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널무덤” 에 대한 검색결과 30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0)

사전(24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硏究院, 1987) 遼寧朝陽十二台營子靑銅短劍墓(朱貴, 考古學報 1960年 1期) 寧城縣南山根石槨墓(遼寧省昭烏達盟文物工作站 外, 考古學報 1973年 3期) 부여 송국리 돌 충남 부여군...
    이칭별칭석상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류이며, 나무널을 감싸는 돌덧〔石槨墓〕과 대비된다. 나무널이 피장자를 담아 운반할 수 있는 작은 것인데 비해서 덧널은 다량의 목재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너무널과 달리 덧널 내부의 규모는 나무널과 부장품을 함께 넣을 수 있는 공간을 마련...
    이칭별칭목곽묘|목곽봉토분|목곽분|나무곽 무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具]이 있는 종류는 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관용적으로는 나무널[木棺]과 나무덧널[木槨]을 사용했어도 이미 부패해 존재유무를 확인하기 곤란한 때에는 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은 인류사회에 있어 가장 원초적이고 보편적인 묘제로서 세계적으로...
    이칭별칭토광묘
  • 돌덧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무널〔木棺〕을 불편 없이 쉽게 넣을 수 있을 정도의 공간 및 규모를 지니고 그 안에 피장자의 착장품 외의 부장유물을 갖추고 있으면 돌덧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대규모인 것도 구덩식〔竪穴式〕이면 모두 덧널로 보는 학자들이 있다. 그 반면에 구덩식과 굴...
    이칭별칭석곽묘
  • 외덧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봉분 안에 피장자가 안치된 덧널이 하나만 설치된 고분. [내용] 단곽분(單槨墳)이라고도 한다. 고신라 돌무지덧〔積石木槨墳〕과 가야지역의 구덩이식돌덧〔竪穴式石槨墳〕 등 매장 주체부가 구덩이식덧널로 되어 있는 삼국시대 고분의 한
    이칭별칭단곽분(單槨墳)

고서·고문서(4)

  • 영양 화천동 폐사지 비편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
    형태와 판독되는 문자들을 통해 禪師塔碑로 추정하고 있다. 국립경주박물관, 2002, 『문자로 본 신라』, p.255국립경주박물관, 1993, 『경주 동방동 기와 가마터: 부록 1. 영일 대각리 돌덧 부록 2. 영양 화천동 폐사지』 國立慶州博物館, 2002, 『文字...
    연대. | 서체해서 | 소재지국립경주박물관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 중 1매. 금관총은 1921년 9월 경주시 노서리 현지점에서 가옥공사 중 우연히 발견된 돌무지덧(積石木槨墳)이다. 사적 제39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금관총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된 이유는 신라유물의 대명사처럼 인식되어 있는 화려한 금관 일습이 한국에서...
    자료명순금제 대금구 수하풍금구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중 1매. 금관총은 1921년 9월 경주시 노서리 현지점에서 가옥공사 중 우연히 발견된 돌무지덧(積石木槨墳)이다. 사적 제39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금관총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된 이유는 신라유물의 대명사처럼 인식되어 있는 화려한 금관 일습이 한국에서...
    자료명순금제 대금구 수하풍금구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중 1매. 금관총은 1921년 9월 경주시 노서리 현지점에서 가옥공사 중 우연히 발견된 돌무지덧(積石木槨墳)이다. 사적 제39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 금관총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된 이유는 신라유물의 대명사처럼 인식되어 있는 화려한 금관 일습이 한국에서...
    자료명순금제 대금구 수하풍금구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멀티미디어(4)

기타자료(10)

