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노부” 에 대한 검색결과 3,87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824)

사전(1,55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중고기의 장군. [내용] 관등은 파진찬(波珍飡)이었다. 551년(진흥왕 12)에 거칠부(居柒夫) 및 대각찬(大角飡) 구진(仇珍), 각찬(角飡) 비대(比臺), 잡찬(迊飡) 탐지(耽知), 비서(非西), 파진찬 서력부(西力夫...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보통 궁정에서는 의장, 행차 때에는 라 지칭하지만 그 내용은 같다. 는 그 규모에 따라 대장(大仗)‧소장 혹은 대가(大駕)‧법가(法駕)‧소가(小駕) 로 구분되었다. 또 신분에 따라서 태자(세자)‧왕비의장‧왕세손의장 등이 따로 마련되었다. 용도에 따...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고려와 조선 시대 왕실의 의장 제도(儀仗制度). 궁중의 의례나 임금의 외부행차 때 동원된 각종 의장 물품과 그 편성 및 운영 제도를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의장 제도가 쓰인 것은 고려시대부터이고, 조선 시대 는 세종 때 정비되어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수록되어 있...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국 역대 황실의 행차를 무력 및 의전으로 수행하던 병력
    정의중국 역대 황실의 행차를 무력 및 의전으로 수행하던 병력 | 문광부표기nobu | MR표기no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1,994)

  • 簿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700 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ITKC_MP_0597A_1700_040_0220 簿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餛飩錄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三綱行實圖 三綱行實孝子圖 子米 권채(權採), 설순(偰循) 105 子路姓仲名由孔子弟子事親至孝家貧食藜藿之食爲親負米於百里之外親歿之後南遊於楚從車百乘積粟萬鍾累裀而坐列鼎而食乃歎曰雖欲食藜藿之食爲親負米不可得也孔子聞之曰由也可謂生事盡力死事盡思者也 家貧藜藿僅能充負米供親困苦中當日孔門...
    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타래 도 여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연수현(延壽縣) 조선족중학 2 2 타래, 들는다해도, 성에차질않아, 물자요구,
    대표표제어노부타래 | 성씨
  • 鄕藥集成方 第八 傷寒門 傷寒後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202 傷寒後 【聖惠方】論曰夫傷寒病新差津液未復血氣尙虛若勞動早更復成病故云也若言語思慮則勞神梳頭澡浴則勞力勞則生熱熱則氣虛還入經絡故復病也其脈緊者宜下之也【聖惠方】治傷寒新差後起早飮食過度...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부따라 정 남자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龙县) 4 3 부따라, 이미, 귀국, 저희아버님, 수십년동안, 누이동생, 대...
    대표표제어노부부따라 | 성씨

구술자료(91)

  • 좌처 우처 며느리 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참동안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다가, 이제 좀 뜸해지는 듯하자 자진해서 시작한 것이다. *
    조사일시1982-08-07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 제보자김형효
  • 권기선 할아버지와 이몽실 할머니는 부부 사이로 범왕 노인회관에서 만났던 화자이다. 다른 사람 들보다 구연에 앞장 서는 모습을 보여서 자택으로 찾아가 이야기를 들었다. 두 분 모두 이곳이 고 향으로 할아버지가 입대했을 때 말고는 줄곧 범왕에서 생활했다. 빨치산 치하의
    조사지역경남 하동 | 조사일2012년 1월 10일
  • 저승강 산즈노가와를 지키는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일본 20161217_033_012_일본_01_모우에히로꼬_E_저승강 산즈노가와를 지키는 부 민속·문화 저승강 산즈노가와를 지키는 부 2016. 12. 17(토) 오후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 읍하리 모우에 히로꼬 [일본, 여, 1967년생, 결혼이주 19년차]
    국가일본 | 제보자모우에 히로꼬 [일본, 여, 1967년생, 결혼이주 1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부의 정성으로 얻은 옐토스토크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카자흐스탄 20161117_033_027_카자흐_01_우쿠자노바디나_F_부의 정성으로 얻은 옐토스토크 민담 부의 정성으로 얻은 옐토스토크 2016. 11. 17(목) 밤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 읍하리 우쿠자노바디나 [카자흐스탄, 여, 1981년생, 결혼이주 13
    국가카자흐스탄 | 제보자우쿠자노바디나 [카자흐스탄, 여, 1981년생, 결혼이주 1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개와 고양이가 가져온 부자방망이로 부자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른 제보자가 이야기를 하는 동안 기다렸다가 이야기를 마치자 제보자가 바로 이어서 이 이야기를 시작했다.
    조사일시2009.02.09 | 조사장소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 개평마을 | 제보자정경순(여,82세)

