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노비안검법” 에 대한 검색결과 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스스로의 세력을 믿고 강제로 노비화시킨 자들을 본래의 신분인 양인으로 회복시켜 주었다. 이러한 의 시행은 표면적으로는 억울하게 노비가 된 사람들의 신분을 바로 찾아준다는 의미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호족들의 사유물로 그들에게 귀속되던 세(稅)를 국가의 세...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956년 광종 때 양인이었다가 노비가 된 사람을 방량(放良)하게 한 일종의 노비 해방법.
    정의956년 광종 때 양인이었다가 노비가 된 사람을 방량(放良)하게 한 일종의 노비 해방법.[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Nobi An-geombeop | MR표기Nobi An’gŏmpŏ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대목왕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제4대 광종의 비. [내용] 태조의 셋째딸이며, 어머니는 신정왕태후(神靜王太后) 황보씨(皇甫氏)이다. 광종이 956년(광종 7) ()을 실시하려 하자 노비들이 그 주인을 배반하는 풍조가 성행하였으므로...
  • 광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책을 통해 새 국왕으로서의 지위 및 그 정치기반을 닦아나갔던 것으로 추측된다. 둘째 시기에는 호족세력의 제거와 왕권강화에 필요한 제도적인 조치를 취하였다. 956년에 ()을 실시했고 958년에는 과거제도를 시행하였다. 960년에는 백관의 공복...
    이칭별칭 일화(日華)| 대성(大成)|소
  • 노비환천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성종 때 방량된 노비를 다시 종으로 만든 법. [개설] 956년(광종 7) ()을 실시하여 사노비(私奴婢) 가운데 억울하게 노비가 된 자들을 풀어주었다. 그러나 이 들 가운데 옛 주인을 경멸하는 풍습이...

고서·고문서(7)

  • 후주(後周)의 고려 광종(光宗) 가책(加冊)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7년(956) 을 실시하고 9년(958) 과거제도를 시행하였으며, 11년(960) 백관 공복을 제정하는 등 호족의 경제적·군사적 기반을 약화시키고 신진인사를 등용하였다. 또 ‘광덕(光德)’, ‘준풍(峻豊)’ 등 독자 연호를 사용하고 개경을 ‘황도(皇都)’로 지...
    권차『冊府元龜』 卷965 外臣部 封冊3 | 연도959년 | 기사해제후주 공제가 현덕 6년(959) 고려 광종에게 검교태사를 가수(加授)했다는 내용이다.
  • 후주(後周)의 고려 사신 사여(賜與)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의 3남, 제3대 왕 정종(定宗, 재위 945~949)의 친동생으로 정종의 내선을 받아 즉위했다. 재위 7년(956) 을 실시하고 9년(958) 과거제도를 시행하였으며, 11년(960) 백관 공복을 제정하는 등 호족의 경제적·군사적 기반을 약화시키고 신진인사...
    권차『冊府元龜』 卷976 外臣部 褒異3 | 연도959년 | 기사해제후주 현덕(顯德) 6년(959) 고려 사신이 조공하고 물건을 바쳤다는 내용이다.
  • 후주(後周)의 고려 광종(光宗) 책봉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왕 정종(定宗, 재위 945~949)의 친동생으로 정종의 내선을 받아 즉위했다. 재위 7년(956) 을 실시하고 9년(958) 과거제도를 시행하였으며, 11년(960) 백관 공복을 제정하는 등 호족의 경제적·군사적 기반을 약화시키고 신진인사를 등용하였다. 또...
    권차『冊府元龜』 卷965 外臣部 封冊3 | 연도952년 | 기사해제후주 태조가 광순 2년(952) 유호(劉曍)와 고언포(顧彦浦)를 보내 고려 광종을 책봉하게 하였는데, 이들이 도중에 죽자 왕연(王演)과 여계윤(呂繼贇)이 이를 대신했다는 내용이다.
  • 고려의 후주 조공과 승려 사태의 공헌(貢獻)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太祖)의 3남, 제3대 왕 정종(定宗, 재위 945~949)의 친동생으로 정종의 내선을 받아 즉위했다. 재위 7년(956) 을 실시하고 9년(958) 과거제도를 시행하였으며, 11년(960) 백관 공복을 제정하는 등 호족의 경제적·군사적 기반을 약화시키고 신...
    권차『冊府元龜』 卷972 外臣部 朝貢5 | 연도952년 | 기사해제후주 광순(廣順) 2년(952) 고려가 정월에 서봉을 보내 조공하고 7월에는 승려 사태를 보내 방물을 바쳤다는 내용이다.
  • 고려의 왕긍 후주 파견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956) 을 실시하고 9년(958) 과거제도를 시행하였으며, 11년(960) 백관 공복을 제정하는 등 호족의 경제적·군사적 기반을 약화시키고 신진인사를 등용하였다. 또 ‘광덕(光德)’, ‘준풍(峻豊)’ 등 독자 연호를 사용하고 개경을 ‘황도(皇都)’로 지칭하는...
    권차『冊府元龜』 卷972 外臣部 朝貢5 | 연도959년 | 기사해제후주 현덕(顯德) 6년(959) 고려가 왕긍 등을 보내 명마(名馬)와 궁검(弓劍) 등을 바쳤다는 내용이다.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의 시행은 표면적으로는 억울하게 노비가 된 사람들의 신분을 바로 찾아준다는 의미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호족들의 사유물로 그들에게 귀속되던 세를 국가세로 전환시킨 것이었다.

  • 노비환천법 / 奴婢還賤法 [사회/사회구조]

    고려 성종 때 방량된 노비를 다시 종으로 만든 법. 956년(광종 7) 을 실시하여 사노비 가운데 억울하게 노비가 된 자들을 풀어주었다. 이들 가운데 옛 주인을 경멸하는 풍습이 생기자, 982년(성종 1)에 최승로는 글을 올려 의 폐단을 지적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