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노계집” 에 대한 검색결과 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새로 7수가 발견됨. ), <노주유거 蘆洲幽居> 1수, <자경 自警> 3수, <사친 思親> 1수, <모현 慕賢> 2수, <조홍시가 早紅枾歌> 4수이다. ≪≫가운데에서 권1의 <중용성도>‧<대학경도>‧<소학충효도>는 주자학에 입각하여 경서를 도해한 것이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의 치적과 민간의 질고 등을 일일이 탐사하여 잘잘못을 지적한 것이다. / 김재현 조선 중기의 문신 김재현의 문집. 연활자본. 규장각도서. / 김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중기의 시인 노계 박인로(朴仁老, 1561-1642)의 시문집.
    정의조선 중기의 시인 노계 박인로(朴仁老, 1561-1642)의 시문집.[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Nogye jip | MR표기Nogye chi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입암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단가. [구성 및 형식] 모두 29수로, 작자의 문집인 『()』 권2에 22수가 실려 있고, 7수는 사본(경상북도 영일군 죽장면 매현리 박인로 종손가 소장)으로 전한다. 이 작품은 작자의 만...
  • 조홍시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01년(선조 34)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연시조. [구성 및 형식] 모두 4수. 작자의 문집인 『()』 권3에 실려 있고, 『청구영언』‧『해동가요』 등에도 전한다. [내용 및 평가] 이덕형(李德...

고서·고문서(2)

주제어사전(14)

  • /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신연활자본(新沿活字本)이다. 규격은 29.5×18.7cm이고, 반곽은 21.2×14.8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이다. 김재현(金載顯)이 지었고, 서문(序文)은 丙子(1936)에

  • 여정한강욕우울산초정 / 與鄭寒岡浴于蔚山椒井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시조. 2수. 1800년(정조 24)에 간행된 초간본 『()』과 1904년에 중간된 『』의 각각 제3권 가편(歌篇)에 실려 전한다. 『』의 기록에 의하면, 이 작품은 1621년(광해군 13) 작자가 정구(鄭逑

  • 독락당 / 獨樂堂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조선 중기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 ≫ 권3에 실려 있다. 3음보 혹은 4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총 123행으로, 박인로가 지은 가사 가운데 최장편이다. 주제는 작자가 이언적(李彦迪)의 유적인 경주 옥산

  • 선상탄 / 船上歎 [문학/고전시가]

    1605년(선조 38)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전문 68절 144구. 『()』에 실려 있다. 박인로가 통주사(統舟師)로 부산에 부임할 때 전선(戰船)에서 전쟁의 비애와 평화를 추구하는 심정을 노래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무부(武夫)로서의 지은이의 패기

  • 누항사 / 陋巷詞 [문학/고전시가]

    1611년(광해군 3)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박인로의 나이 51세 때 작품으로 『()』에 실려 있다. 4음보 혹은 3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총 77행이다. 작자가 이덕형(李德馨)과 교유할 때 작자의 곤궁한 생활을 묻는 데 대하여 답으로 지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