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노강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

사전(3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논산군지(論山郡誌)』(논산군, 1976) 충남 논산시 광석면 오강리에 있는 서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30호. 1675년(숙종 1)에 윤황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
    연계항목노강서원(魯岡書院)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를 지내고 있으며, 제품은 4변(籩) 4두(豆)이다. 재산으로는 전답 2,000여 평 등이 있다. 『전고대방(典故大方)』 『지(誌)』 경북 고령군 다산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에 있는 서원. 경기도 기념물 제41호.1695년(숙종 21)에 숙종 15년의 민비 폐출 때 죽음으로써 이를 충간하였던 박태보를 기리기 위해 노량진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 윤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평을 들었다. 영광의 용계사우(龍溪祠宇), 영동의 초강서원(草江書院), 노성의 ()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팔송봉사(八松封事)』가 있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선조실록(宣祖實錄)』
    이칭별칭 덕요(德耀)| 팔송(八松)| 문정(文正)
  • 윤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서로는 『명재유고』‧『명재의례문답(明齋疑禮問答)』‧『명재유서』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1722년(경종 2) 소론파 유생 김수구(金壽龜)‧황욱(黃昱) 등의 상소에 의해 복직되었다. 홍주의 용계서원(龍溪書院), 노성(魯城)의 (...
    이칭별칭 자인(子仁)| 명재(明齋), 유봉(酉峰)| 문성(文成)

고서·고문서(8)

  • 1851년 안동(安東) 여강서원() 향회소(鄕會所)통문(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이 통문은 묵계서원에 합향하던 운천 김용의 위패를 후손들이 공의를 기다리지 않고 사사로이 모셔가려고 함에 후손들을 책벌하고 향후 방도를 강구하기로 했다는 내용이다. 안동의 묵계서원은 응계 옥고(1382~1436)와 보백당 김계행(1431~1521), 그리고 운천 김용(...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77131 B077131 동래 東萊 정치행정 高宗實錄 八年(1870) 三月 고종실록_10803020_004 、驪州江漢祠、江華忠烈祠、廣州顯節祠、金浦牛渚書院、抱川龍淵書院、果川四忠書院、陽城德峰書院、果川、高陽紀功祠。 忠淸道: 連山遯巖書院、鴻山彰烈祠、淸州表忠祠、魯城...
    출처전거高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일이 임박했음을 알 게 되었으며 보리밥도 베불리 먹게 하지 못 해 죄송하다는 말을 전하고 있다. 與李就甫(日成) 29 李日成에게 보낸 편지이다. 仁仲의 말에 의하면 에서 우리 玉成書院에서 보 낸 편지 중에 ‘取笑’ 두 글자를 잘못으로 지적 하고 있다는 말을...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포헌선생문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번 읽어 보았으나 儒家의 『食經』이라고 할 만한 『中庸』보다 못하다고 서술하고 있으며, 퇴계 이황의 『理學通錄』 初刊本을 우연히 구해 보았다는 소식을 전하고 있다. 卷三 呈御史請旌故裵孝子文 (1) 安東府의 孝子 故 裵經을 旌閭해 줄 것을 御史에게 청하는...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유금강소기(遊金剛小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吉) 등과 교유하였으며, 조익(趙翼)‧김상헌(金尙憲) 등에게도 배웠다. 글씨에도 뛰어났는데, 특히 해서를 잘 썼다. 좌찬성에 추증되었으며, 연산(連山)의 구산서원(龜山書院), 노성(魯城)의 (), 석성(石城)의 봉호서원(蓬湖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저술로...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신익성(申翊聖)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기타자료(1)

  • (한국교육의 맥16) 명재 윤증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한국교육의 맥16) 명재 윤증과 (한국교육의 맥16) 명재 윤증과 (한국교육의 맥16) 明齋 尹拯과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통사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완기, 김대백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5)

  • / [교육/교육]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오강리에 있는 서원. 1675년(숙종 1)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윤황(尹煌)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2년(숙종 8)에 ‘노강(魯岡)’이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윤문거(尹文擧)를 추가 배향하였다

  • / [교육/교육]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에 있는 서원. 1695년(숙종 21)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숙종 15년의 민비(閔妃) 폐출 때 죽음으로써 이를 충간(忠諫)하였던 박태보(朴泰輔)를 기리기 위해 노량진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97년에 조윤벽(趙潤璧) 등의 청액소(請額疏)로

  • / [교육/교육]

    경상북도 고령군 다산면 송곡리에 있는 서원. 1712년(숙종 3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시열(宋時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권상하(權尙夏)·한원진(韓元震)·윤봉구(尹鳳九)·송환기(宋煥箕)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 호계서원 / 虎溪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서원. 1573년(선조 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李滉)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월곡면 도곡동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으며, 이 때에는 여강서원()이라고 하였다. 1620년(광해군 12)에 김성일(金誠一)과 유성

  • 안동병산서원 / 安東屛山書院 [교육/교육]

    룡(柳成龍)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존덕사(尊德祠)를 창건였고, 이곳에 위패를 모셨다. 1620년(광해군 12)에는 유림의 공론에 따라 이황(李滉)을 모시는 여강서원()으로 유성룡의 위패가 옮겨지게 되었다. 그 뒤 1629년(인조 9) 별도로 유성룡의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