669년에는 종량, 1679년(숙종 5)에 환천, 다시 1684년에는 종량, 1689년에 환천 등으로 되풀이되다가 1731년(영조 7)에는 종모법으로 확정되었다. → 高麗史 朝鮮...
    이칭별칭종모법
  • 노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생(婢妻妾所生)이 다수인 점에 착안하여 이들을 종량(從良)시키기 위해 양인 이상 신분의 남자와 천인처첩 사이에 태어난 자녀에게 부계(父系)를 따라 양인이 되도록 법제화했던 것이다. 실시 결과 양인의 수는 크게 증가했으나 이에 따른 여러 가지의 폐단 때...

주제어사전(1)

  • / [사회/사회구조]

    양인남자와 천인처첩 사이의 자녀에게 부계를 따라 양인이 되게 하는 법. 고려시대 이래 전통적으로 천인의 혼인은 동색혼만 인정하고 양천교혼은 금지하였으며, 이 경우 소생은 모두 천인계를 따라 천인신분으로 규정하였다. ≪경국대전≫에는 특수한 신분층의 천첩소생에게 예외로 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