  • 비교적 양호한 1~3호 돌덧은 공사시 훼손이 불가피한 관계로 자문위원회의 결과에 따라 공사구간 내 부지를 확보하여 복원하였다. 2004.08~2004.09 Ⅰ.조사경위 / Ⅱ.유적의 위치와 조사단 구성 / Ⅲ.고고학적 배경 / Ⅳ.조사내용 1.유적현황과 조...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세종대학교박물관/(주)대원글로벌스포츠 | 발굴지역경기도
  • 단양 현곡리 고려고분군 -중앙고속도로 건설구간(영주-제천간) 문화재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적 배경 / Ⅲ.조사내용 1.고려시대 1)돌덧[석곽묘(石槨墓)] (1)1호 돌덧 (2)2호 돌덧 (3)3호 돌덧 (4)4호 돌덧 (5)5호 돌덧 (6)6호 돌덧 (7)7호 돌덧 (8)8호 돌덧 (9)9호 돌덧 (10...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서울시립대학교박물관/한국도로공사 | 발굴지역충청북도
  • 하남 광암동 유적 –덕풍~감북간 도로확‧포장공사 4차구간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유적현황과 조사방법 2.백제 돌방무덤 1)1호 돌방무덤 2)2호 돌방무덤 3.신라 돌덧 1)1호 돌덧 2)2호 돌덧 3)3호 돌덧 4)4호 돌덧 5)5호 돌덧 6)6호 돌덧 7)7호 돌덧 8)8호 돌덧 9)9호 돌덧...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세종대학교 박물관/하남시 | 발굴지역경기도
  • 시대 유구와 유물 1)집터 2)불땐자리 3)움 4)도랑 2.삼국시대 유구와 유물 1)1호 도랑 3.고려시대 유구와 유물 1)1호 돌덧 2)2호 돌덧 4.조선시대 무덤 5.수습유물 / Ⅳ.조사결과 종합 고려시대 유구로는 돌덧 2기가 발견되었다. 유적...
    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충북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 대전 노은동 유적 -대전 월드컵경기장 건립지역-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굴조사 Ⅰ.A-1지구 1.구석기시대 2.청동기시대 1)집자리 2)움무덤 3)움구덩 3.삼국시대 1)숯가마터 4.고려시대 이후 1)집자리 2)움무덤 3)돌덧 4)독무덤 5)움구덩 5.그밖의 유구 1)불땐자리 2)주검구덩 6.지표채집 유물 Ⅱ.A-2지구 1.구석기시대...
    발행연도2003 | 발굴기관한남대학교중앙박물관/대전광역시종합건설본부 | 발굴지역대전광역시

주제어사전(48)

  • / [역사/선사시대사]

    선사시대부터 쓰이던 분묘의 일종으로 지하에 구덩이[土壙]를 파고 직접 유해를 장치하는 장법(葬法). 평면형태는 방형·장방형·원형·타원형이 있다. 일반적으로 널[棺]이나 덧널[槨]과 같이 일차적으로 유해를 보호하는 시설[葬具]이 있는 종류는 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 石棺墓 [역사/선사시대사]

    깬돌이나 판돌을 잇대어 널을 만들어 사용한 무덤. 석관묘의 형식은 매장시설에 사용된 석재의 성격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첫째, 벽·뚜껑·바닥을 1매씩의 판석으로 조립한 전형적인 상형석관(箱形石棺)이다. 바닥은 대부분 판석을 사용하했다. 그러나

  • 돌덧 / [역사/선사시대사]

    있을 정도의 공간 및 규모를 지니고 그 안에 피장자의 착장품 외의 부장유물을 갖추고 있으면 돌덧이라고 부를 수 있다. 그리고 대규모인 것도 구덩식〔竪穴式〕이면 모두 덧널로 보는 학자들이 있다. 그 반면에 구덩식과 굴식의 구분은 통로나 입구 여부에 따른 개념으로,

  • 돈화금구돌 / 敦化金溝-- [역사/선사시대사]

    중국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돈화시(敦化市) 흑석향(黑石鄕) 금구촌(金溝村)에 있는 청동기시대 돌. 흑석향 금구촌은 돈화시에서 북동쪽으로 32㎞쯤 떨어져 있는데, 마을 동남쪽 산골짜기 입구에는 금구하(金溝河, 黑石河)가 흐른다. 무덤은

  • 단양안동리석관묘 / 丹陽安東里石棺墓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북도 단양군 매포읍 안동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석관묘 유적. 단양안동리석관묘의 출토유물들로 미루어 볼 때 우리나라 돌의 연대는 청동기시대의 상한연대인 서기전 700년을 크게 상회하기는 어렵다고 보는 것이 통설이다. 이러한 돌은 그 뒤 수 매의 판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