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자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9)
사전(239)
- 내자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392년(태조 1) 관제를 새로이 정할 때 내부시(內府寺)라 하였으나, 1401년(태종 1) 내자시로 개칭하고, 1403년에는 의성고(義成庫)를 병합하여 소관사무를 확정하였으며, 1405년 육조의 직무를 나눌 때 호조에 소속시켰다. 그 뒤 병자호란...
- 내자시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가, 태종 1년(1401)에 내자시로 개칭되었다. 1403년 의성고(義成庫)가 병합되어 담당 직무가 늘었으며, 1405년에는 6조(六曹) 가운데 호조(戶曹)에 속하게 되었다. 관원으로 정3품 정(正), 종3품 부정(副正), 종4품 첨정(僉正), 종...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내자시(內資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자시 내자시 內資寺 호조(戶曹) 내부시(內府寺), 의성고(義成庫), 내섬시(內贍寺), 사온서(司醞署)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고동환 1401년(태종 1) 1882년(고종 19)...상위어호조(戶曹) | 관련어내부시(內府寺), 의성고(義成庫), 내섬시(內贍寺), 사온서(司醞署)
- 내자시공인(內資寺貢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자시공인 내자시공인 內資寺貢人 공인(貢人) 내자시(內資寺), 각사자판(各司自辦), 사주인(私主人), 대동법(大同法), 선혜청(宣惠廳) 경제재정 직역 대한민국 조선시대 조선시대 최주희 대동법 시행상위어공인(貢人) | 관련어내자시(內資寺), 각사자판(各司自辦), 사주인(私主人), 대동법(大同法), 선혜청(宣惠廳)
- 내섬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겪고 난 뒤의 재정 궁핍을 타개하려는 의도로 용관(冗官)을 줄이면서 일시적으로 내자시(內資寺)를 병합했다가 얼마 뒤에 다시 분리하였다. 1800년(정조 24) 4월에 다시 국가의 재정 지출을 줄이기 위해 혁파, 호조 소속의 공상육사(供上六司) 가운데...
고서·고문서(140)
- 內資寺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20_0100 內資寺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內資寺僉正(申公)墓碣銘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十七 墓碣銘 16 內資寺僉正(申公)墓碣銘 17_071_050.jpg 內資寺僉正(申公)墓碣銘 內...銘: 초1‧초국2‧중규1‧중공2에는 “內” 앞에 “通訓大夫行”이 더 있음. 公諱汝樑, 字士幹, 姓申氏, 高靈人。 高祖文忠公諱叔舟, 相光廟, 勳業載...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爾乃自時洛邑,尙永力畋爾田,天惟畀矜爾,我有周,惟其大介賚爾,迪簡在王庭,尙爾事,有服在大僚。”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550 尙書古訓 卷六 ITKC_MP_0597A_0550_050_0140 爾乃自時洛邑,尙永力畋爾田,天惟畀矜爾,我有周,惟其大介賚爾,迪簡在王庭,尙爾事,有服在大僚。”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권차명尙書古訓 卷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대선(大船)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2379 B042379 대선 大船 경제산업 東萊府啓錄 권7 1870년 11월 18일 ...目島止泊倭大船一隻無弊經夜是如而鹽浦止泊船五隻想是自馬島同發大船之分漂者而包伊萬戶之以大船二隻飛船三隻率爾擧論殊涉爽實是如馳報爲白有旀.二十九日寅時到付同*僉使馳報內子時到付蔚山府使馳通內目島浦止...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선(大船)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2381 B042381 대선 大船 경제산업 東萊府啓錄 권7 1870년 11월 18일 ... 大船一隻無弊經夜是如而鹽浦止泊船五隻想是自馬島同發大船之分漂者而包伊萬戶之以大船二隻飛船三隻率爾擧論殊涉爽實是如馳報爲白有旀.二十九日寅時到付同*僉使馳報內子時到付蔚山府使馳通內目島浦止泊倭大船...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4)
-
내자시 / 內資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실에서 소용되는 각종 물자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왕실에서 사용되는 쌀·국수·술·간장·기름·꿀·채소·과일 및 내연직조(內宴織造) 등을 관장하는 한편, 왕자를 낳은 왕비의 권초(捲草)를 봉안하였다.
-
박세무 / 朴世茂 [종교·철학/유학]
1487(성종 18)∼1564(명종 19).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신동, 아버지는 중검, 어머니는 이관식의 딸이다. 1531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내자시정, 내섬시정, 군자감정을 역임하였다. 괴산의 화암서원에 제향 되었다.
-
김심 / 金諶 [종교·철학/유학]
1445(세종 27)∼1502(연산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내자시유 해, 아버지는 참의 우신, 어머니는 지청풍군사 이계충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다.1474년(성종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79년에는 좌랑으로서 문과중시에 을과로 급제하
-
김제신 / 金悌臣 [종교·철학/유학]
1438(세종 20)∼1499(연산군 5).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관찰사 자지, 아버지는 내자시윤 해, 어머니는 동지총제 성개의 딸이다. 1462년(세조 8) 식년 문과에 정과로 급제해 승문원권지정자, 집의, 좌승지, 예조참판, 병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
-
성수침 / 成守琛 [종교·철학/유학]
1493(성종 24)∼1564(명종 19). 조선 중기의 학자. 득식 증손, 할아버지는 충달, 아버지는 세순이다. 어머니는 김극니의 딸이다. 조광조의 문인으로 1519년(중종 14)에 현량과에 천거되었다. 내자시주부, 예산현감, 토산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