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널뛰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3)
사전(112)
- 널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쳐서 떨어져 나가는 것으로 낙을 삼으니 이것을 초판희라고 한다.”라고 하여 설날 풍속의 하나로 널뛰기를 소개하고 있다. 이어서 주황(周煌)의 ≪유구국기략 琉球國記略≫의 “그곳 부녀들이 널빤지 위에서 춤을 추는데 이를 판무(板舞)라 한다.”라는 기록을 인용하여,...
- 널뛰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긴 널빤지의 중간을 괴어 놓고 양쪽 끝에 한 사람씩 올라서서 번갈아 뛰어 오르는 놀이.정의긴 널빤지의 중간을 괴어 놓고 양쪽 끝에 한 사람씩 올라서서 번갈아 뛰어 오르는 놀이.[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neolttwigi | MR표기nŏlttwig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미 섣달 그믐 무렵부터 즐기기 시작하여 대보름 무렵까지 즐긴다. 연날리기는 섣달 그믐 무렵부터 시작하여 대보름까지 즐긴다. 보름날의 연은 액연(厄鳶)이라 하여 멀리 날려보낸다. 원래 보름날 이후에는 연을 날리지 않는 것이다. 그밖에 설날 무렵 윷놀이‧널뛰기‧승경도놀이...이칭별칭설날|원일(元日)|원단(元旦)|원정(元正)|원신(元新)|원조(元朝)|정조(正朝)|세수(歲首)|세초(歲初)|연두(年頭)|연수(年首)|연시(年始)|신일(愼日)|달도(??)|구정(舊正)
- 근대신어 : 시소(씨-소)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33380 시소 사항 씨-소 seesaw ‘널’(板跳)(두 사람이 긴 판자의 양쪽 끝에 타고 서로 번가라 뛰는 놀음), 널뛰기, 널板子 ‘널’(두 사람이 긴 판자의 양쪽 끝에 타고 서로 번갈아 뛰는 놀음), 널뛰기, 널판자 ...출전(鮮和兩引)모던朝鮮外來語辭典[漢城圖書株式會社] | 계통분류 [예술감각] 여가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시소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올라앉아 한번씩 번갈아가며 오르내리는 것을 즐긴다. 원리는 우리의 널뛰기와 비슷하나 널뛰기는 서서 뛰며 상대의 몸무게에 따라 받침을 옮길 수가 있다. 그러나 시소는 받침대로부터의 거리와 이에 올라앉는 사람의 무게에 따라 평형이 좌우되므로 이를 잘 조정해야 즐...
고서·고문서(75)
- 널뛰기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5075 P-SDK-05075-G-M-06-02 P-SDK-05075-G-M-06-02-1 P-SDK-05075-G-M-06-02-2 널뛰기 SEESAW, NEW YEAR PASTIME FOR GIRS 널뛰기를 하며 노는 아이들의 모습이 인쇄된자료명널뛰기 | 발행처朝鮮總督府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널뛰기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5082 P-SDK-05082-P-M-04-02 P-SDK-05082-P-M-04-02-1 P-SDK-05082-P-M-04-02-2 널뛰기 ノルテギー 널뛰기를 하는 모습이 인쇄되어 있는 엽서 조선 풍속 봉투 있음. 4매 세트. 사제엽...자료명널뛰기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널뛰기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3116 P-SDK-03116-P-M-08-05 P-SDK-03116-P-M-08-05-1 P-SDK-03116-P-M-08-05-2 널뛰기 Seesaw of Chosen 조선 풍속집 봉투 있음. 8매 세트. 사제엽서 문화생활 놀이...자료명널뛰기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널뛰기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1135 P-SDK-01135-P-M-08-08 P-SDK-01135-P-M-08-08-1 P-SDK-01135-P-M-08-08-2 널뛰기 朝鮮風俗 조선풍속 봉투 있음. 8매 세트. 사제엽서 문화생활 생활 근대 한국 사...자료명널뛰기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널뛰기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1180 P-SDK-01180-P-M-08-08 P-SDK-01180-P-M-08-08-1 P-SDK-01180-P-M-08-08-2 널뛰기 seesaw of Chosen. 조선풍속집 봉투 있음. 8매 세트. 사제엽서 문화생활 놀이...자료명널뛰기 | 발행처大正寫眞工藝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6)
- 풀풀 풀무야/널뛰기하는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널뛰기하면서 부르던 소리가 없었느냐는 조사자의 질문에 <풀무소리>를 떠올렸다. 노래는 부르는 이는 널의 가운데에 서서 넘어지지 않도록 이 쪽 저 쪽을 딛으며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최인식은 널 가운데 서 있는 흉내를 내며 이 노래를 불렀다.조사일시2009. 2. 4(수) | 조사장소강원도 정선군 여량면 봉정리 마을회관 | 제보자최인식
