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내천부” 에 대한 검색결과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서경에 두었던 관서. [내용] 922년(태조 5)에 낭관(郎官)‧아관(衙官)‧병부(兵部)‧납화부(納貨府)‧진각성(珍閣省) 등과 함께 설치되었다. 의 관원으로는 구단(具壇) 1인, 경(卿) 2인, 대사(大舍) 2...
  • 구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서경(西京)에 두었던 관직. [내용] 922년(태조 5) 서경에 아관(衙官)ㆍ병부(兵部) 및 ()를 두고 그 이듬해 국천부(國泉府)를 두었는데, 거기에 각각 우두머리 관직으로 구단 1인씩을 두고 그 아래에...
  • 시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초의 서경(西京) 속관. [내용] 922년(태조 5)에 처음으로 낭관(郎官)ㆍ아관(衙官)ㆍ병부(兵部)ㆍ납화부(納貨府)ㆍ진각성(珍閣省)ㆍ() 등 서경관제가 갖추어질 때 낭관의 관속으로 두어졌다. 정원은 1인이다....
  • 각루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 물시계의 관측을 맡아보던 관청. [내용] 922년(태조 5) 서경(西京)에 낭관(郞官)과 아관(衙官)을 두고 병부(兵部)‧납화부(納貨府)‧진각성(珍閣省)‧() 등을 설치하였는데, 각루원이 설치된 것도 대개...
  • 아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전기의 서경(西京 : 지금의 평양) 관제. [내용] 922년(태조 5) 낭관(廊官)ㆍ병부령(兵部令)ㆍ납화부(納貨府)ㆍ진각성(珍閣省)ㆍ령(令) 등의 관부와 함께 설치되었다. 관원으로 구단(具壇) 1인, 경(卿)

고서·고문서(17)

  • 貨府卿一人大舍一人史二人 珍閣省卿一人大舍二人史二人 令具壇一人卿二人大舍二人史二人 六年倂于珍閣省 九年增置國泉部 令具壇一人卿二人大舍二人史四人 十七年增置 官宅司掌供賓客之事卿二人大舍二人史二人 都航司卿一人大舍一人史一人 大馭府卿一人大舍一人史一人 成宗九年置修書院令諸生抄書籍藏...
    출처전거高麗史 권77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時致理 後世稱休 宜其登庸列辟 歷試群公 用懋精選 咸使僉諧 自中及外 具悉朕懷 遂以金行濤 爲廣評侍中 黔剛 爲內奉令 林明弼 爲徇軍部令 林曦 爲兵部令 陳原 爲倉部令 閻萇 爲義刑臺令 歸評 爲都航司令 孫逈 爲物藏省令 秦勁 爲令 秦靖 爲珍閣省令 是皆稟性端方 處事平允 創業之始 推...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一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序]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顧余一生放倒,桑榆之報,顧不在是乎?《小學枝言》者,所以補舊注也。《心經密驗》者,所以驗之於身以自警也。從今至死之日,意欲致力於治心之術,所以窮經之業,結之以《心經》也。嗟乎!乎!嘉慶乙亥中夏之晦,書于茶山之東菴。 193 ~ 194쪽
    권차명心經密驗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僚並稱其職則匪獨今時之致理足貽後代之可稱 宜其登庸列辟歷試群公勉務精選咸使僉諧自中及外具悉朕懷 遂以韓粲金行濤爲廣評侍中韓粲黔剛爲內奉令韓粲林明弼爲徇軍部令波珍粲林曦爲兵部令蘇判陳原爲倉部令韓粲閻萇爲義刑臺令韓粲歸評爲都航司令韓粲孫逈爲物藏省令蘇判秦勁爲令波珍粲秦靖爲珍閣省令是皆禀性端方處事平...
    출처전거高麗史1卷, 世家1, 太祖1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6757 B066757 도항사 都航司 정치행정 高麗史1卷, 世家1, 太祖1 太祖元年[戊寅] 夏六月 辛酉 ... 爲內奉令韓粲林明弼爲徇軍部令波珍粲林曦爲兵部令蘇判陳原爲倉部令韓粲閻萇爲義刑臺令韓粲歸評爲都航司令韓粲孫逈爲物藏省令蘇判秦勁爲令波珍粲秦靖爲珍閣省令是皆禀性端方處事...
    출처전거高麗史1卷, 世家1, 太祖1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서경에 두었던 관서. 922년(태조 5)에 낭관(郎官)·아관(衙官)·병부(兵部)·납화부(納貨府)·진각성(珍閣省) 등과 함께 설치되었다. 의 관원으로는 구단(具壇) 1인, 경(卿) 2인, 대사(大舍) 2인, 사(史) 2인을 두었다. 923년 진각성에 병

  • 각루원 / 刻漏院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물시계의 관측을 맡아보던 관청. 931년(태조 5) 서경에 낭관과 아관을 두고 병부(兵部)·납화부(納貨府)·진각성(珍閣省)·() 등과 함께 설치되었다.

  • 구단 / 具壇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서경에 두었던 관직. 922년(태조 5) 서경에 아관·병부 및 를 두고 그 이듬해 국천부를 두었는데, 거기에 각각 우두머리 관직으로 구단 1인씩을 두고 그 아래에 경(卿)·감(監)·대사(大舍)·사(史) 등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