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너도밤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3)
사전(23)
- 너도밤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향문사, 1982) 너도밤나무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나무 높이가 20m에 달하며, 줄기는 곧게 자라서 원추형의 나무 모양을 이루고, 나무 껍질은 회백색으로 평평하고 매끄러우며, 꽃은 5월에 핀다. 울...
- 근대신어 : 너도밤나무(山毛柜)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07921 너도밤나무 나항 山毛柜 山毛柜의 皮를 刻하야 너도밤나무의 껍질에 새겨 장지연 만국사물기원역사 1 1909 8 41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5, 229면 동식광물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계통분류 [사회생활] 동식광물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너도밤나무(山毛欅)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07922 너도밤나무 나항 山毛欅 西曆一千四百四十年에荷蘭人羅連拉斯가山毛欅의皮刻야 서력 1440년에 네덜란드인 로렌스 얀스준이 너도밤나무의 껍질에 새겨 張志淵 萬國事物紀原歷史 1 皇城新聞社 19...출전萬國事物紀原歷史[皇城新聞社] | 계통분류 [사회생활] 동식광물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대하동의솔송나무섬잣나무및너도밤나무군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울릉군 서면 대하리에 있는 솔송(率松)나무‧섬잣나무‧너도밤나무의 군락지. 천연기념물 제50호. 면적 145,786㎡. 솔송나무와 섬잣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이고, 너도밤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일본에서는 흔...
- 근대신어 : 라우렌스(羅連拉斯)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12432 라우렌스 라항 羅連拉斯 荷蘭人 羅連拉斯가 山毛欅의 皮를 刻하야 네덜란드인 라우렌스가 너도밤나무의 껍질을 깎아서 장지연 만국사물기원역사 1 1909 8 41 개화기 국어 어...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주제어사전(3)
-
너도밤나무 /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NAK.) T. LEE. [과학/식물]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울릉도 특산으로 높이 300∼900m에 분포하며, 나무높이가 20m에 달한다. 줄기는 곧게 자라서 원추형의 나무모양을 이루고, 나무껍질은 회백색으로 평평하고 매끄럽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원저(圓底) 또는 넓은
-
솔송나무 / Japanese Hemlock|Siebold Hemlock [과학/식물]
울릉군 서면 태하리의 태하동 솔송나무·섬잣나무·너도밤나무 군락이 천연기념물 제50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꽃은 4∼5월에 피며, 암꽃과 수꽃이 한 나무에서 피는 암수한그루다. 열매는 2년생 가지 끝에서 아래를 향해 달린다. 어린나무는 어두운 숲속에서도 생육이 가능
-
울릉 사동 흑비둘기 서식지 / 鬱陵 沙洞─棲息地 [지리/인문지리]
되었다. 그러나 덩굴성 목본이 많고 너도밤나무·섬피나무·섬고로쇠나무 등의 순림(純林)과 섬잣나무·솔송나무 등이 무성하며 해안 주변에는 후박나무의 노거수가 산재하여 흑비둘기의 훌륭한 서식지가 되고 있다. 울릉도에서 처음으로 흑비둘기가 알려진 것은 1936년 일본인 학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