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널뛰기” 에 대한 검색결과 2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3)

사전(1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쳐서 떨어져 나가는 것으로 낙을 삼으니 이것을 초판희라고 한다.”라고 하여 설날 풍속의 하나로 를 소개하고 있다. 이어서 주황(周煌)의 ≪유구국기략 琉球國記略≫의 “그곳 부녀들이 널빤지 위에서 춤을 추는데 이를 판무(板舞)라 한다.”라는 기록을 인용하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긴 널빤지의 중간을 괴어 놓고 양쪽 끝에 한 사람씩 올라서서 번갈아 뛰어 오르는 놀이.
    정의긴 널빤지의 중간을 괴어 놓고 양쪽 끝에 한 사람씩 올라서서 번갈아 뛰어 오르는 놀이.[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neolttwigi | MR표기nŏlttwi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미 섣달 그믐 무렵부터 즐기기 시작하여 대보름 무렵까지 즐긴다. 연날리기는 섣달 그믐 무렵부터 시작하여 대보름까지 즐긴다. 보름날의 연은 액연(厄鳶)이라 하여 멀리 날려보낸다. 원래 보름날 이후에는 연을 날리지 않는 것이다. 그밖에 설날 무렵 윷놀이‧‧승경도놀이...
    이칭별칭설날|원일(元日)|원단(元旦)|원정(元正)|원신(元新)|원조(元朝)|정조(正朝)|세수(歲首)|세초(歲初)|연두(年頭)|연수(年首)|연시(年始)|신일(愼日)|달도(??)|구정(舊正)
  • 근대신어 : 시소(씨-소)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3380 시소 사항 씨-소 seesaw ‘널’(板跳)(두 사람이 긴 판자의 양쪽 끝에 타고 서로 번가라 뛰는 놀음), , 널板子 ‘널’(두 사람이 긴 판자의 양쪽 끝에 타고 서로 번갈아 뛰는 놀음), , 널판자 ...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예술감각] 여가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시소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올라앉아 한번씩 번갈아가며 오르내리는 것을 즐긴다. 원리는 우리의 와 비슷하나 는 서서 뛰며 상대의 몸무게에 따라 받침을 옮길 수가 있다. 그러나 시소는 받침대로부터의 거리와 이에 올라앉는 사람의 무게에 따라 평형이 좌우되므로 이를 잘 조정해야 즐...

고서·고문서(75)

  • 02777 잡가 가요집성(歌謠集成) 12045 1965 李昌培 弘仁文化社 李基玉 7000원 [191] 〈ch〉널뛰자 널뛰자 새해맞이 널뛰자 [①] 만복(萬福) 무량(無量) 소원성취(所願成就) 금년(今年) 시절(時節)이 좋을씨...
    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07222 창가 表情遊戱唱歌集 第3集 22107 1937년 車士白 中央保育學校 栢木藻三郞 金煥 定價壹圓 〈mn〉오선악보〈/mn〉 〈#14〉 쿵덩 쿵덩 자미잇어요 올라간 줄 생각하면 또한 빨리 아래로 아래라고 생각하면 또한...
    구분창가 | 편저자車士白
  • 09585 창가 동요 300 22184 〈mn〉오선보〈/mn〉 〈#242〉 〈o〉가사 없음〈/o〉
    구분창가
  • 08987 창가 강신명 아동가요곡선 300 22172 〈#351〉 쿵덕 쿵덕 올랏다 내렷다 섬둑 저고리 다홍치마 펄럭 퍼얼럭 치맛자락 날니며 휘익 쿵덕 잘도뛰누나 쿵덕 쿵덕 소샀다 내렷다 노랑 저고리 남―치마 팔랑 파알랑 붉은 댕기 날니며 휘...
    구분창가
  • 02573 잡가 韓國歌唱大系 12044 1976 李昌培 弘人文化社 李基玉 18,000원 [195] 널뛰자 널뛰자 새해맞이 널뛰자. [①] 만복무량(萬福無量) 소원성취(所願成就) 금년시절...
    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구술자료(6)