기초학문(26)

  • 여성의 모 보살핌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동옥, 게재일 : 2011
    57007 이동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여성연구소 2011 여성의 모 보살핌 경험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근대기 오다 나가 영웅상 형성에 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경자, 게재일 : 2013
    49789 한경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본연구센터 2013 근대기 오다 나가 영웅상 형성에 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중년기 자녀의 모에 대한 자원이전의 호혜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고선강, 게재일 : 2012
    36261 고선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2 중년기 자녀의 모에 대한 자원이전의 호혜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모 자녀 동거의 결정요인과 지역간차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미영, 게재일 : 2009
    44908 김미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농촌계획학회 2009 모 자녀 동거의 결정요인과 지역간차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손자.녀 양육형태가 모와 성인자녀의 세대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4
    32332 한국연구재단 한국노년학회 2004 손자.녀 양육형태가 모와 성인자녀의 세대간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131)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덕공관을 궁부에셔 슈야 궁궐을 확장려 데 졍동에잇 각공관에 왕 통로가 막히고로 각공가 회의야 통로를 막지못다 말은 이왕긔 엿거니와 외부에셔 그건에 야 각공관으로  셩명엿더니 영공 쥬이뎐씨가 일젼에 외부에 젼왕야 말기를 졍동 ...
    게재일1902년 7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三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졍 윤용션씨와 돈뎡원 심슌씨와 즁츄원의쟝 죠병셰씨가 작일에 집으로 도라갈에 윤의졍은 졍 쥬기를 국젹 용익을 베이지 못즉 신등의죄라 력젹 용익을 셩토일이 급나 진연의 경가 즁온즉 집에 도라가 경연에 참여후에 다시 상 쥬야 력젹으로 불공텬다 엿...
    게재일1902년 12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78세 인의 시국 생각(感念)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78세 인의 시국 생각(感念)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조양보(朝陽報) 조양보(朝陽報)_12호 七十八歲人의時局感念 1907. 01 담총 294~295 422~424 미상(未詳) 대한제국 인이 아들에게 들려주는 형식...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2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舊된 北支로 仁川海產物進出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販舊된 北支로 仁川海產物進出 1938년 4월14일 인천 인천 판로가 복구된 북지로부터 인천상공회의소를 통해 조선
    대표표제어販路復舊된 北支로 仁川海產物進出 | 연월일1938년 4월14일 | 지역인천
  • 아라 스지란신문에 말기를 일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아라 스지란신문에 말기를 일본과 아국이 동면 죠흘줄노 론란되 일본셔 아라와 동면 소득이 만흘언이와 만약 그동을거졀면 일본셔 도로여 지금잇리익과 권리지 일허 바리리라 엿다더라
    게재일1901년 4월 9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멀티미디어(1)

  • JAPANESE SURRENDER ON KOREA, 09‐08‐1945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이 영상은 1945년 9월 8일 조선총독부에서 거행된 일제의 항복문서 조인식 모습을 담고 있다. 이 조인식에는 미군 측 대표로 존 하지 중장과 토마스 킨케이드 미 해군 제독이 참석했으며 일본 측에서는 아베 유키 총독을 비롯한 3명의 일제 관리가 배석했다. 항복 문
    자료구분NARA수집영상 | 제작년도1945년 8월

기타자료(26)

