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노비변정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2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여 불법으로 빼앗은 노비를 본주인에게 환원시키거나 노비의 신분‧상속 관계가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 주는 일을 담당하였다. 이러한 노비변정사업은 조선 초기에도 계속되어 1395년(태조 4)‧1400년(정종 2)‧1401년(태종 1)‧1405년‧1414년에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초기에, 노비 소송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한 임시 관서
    정의조선 초기에, 노비 소송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한 임시 관서 | 문광부표기Nobi Byeonjeongdogam | MR표기Nobi Pyŏnjŏngdog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예원(掌隸院) 변정도감(辨定都監) 형조도관(刑曹都官), 변정원(辨定院)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태조~태종 성봉현 1395년(태조 4) 1414...
    상위어장예원(掌隸院) | 동의어변정도감(辨定都監) | 관련어형조도관(刑曹都官), 변정원(辨定院)
  • 단송도감(斷訟都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단송도감 단송도감 斷訟都監 도감(都監) (), 노비중분법(奴婢中分法)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성종 임용한 1481년(성종 12년) 1월 1481년(성종 12년...
    상위어도감(都監) | 관련어노비변정도감(奴婢辨定都監), 노비중분법(奴婢中分法)
  • 도관(都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관 도관 都官 상서도관(尙書都官), 형조도관(刑曹都官) (), 장예원(掌隸院), 형조(刑曹)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대한민국 고려·조선시대 차인배 [정의] 고려~조...
    동의어상서도관(尙書都官), 형조도관(刑曹都官) | 관련어노비변정도감(奴婢辨定都監), 장예원(掌隸院), 형조(刑曹)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노비소송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한 임시관서. 1395년(태조 4)·1400년(정종 2)·1401년(태종 1)·1405년·1414년에 을 설치하고 노비의 결송정한법·중분결절법·오결관리처벌법을 제정하는 한편, 오결사를 처리하였다. 각 방에는 사(3

  • 장례원 / 掌隷院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공사노비 문서의 관리 및 노비소송을 관장하였던 관서. 고려 말부터 여러 차례 이 설치되었다. 1401년(태종 1)에는 을 혁파하고 형조도관을 설치, 1466년(세조 12) 변정원으로 개칭하였다. 이듬 해 8만여 명의 공노비를 관장한다는

  • 노비안 / 奴婢案 [역사/조선시대사]

    노비의 호구를 기록한 장부를 지칭하는 용어. 일반적으로 노비안이라고 하면 공노비안(公奴婢案)을 의미한다. 고려 때에는 형부의 상서도관(尙書都官)이 공노비의 호적을 맡아보았으며, 사노비는 소유주의 호적에 기록되었다. 조선에 와서는 1395년(태조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