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노봉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6)
사전(16)
- 최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받았다. 남원의 노봉서원(露峯書院)에 제향되었다. 『인조실록(仁祖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이칭별칭 휘숙(輝叔)| 폄재(?齋)
- 노봉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북도 청원군 현도면 하석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615년(광해군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인수(宋麟壽)와 정렴(鄭?)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8년(현종 9)에 사액되었으며...연계항목노봉서원(魯峯書院)
- 노봉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가산리에 있는 서원. [내용] 1724년(경종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번(柳藩)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
- 노봉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649년(인조 2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홍순복(洪順福)‧최상중(崔尙重)‧오정길(吳廷吉)‧최온(崔溫)‧최휘지(崔徽之)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사우를 창건하여 위패...
- 최상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품고 있다고 첫눈에 알아 보았다 한다. 그리고 임진왜란 때는 호남을 내왕할 때 쌀을 가지고 다니며 굶주린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도승지에 추증되었다가 아들 연(葕)의 공으로 대사헌에 가증되었으며, 남원의 노봉서원(露峰書院)에 제향되었다.이칭별칭 여후(汝厚)| 미능재(未能齋)
고서·고문서(80)
- 노봉서원(露峯書院) 노봉서원제의(露峯書院祭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홀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홀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799년 노봉서원(露峯書院) 노봉서원유현록(露峯書院儒賢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서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기사년 노봉서원(露峯書院) 완문(完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세금-완문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완문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노봉서원(露峯書院) 재임(齋任) 서목(書目)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서목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서목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936년 노봉서원(魯峯書院) 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이 통문은 1936년 1월 노봉서원에서 권진을 비롯한 그 일문의 선현들을 숭봉하기 위해 계모임을 갖는데, 이를 양해해 달라며 옥산서원에 보낸 것이다. 노봉서원에서 추배하는 인물은 모두 넷이다. 먼저 권진은 세종 때 우의정에까지 오른 인물로 그가 세상을 떠나자 세종께서...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주제어사전(3)
-
노봉서원 / 魯峰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가산리에 있는 서원. 1724년(경종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번(柳藩)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9년(고종 6)에 훼철되었다.
-
노봉서원 / 魯峰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서도리에 있었던 서원. 1649년(인조 2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홍순복(洪順福)·최상중(崔尙重)·오정길(吳廷吉)·최온(崔溫)·최휘지(崔徽之)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사우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7년(숙종 23)에 ‘노봉(露峰)’
-
노봉서원 / 魯峰書院 [교육/교육]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하석리에 있었던 서원. 1615년(광해군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인수(宋麟壽)와 정렴(鄭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8년(현종 9)에 사액되었으며, 1695년(숙종 21) 송시열(宋時烈)을 추가배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