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노부도감”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국왕의 행차시에 의물기계(儀物器械)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특수관서. [내용] 국왕이 행차할 때 요구되는 의장(儀仗) 일체를 책임지는 관부로서 의물기계를 관장하는 정규관부인 위위시(衛尉寺)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설치...
  • 사위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司衛寺)라 칭하였다가 995년(성종 14)에 위위시로 바꾸었다. 사위시와 관련되는 관부로는 왕궁의 궁전(弓箭)을 제작하는 내궁전부(內弓箭庫)와 국왕의 행렬에 소요되는 노부(蓾簿) 일체를 관장하는 (簿), 그리고 원종(元宗) 5년에 설치하여, 원(元...
  • 부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庫都監)‧행랑도감(行廊都監)‧제기도감(祭器都監)‧(簿)‧전목사(典牧司)‧팔관보(八關寶)‧내장택(內庄宅)‧도재고(都齋庫)‧동서대비원(東西大悲院)‧제위보(濟危寶)‧제궁전관(諸宮殿官) 등 임시관서에 두어졌다. 외직으로는 도호부(都護府)‧목(牧)‧방어진(防...
    이칭별칭부령|부제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추밀(樞密)과 6상서(尙書) 가운데 2인이 겸하였다. 또한, 3품 이상으로서 사면도감(四面都監)에 1인, 내장택(內庄宅)에 1인, 창고도감(倉庫都監)‧행랑도감(行廊都監)‧대상부(大常府)에 3품 겸관으로 각 1인, 제기도감(祭器都監)‧(簿)에 3품 겸...
  • 정오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考功司)ㆍ도관(都官)의 낭중(郎中), 합문(閤門)의 인진사(引進使), 동궁관(東宮官)의 좌우찬선대부(左右贊善大夫)ㆍ중사인(中舍人)ㆍ중윤(中允) 등이 있었다. 동문원(同文院)ㆍ태상시(大常寺)ㆍ창고도감(倉庫都監)ㆍ행랑도감(行廊都監)ㆍ제기도감(祭器都監)ㆍ(...

주제어사전(2)

  • / 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국왕의 행차시에 의장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특수관서. 국왕이 행차할 때 요구되는 의장 일체를 책임지는 관부로서 의물기계를 관장하는 정규관부인 위위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설치연대는 문종 이전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직제로는 3품의 관리가 겸직한 사

  • 사위시 / 司衛寺 [정치·법제/법제·행정]

    하는 내궁전부와 국왕의 행렬에 소요되는 노부 일체를 관장하는 , 그리고 원종 5년에 설치하여, 원에의 행차 뿐 아니라 국왕이 거동할 때, 이에 따르는 각종 사무를 관장한 행종도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