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노걸대언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5)
사전(18)
- 노걸대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권의 내용은, 물건을 사고 파는 법, 양(羊)의 종류와 이름, 척촌제도(尺寸制度), 활과 화살 만드는 법, 연회음식의 종류와 명칭, 복식(服飾), 육갑(六甲) 등에 대한 이야기로, 당시의 생활상이나 습속들이 비교적 자세히 소개되어 있다. ≪노걸대언해≫는 체재‧...
- 신석노걸대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걸대신석』 1본과 더불어 그 언해본 3본이 1763년에 운각(芸閣:교서관)에서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그 판목들이 사역원에 보관되어 있었다고 하지만, 아직 그 실물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 현재 규장각에는 1670년에 간행된 것으로 보이는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
- 마포습아(麻布褶兒)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름의 크기 등이 다양했으며, 이로써 의례복보다는 실용적인 목적으로 입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계절에 따라 홑이나 겹, 또는 누비로 만들어 입었다.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에는 ‘습아(褶兒)’가 ‘텰릭’으로 소개되어 있기도 하지만, 『세종실록』에서는 ‘철릭(帖裏)’과...유형분류의복
- 면포단습아(綿布單褶兒)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이다. 소매 형태나 길이, 고름의 크기 등이 다양했으며, 이로써 의례복보다는 실용적인 목적으로 입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계절에 따라 홑이나 겹, 또는 누비로 만들어 입었다.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에는 ‘습아(褶兒)’가 ‘텰릭’으로 소개되어 있기도 하지만, 『세종실...유형분류의복
- 노걸대(老乞大)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重刊老乞大)』라는 이름으로 간행하였다. 중종대에 최세진이 ‘산개본’을 번역한 이후에 그가 번역한 판본이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없어져서 사역원에서 이를 다시 언해하였다. 즉, 1670년(현종 11)에 사역원의 한어 역관들이 ‘산개본’을 언해하여 『노걸대언해(...상위어잡학(雜學), 역학(譯學), 한학(漢學) | 관련어『박통사(朴通事)』
고서·고문서(526)
- 老乞大諺解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老乞大諺解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老乞大諺解辭典 박성훈 편저 태학사 파주 2009 전문사전; 한국어학 국어사;; 중...대표표제어老乞大諺解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중간노걸대언해(重刊老乞大諺解)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중간노걸대언해한언문(重刊老乞大諺解漢諺文)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조선시대 역학서:1670_노걸대언해(上)_ 姓이 李개니 이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노걸대언해 258 1670_노걸대언해(上) 姓이 李개니 이 1670노걸대언해上14b.jpg 姓이 李개니 이 小人의 어믜 동의게 난 아이오 이 姓이 趙개니 이 내 이우지라 네 이 姑舅의게 난 弟兄이어니 누구 어믜 오라븨게 난 식이며 누구 아븨 누의게 난편명1670_노걸대언해(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670_노걸대언해(上)_ 네 몬져 믈 길라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노걸대언해 258 1670_노걸대언해(上) 네 몬져 믈 길라 1670노걸대언해上31b.jpg 네 몬져 믈 길라 가라 우리 둘히 잇그러 가마 그리쟈 나 믈 길라 가노라 네 가져 오라 내 앗가 이 귀유 안해 두 드렛믈 기러시니 들을 먹이라 이 은 믈 잘...편명1670_노걸대언해(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기초학문(1)
- 노걸대언해류 제판본 번역의 문제에 관한 연구(1)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맹주억, 게재일 : 200633710 맹주억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학연구회 2006 노걸대언해류 제판본 번역의 문제에 관한 연구(1)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6
주제어사전(3)
-
노걸대언해 / 老乞大諺解 [언어/언어/문자]
고려시대부터 전해온 중국어 학습서인 『노걸대』 언해서. 사절의 왕래나 상인의 교역에 필요한 중국어 회화책이다. 작자와 간행연대는 미상이나 『통문관지(通文館志)』의 기록에 의하면 조선 현종 때 정상국(鄭相國)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책은 이에 앞서 간행된 최세진(崔世珍)
-
신석노걸대언해 / 新釋老乞大諺解 [언어/언어/문자]
이 1763년에 운각(芸閣:교서관)에서 목판으로 간행되었다. 이 중 유독 『신석노걸대언해』만이 부재하는 사실이 기이하다. 틀림없이 변헌은 한어본(漢語本)만 수정, 간행하였고, 언해본은 그 이전부터 내려오던 판본을 그대로 사용하였거나, 현존 『중간노걸대언해』와 차이가 거
-
신석박통사언해 / 新釋朴通事諺解 [언어/언어/문자]
(俗音)은 18세기 북경지방 중국어음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경서정음』·『중간노걸대언해』 등 18세기에 간행된 다른 한학서들과 함께 당시 북경어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