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노박집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11)
- 노박집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657년(효종 8) 『어록해(語錄解)』에 「한어집람자해(漢語集覽字解)」로 중간되었다. 『국어학사논고』(박태권, 샘문화사, 1976) 『노박집람연구(老朴集覽硏究)』(박태권, 이숭녕박사송수기념논총, 1968) 『노박집람고(老朴集覽...
- 번역박통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박통사』 원문의 한자에 한글로 음을 달고 번역한 책. [내용] 현재 권상 1책만 전하나 『노박집람(老朴集覽)』의 「박통사집람」과 1677년(숙종 3)에 간행된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에 의하여 상‧중‧...
- 주해어록총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차이가 있다. 더욱이, 판심의 서명을 『주자어록(朱子語錄)』이라 한 것은 다른 어록과 구별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나, 『노박집람(老朴集覽)』에서도 항목이 채록되었으므로 적절하지 못하다. 책머리에 백두용(白斗鏞)이 편찬하여 윤창현(尹昌鉉)이 증정하였다는 기록...
- 이문집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그 집람도 만들었다고 한다. 요컨대, 이 책의 편찬으로 이문의 학습서와 그 참고서가 어느 정도 완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집람이란 ≪노박집람 老朴集覽≫ 등의 예에 따라서, 표제어 아래 한문의 협주를 다는 방식이다. 그 주석에 간혹 ‘향명’‧‘향언’‧‘속언’이...
- 박통사(朴通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였다. [편찬/발간 경위] 『박통사』의 원본은 전하지 않으나 조선 중종대에 최세진(崔世珍)이 편찬한 『노박집람(老朴集覽)』에 ‘구본(舊本) 박통사’가 자주 등장하였다. 이것이 『박통사』의 원본을 말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연구가 있었다. 따라서 『노걸대』의 원...상위어역학(譯學), 한학(漢學) | 관련어『노걸대(老乞大)』
주제어사전(3)
-
노박집람 / 老朴集覽 [언어/언어/문자]
조선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의 어려운 어구와 고유명사 등을 뽑아 설명한 책. 1책. 을해자본. 이 책은 서문이나 발문이 없으므로 언제 간행되었는지 정확하지 않으나 『번역박통사』와 『번역노걸대』의 관계, 『사성통해
-
주해어록총람 / 註解語錄總覽 [언어/언어/문자]
『주자어록(朱子語錄)』이라 한 것은 다른 어록과 구별하기 위한 것이기는 하나, 『노박집람(老朴集覽)』에서도 항목이 채록되었으므로 적절하지 못하다.
-
번역박통사 / 飜譯朴通事 [언론·출판/출판]
조선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박통사』 원문의 한자에 한글로 음을 달고 번역한 책. 현재 권상 1책만 전하나『노박집람』의「박통사집람」과 1677년(숙종 3)에 간행된『박통사언해』에 의하여 상·중·하의 3권 3책임이 분명하다. 이 책에는 간기가 없으나, 151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