- 풀풀 풀무야/널뛰기하는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널뛰기하면서 부르던 소리가 없었느냐는 조사자의 질문에 <풀무소리>를 떠올렸다. 노래는 부르는 이는 널의 가운데에 서서 넘어지지 않도 록 이 쪽 저 쪽을 딛으며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최인식은 널 가운데 서 있는 흉내를 내며 노래를 부른 후, 옆에서 자꾸 거드는 ...조사일시2009. 2. 4(수) | 조사장소강원도 정선군 여량면 봉정리 마을회관 | 제보자김옥녀
- 여천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A면의 \'여수 널뛰기의 진도아리랑\'은 B면의 \'진도아리랑\', \'널뛰기\', \'개타령\', \'술비소리\'와 연결된다. 3) 음질 상. 노젓는소리 가래소리 고기세는소리 닻감는소리 상량소리 달구소리 배돌리는소리 모찌기소리 상사소리 논매기소리 허렁타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복개
- 여천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A면의 \'여수 널뛰기의 진도아리랑\'은 B면의 \'진도아리랑\', \'널뛰기\', \'개타령\', \'술비소리\'와 연결된다. 3) 음질 상. 노젓는소리 가래소리 고기세는소리 닻감는소리 상량소리 달구소리 배돌리는소리 모찌기소리 상사소리 논매기소리 허렁타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임귀수
- 여천 민요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A면의 \'여수 널뛰기의 진도아리랑\'은 B면의 \'진도아리랑\', \'널뛰기\', \'개타령\', \'술비소리\'와 연결된다. 3) 음질 상. 노젓는소리 가래소리 고기세는소리 닻감는소리 상량소리 달구소리 배돌리는소리 모찌기소리 상사소리 논매기소리 허렁타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함사순
신문·잡지(8)
- 문학예술연구_1981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널뛰기 33 먹물이 진해야 글씨도 진하다 한원국 35 예술미에 대한 생각 임범송 39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1
- 장백산_1996_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룡두산 한정춘 정리 162 음력설, 널뛰기 리룡득 164 리혼시대 리광복 165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6
- 천지_1979_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이 일을 어쩌면 좋아요 고신일 39 널뛰기 배민옥 39 농사타령 리용득 40 봉친...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79
- 소년_1939_03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005, 006, 007쪽은 a파일에 포함시킬것 널뛰기 현재덕 8 낙서 현재덕 9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9
- 스포오츠_1971_02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설맞이-널뛰기 윷놀이에 얽힌 사연 나현성 23 설맞이-가정과 리크리에이션 김현태 26 아주인의 축제 제6회 아시아대회 3...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멀티미디어(1)
- 1961년 2월 15일 큰 명절, 설을 맞은 사람들의 풍속을 담은 영상이다. 부산에서 차례 지내기, 성묘하기, 새 옷 입기, 널뛰기, 사람들로 북적이는 광복동 거리 모습 등 분주한 설 풍경을 담고 있다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61년 2월 22일 | 제작주한미공보원
기타자료(1)
- (이 달의 선생님) 민속놀이 널뛰기 운동의 연구와 보급에 앞장선 지정춘 교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이 달의 선생님) 민속놀이 널뛰기 운동의 연구와 보급에 앞장선 지정춘 교사 (이 달의 선생님) 민속놀이 널뛰기 운동의 연구와 보급에 앞장선 지정춘 교사 교육 문헌 중등교육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윤인섭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3)
-
널뛰기 / [생활/민속]
고 하여 설날 풍속의 하나로 널뛰기를 소개하고 있다.
-
밀양법흥상원놀이 / 密陽法興上元─ [생활/민속]
을 지나던 도승(道僧)의 지시대로 당목에 짝을 지어주고 당사(堂祠)를 만들어 법고(法鼓)를 안치하고 대보름날 동제를 모시자 태평해졌다는 것이다. 놀이의 내용은 앞마당인 용왕제에 이어 지신밟기와 신랑 다루기를 한다. 다음 놀이마당에서는 윷놀이·널뛰기·다리밟기를 하며, 뒷
-
유희요 / 遊戱謠 [문학/구비문학]
유희요는 놀이의 양상에 따라서 종류를 나눌 수 있다. 놀이에 필요한 기구를 사용하여 승부를 가리는 경기유희요로는 「줄다리기노래」·「윷노래」·「장기노래」·「투전불림」 등이 있다. 승부를 가리지 않는 것으로 「그네노래」·「널뛰기노래」·「연노래」 등이 있다.「강강수월래」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