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69)
사전(58)
- 내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방에서 선발되어 각 군문(軍門)에 대령하고 있던 취고수도 내취라 하였다. 중앙의 악사들은 황천익(黃天翼)에 초립을 썼으며, 지방의 악사들은 흑천익(黑天翼)에 초립을 썼다. 정조 때부터 원래 선전관청에 속했던 내취, 즉 황내취(黃內吹)를 원내취(元內吹)라 하고,...
- 내취정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내취군의 담당 악기와 명단을 적어 놓은 책. [개설] 조선 후기에 내취들이 연주한 악기와 악기편성, 그리고 담당 인원수 및 담당했던 사람들의 명단을 적어 놓은 책이다. [서지적 사항] 책의 크기는 27 × 16.1cm이며,...
- 내취(內吹)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취 내취 內吹 세악수(細樂手), 취고수(吹鼓手), 취라치[吹螺赤] 가전내취(駕前內吹), 가후내취(駕後內吹), 세악내취(細樂內吹), 외취각인(外吹角人), 외취라치[外吹螺赤], 원내취(元內吹), 취타내취(吹打內吹), 황내취(黃內吹), 흑내취(黑內...상위어세악수(細樂手), 취고수(吹鼓手), 취라치[吹螺赤] | 하위어가전내취(駕前內吹), 가후내취(駕後內吹), 세악내취(細樂內吹), 외취각인(外吹角人), 외취라치[外吹螺赤], 원내취(元內吹), 취타내취(吹打內吹), 황내취(黃內吹), 흑내취(黑內吹) | 동의어내취각인(內吹角人) | 관련어겸내취(兼內吹), 내취라치[內吹螺赤], 선전관청(宣傳官廳)
- 겸내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금위영‧어영청‧용호영(龍虎營) 등에 분속된 병사. [내용] 지방에서 징집된 내취(內吹 : 궁중 취타대)의 취고수(吹鼓手)이다. 내취는 조라[照羅赤, 또는 詔刺赤]라고도 하여 선전관청에 소속된 군악대였다. 이들 중 서울
- 겸내취(兼內吹)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겸내취 겸내취 兼內吹 세악내취(細樂內吹), 세악수(細樂手), 원내취(元內吹), 취고수(吹鼓手), 취타내취(吹打內吹), 황내취(黃內吹), 흑내취(黑內吹) 문화예술/음악 직역 조선후기 이숙희 ...관련어세악내취(細樂內吹), 세악수(細樂手), 원내취(元內吹), 취고수(吹鼓手), 취타내취(吹打內吹), 황내취(黃內吹), 흑내취(黑內吹)
고서·고문서(506)
- 喪威日錄【喪內娶婦之儀.】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DM_00102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一 昏禮 喪威日錄【喪內娶婦之儀.】 喪威日錄【喪內娶婦之儀.】 이익(李瀷, 1681~1763)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宋趙德明謝於求粟之日,具粟百萬於京師,詔使來取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40_0530 宋趙德明謝於求粟之日,具粟百萬於京師,詔使來取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七月七日,一鑑亭 申丈攜二瞽能吹者,乘舟相過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70 詩集 卷七 ITKC_MP_0597A_0070_040_0130 七月七日,一鑑亭 申丈攜二瞽能吹者,乘舟相過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권차명詩集 卷七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其巧設名目,以歸官橐者,悉行蠲減。乃就諸條,刪其濫僞,以輕民賦。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260 牧民心書 卷六 ITKC_MP_0597A_1260_020_0100 其巧設名目,以歸官橐者,悉行蠲減。乃就諸條,刪其濫僞,以輕民賦。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권차명牧民心書 卷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與李大夫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歐蘇手簡 第四卷 與李大夫 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41 與李大夫 近奉狀已達比日伏計起居佳勝旱勢如此撫字之懷想極焦勞舊見太平廣記雲以虎頭骨縋之有龍湫潭中能致雨仍須以長綆系之雨足乃取出不爾雨不止在徐與黃試之皆驗敢以告서명歐蘇手簡 | 저자구양수(歐陽脩)‧소식(蘇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신문·잡지(4)
- 조선공업협회회보_1936_04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朝鮮景氣と其のに將來就て 1 자료 鮮內工業會社の異動-9月中 18 자료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6
- 조사월보_1937_08-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조선시장통계(소화11년) 식산국 49 조선내취인소사업개요(소화11년) 식산국 63 朝鮮に於ける失業調査...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 조사월보_1938_09-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소작조정사건처리상황조(소화12년중) 법무국 37 농작물피해상황(소화12년) 농림국 43 조선내취인소사업개요(소화12년말)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8
- 조사월보_1936_07-0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재만조선인호구급경작면적조(소화10년10월말현재) 외사과 27 조선내취인소사업개요(소화10년) 식산국 31 지세조(소화10년말현재)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6
기타자료(1)
- 고구려 고족유가 당나라에 귀부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塞驚塵 甘泉見烽火之輝 天子下徵兵之令 大周天授元年 拜公爲鎭軍大將軍行左豹韜衛大將軍 ∆壇受策 禮逾韓信 野戰頻勝 事逸張飛 ∆彼二蕃 如湯沃雪 觀玆再擧 疑是神行 長城絶飮馬之篇 萬里罷輪臺之戍 證聖元年 造天樞成 悅豫子來 彫䥴乃就 干靑霄而直上 表皇王而自得 明珠吐耀 將日月而連輝 祥龍∆遊...대표표제어고구려 고족유가 당나라에 귀부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8년(戊辰/신라 문무왕 8/고구려 보장왕 27/唐 乾封 3, 總章1/倭 天智 7)
주제어사전(5)
-
내취 / 內吹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선전관청에 소속된 악인. 국왕이 거둥할 때 또는 정전에 출좌할 때 시위한 행렬의 일원으로 군악대원에 해당한다. 원래는 선전관청에 속한 취고수만을 뜻하였으나, 뒤에는 다른 지방에서 선발되어 각 군문에 대령하고 있던 취고수도 내취라 하였다. 중앙의 악사들은
-
내취정례 / 內吹鄭例 [예술·체육/국악]
1890년대 내취군의 담당 악기와 명단을 기록한 도록(都錄). 악기와명단록. 조선 후기에 내취들이 연주한 악기와 악기편성, 그리고 담당 인원수 및 담당했던 사람들의 명단을 적어 놓은 책이다. 이 책은 내용상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첫 번째 장부터 11번째
-
김계선 / 金桂善 [예술·체육/국악]
항일기의 대금 명인(1891-1943). 호는 죽농(竹濃). 젓대의 명인이었던 최학봉(崔鶴鳳)을 사사하고 이왕직(李王職) 세악내취(細樂內吹)·이왕직 아악수 등으로 활동하였다.
-
황초립 / 黃草笠 [정치·법제/법제·행정]
각 전ㆍ궁의 별감과 사복내외시 거달, 내취 등이 행행 할 때 쓰는 갓. 누런 빛깔의 가는 대로 만들며, 위는 좁고 아래가 넓은 원통형의 모옥과 원형의 양태로 되어 있다. 모정이 평평하다.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에서는 견마배가 청의를 입고 황초립을 썼다.
-
일군색 / 一軍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장교·군병·원역의 봉급이나 급료를 관장하였던 병조 소속의 관서. 금군·호련대·내취의 보가 내던 포를 수납하여 장교를 비롯한 군병·원역의 봉급이나 급료를 조달하고 지급하는 일을 맡았다. 지급 주기는 매월, 춘추 2기, 1년에 3기, 또는 4기로 지급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