  • (교단문원) 새벽길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단문원) 새벽길 (교단문원) 새벽길 (교단문원) 새벽길 교육 문헌 초등교육 교사문화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감충효 | 사료철명교육경남
  • (기획 좌담) 미술 교육을 통한 인간 교육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자, 박용운, 엄기홍, 이규선, 이수경, 장영식 1995 8 교육월보 164호 ...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노부자, 박용운, 엄기홍, 이규선, 이수경, 장영식 | 사료철명교육월보
  • 19. Telegram to SCAP : 전문, 1946.02.16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1946년 1월 12일 일반명령에 의해 지정된 군사법원에서 각각 14일과 15일에 타케히코 노다와 요시 와타나베의 재판을 진행함. 혐의는 일본대본영의 항복문서 위반과 제2선언의 위반, 아편 불법 운송임. 노다 타케히코는 유죄를 선고받음. 2년간의 구금형과 중노동을...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G USAFIK | 수신자SCAP
  • 백제의 예군 등이 왜의 대마도에 도착하여 첩과 방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산중(大山中) 우네메노무라지노토모(采女連信侶)·승(僧) 치벤(智辨) 등을 보내어 객을 별관(別館)에 불러 왔다. 이에 지변이 물어 말하였다. ‘표서(表書)는 있고 아울러 헌물은 아닌가.’ 사인(使人)이 답하여 말하였다. ‘장군 첩서(牒書) 1함(函)과 헌물(獻物)이...
    대표표제어백제의 예군 등이 왜의 대마도에 도착하여 첩과 방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3년(癸亥/신라 문무왕 3/고구려 보장왕 22/唐 龍朔 3/倭 天智 2)
  • 유주장사 조함장이 발해군과 싸우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謀 含章不信 戰白城 果大敗 承玼獨按隊出其右 斬首萬計 可突于奔北奚 渤海大武藝與弟門藝戰國中 門藝來 詔與太僕卿金思蘭發范陽新羅兵十萬討之 無功 武藝遣客刺門藝於東都 引兵至馬都山 屠城邑 承玼窒要路 塹以大石 亘四百里 得入 於是流民得還 士少休 脫鎧而耕 歲省度支運錢 (『新唐書』 13...
    대표표제어유주장사 조함장이 발해군과 싸우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34년(甲戌/ 신라 성덕왕 33/ 발해 무왕 仁安16/ 당 현종 開元22/ 일본 聖武 天平5)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52)

  • / 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 왕실의 의장제도. 조회·연회 등의 궁정 행사와 제향, 능행 등의 외부 행차 때 위엄을 과시하기 위해 동원된 각종 의장 물품과 그 편성 및 운용 제도를 통칭한다. 의장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보통 궁정에서는 의장, 행차 때에는 라 지칭하였다.

  • 도감 / 簿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국왕의 행차시에 의장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특수관서. 국왕이 행차할 때 요구되는 의장 일체를 책임지는 관부로서 의물기계를 관장하는 정규관부인 위위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설치연대는 문종 이전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직제로는 3품의 관리가 겸직한 사

  • 속로불사국 / 速斯國 [지리/인문지리]

    삼한시대 마한의 소국. 마한 54소국 중의 하나이다. 『삼국지』위서 동이전의 한조(韓條)에는 삼한소국들의 여러 이름들이 열거되어 있다. 나라이름들은 당시의 중국음으로 표기한 것인데, 대체로 우리 나라의 한자음에 가까워 위치비정에 많은 참고가 된다. 따라서 ‘속로불사’는

  • 소가 / 小駕 [정치·법제]

    국왕의 행차나 전정 의례에서의 등급 가운데 하나. 국왕의 에는 대가, 법가, 소가의 세 등급이 있다. <국조오례의>에 따르면 소가 는 능에 참배할 때와 각종 행차시에 쓰이는 가장 간략한 형식의 이다. 소가 에 배치되는 의장을 소가 의장이라 한다.

  • 반장 / 半仗 [정치·법제]

    국왕이 궁궐의 전정에서 의례를 거행할 때 진열되는 의장. 국왕이 행차할때 의례의 중요도에 따라 대가, 법가, 소가로 차등화된 를 사용한다. 전정에서 의례를 거행할 때에도 그 중요도에 따라 세 등급의 차등화 된 를 배치한다. 대가의 등급으로 의장과 시위를 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