  • 풀풀 풀무야/하는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널뛰기하면서 부르던 소리가 없었느냐는 조사자의 질문에 <풀무소리>를 떠올렸다. 노래는 부르는 이는 널의 가운데에 서서 넘어지지 않도록 이 쪽 저 쪽을 딛으며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최인식은 널 가운데 서 있는 흉내를 내며 이 노래를 불렀다.
    조사일시2009. 2. 4(수) | 조사장소강원도 정선군 여량면 봉정리 마을회관 | 제보자최인식
  • 풀풀 풀무야/하는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널뛰기하면서 부르던 소리가 없었느냐는 조사자의 질문에 <풀무소리>를 떠올렸다. 노래는 부르는 이는 널의 가운데에 서서 넘어지지 않도 록 이 쪽 저 쪽을 딛으며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최인식은 널 가운데 서 있는 흉내를 내며 노래를 부른 후, 옆에서 자꾸 거드는 ...
    조사일시2009. 2. 4(수) | 조사장소강원도 정선군 여량면 봉정리 마을회관 | 제보자김옥녀
  • 여천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A면의 \'여수 의 진도아리랑\'은 B면의 \'진도아리랑\', \'\', \'개타령\', \'술비소리\'와 연결된다. 3) 음질 상. 노젓는소리 가래소리 고기세는소리 닻감는소리 상량소리 달구소리 배돌리는소리 모찌기소리 상사소리 논매기소리 허렁타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복개
  • 여천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A면의 \'여수 의 진도아리랑\'은 B면의 \'진도아리랑\', \'\', \'개타령\', \'술비소리\'와 연결된다. 3) 음질 상. 노젓는소리 가래소리 고기세는소리 닻감는소리 상량소리 달구소리 배돌리는소리 모찌기소리 상사소리 논매기소리 허렁타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임귀수
  • 여천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A면의 \'여수 의 진도아리랑\'은 B면의 \'진도아리랑\', \'\', \'개타령\', \'술비소리\'와 연결된다. 3) 음질 상. 노젓는소리 가래소리 고기세는소리 닻감는소리 상량소리 달구소리 배돌리는소리 모찌기소리 상사소리 논매기소리 허렁타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함사순

신문·잡지(8)

멀티미디어(1)

  • 음력설 풍경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961년 2월 15일 큰 명절, 설을 맞은 사람들의 풍속을 담은 영상이다. 부산에서 차례 지내기, 성묘하기, 새 옷 입기, , 사람들로 북적이는 광복동 거리 모습 등 분주한 설 풍경을 담고 있다
    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1년 2월 22일 | 제작주한미공보원

기타자료(1)

  • (이 달의 선생님) 민속놀이 운동의 연구와 보급에 앞장선 지정춘 교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이 달의 선생님) 민속놀이 운동의 연구와 보급에 앞장선 지정춘 교사 (이 달의 선생님) 민속놀이 운동의 연구와 보급에 앞장선 지정춘 교사 교육 문헌 중등교육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윤인섭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3)

  • / [생활/민속]

    고 하여 설날 풍속의 하나로 를 소개하고 있다.

  • 밀양법흥상원놀이 / 密陽法興上元─ [생활/민속]

    을 지나던 도승(道僧)의 지시대로 당목에 짝을 지어주고 당사(堂祠)를 만들어 법고(法鼓)를 안치하고 대보름날 동제를 모시자 태평해졌다는 것이다. 놀이의 내용은 앞마당인 용왕제에 이어 지신밟기와 신랑 다루기를 한다. 다음 놀이마당에서는 윷놀이··다리밟기를 하며, 뒷

  • 유희요 / 遊戱謠 [문학/구비문학]

    유희요는 놀이의 양상에 따라서 종류를 나눌 수 있다. 놀이에 필요한 기구를 사용하여 승부를 가리는 경기유희요로는 「줄다리기노래」·「윷노래」·「장기노래」·「투전불림」 등이 있다. 승부를 가리지 않는 것으로 「그네노래」·「노래」·「연노래」 등이 있다.「강강수월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