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내의원” 에 대한 검색결과 4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44)

사전(32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 뒤 1443년(세종 25) 6월에 이조(吏曹)에 계청(啓請)하여 내약방을 이라 칭하였는데, 관원 16인을 두고 3품은 제거(提擧), 6품 이상은 별좌(別坐), 참외(參外)는 조교라 하였다. 따라서, 이때에 이르러 비로소 독립관제로서의 이 설치된 것이다. ...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에 왕의 의료를 담당하던 관서.
    정의조선시대에 왕의 의료를 담당하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Naeuiwon | MR표기Naeŭiw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국(內局), 내약방(內藥房), 약원(藥院), 약방(藥房) 어약(御藥), 전의감(典醫監), 전의사(典醫司), 태의원(太醫院)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조선 조선 김성수 1...
    동의어내국(內局), 내약방(內藥房), 약원(藥院), 약방(藥房) | 관련어어약(御藥), 전의감(典醫監), 전의사(典醫司), 태의원(太醫院)
  • 의약동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 소속의 의관. [내용] 약을 진공(進供)하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1673년(현종 14)에 설치되었다. 정원은 12명으로, 당상관‧당하관을 막론하고 어의(御醫)라 칭했다. 의술(醫術)에 정통할 경우 양반들이 맡기도...
  • 내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 소속의 당하(堂下) 의관. [내용] 당상(堂上) 의관은 어의(御醫)라 하였다. 내의(內醫) 가운데 의술이 정통한 자는 어의로 특별히 차출해 동반(東班)으로 자리를 옮겨 임무를 맡겼는데, 이런 경우는 겸관(兼官)이...

고서·고문서(113)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20_017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춘추일기 약방(春秋日記 藥房)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종년간(1850~1863) ()에서 업무내용을 기록한 18책의 약방일기(藥房日記)이다. 일기의 내용은 약방에서 날마다 수행한 업무를 날짜순으로 기록한 것이다. 이 일기의 작성주체인 약방(藥房)의 정식 명칭은 ‘()’이며, 내국...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799년 8월 22일 주서(注書) 류이좌(柳台佐) 전교축(傳敎軸) - 초기(草記)1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799년(정조 23) 8월 22일, 에서 국왕에게 올린 초기이다. 이 초기는 당일 입직한 주서인 류이좌가 편철해 놓은 전교축에 포함되어 있던 것이다.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초기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초기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약방일기(藥房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매일의 업무내용을 기록한 3책의 관청일기(官廳日記)이다. 기록기간은 1839년(헌종 5), 1840년(헌종 6)과 1909년(융희 3)이다. 작성주체인 약방(藥房)은 왕의 약을 조제하던 관서이다. 정식 명칭은 ()으로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약방일기(藥房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매일의 업무내용을 기록한 10책의 관청일기(官廳日記)로 헌종 8년(1842)과 철종(哲宗)년간(1850~1863)의 기록이다. 이 일기의 작성주체인 약방(藥房)은 왕의 약을 조제하던 관서이다. 정식 명칭은 ‘()’으로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3)

  • 식에 대한 로력최고쏘베트상임의원회 제령 승인 6. 로련정부-로련내각 형성 7. 로련최고제도형성 8. 로련의법원문에 개정보충을 가할 편즙위원회선거 로련쏘베트는 회순의 첫 문제- 로련최고쏘베트심사위원회 선거에 넘어갔다. 보치까로브의 제의에 의하여 로련최고쏘...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625_01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선로동당, 북조선직업총동맹, 북조선농민동맹, 북조선민주청년동맹, 북조선여성동맹 □든자들은 각기조선의 민주주의자주독립을 전취함에 있어서 제안이 얼마나 적□하며 정당한 것인가에 대하여 열렬한 토론을 하였다. 전체들은 토론이 계속될때마다 우레같은 박수로서 찬동의...
    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1122_02 | 날짜1947년 11월 22일 | 책임주필서창동
  • □□ 발현되었다. 이 애국심은 쏘베트 인민으로 하여금 자기 조국의 발흥을 위하여 위대한 업적을 쌓게 하였으며 수천 수만 명의 쏘베트 인사들을 하층 인민으로부터 높은 처소에 올려 세□다. 보통 농민으로부터 국가 활동가-쏘련 최고 쏘베트 이 된 유명한 꼴호즈원 페라뽄...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619_02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주제어사전(23)

  • /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때 왕의 약을 조제하던 관서. 조선 건국초에 반포한 관제 중에는 그 이름이 없으나, 태종 때 왕실의 내용약을 맡은 기관으로서 내약방이 있었다. 그 뒤 1443년(세종 25) 6월에 이조에 계청하여 내약방을 이라 칭하였는데, 관원 16인을 두고 3품은

  • 부봉사 / 副奉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봉상시· 등 여러 관서의 정9품 관직. 봉상시에 1인, 에 2인, 군기시(軍器寺)에 1인, 군자감(軍資監)에 1인, 제용감(濟用監)에 1인, 선공감(繕工監)에 1인, 관상감(觀象監)에 3인, 전의감(典醫監)에 4인, 사역원(司譯院)에 2인, 풍저

  • 의약동참 / 議藥同參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소속의 의관. 약을 진공하는 업무를 담당하였다. 1673년(현종 14)에 설치되었다. 정원은 12명으로, 당상관·당하관을 막론하고 어의라 칭했다. 의술에 정통할 경우 양반들이 맡기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은 어약(御藥) 조제를 맡았기 때문에,

  • 겸전의 / 兼典醫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태의원 의관. 1894년 종래의 을 태의원으로 개편하면서 두었다. 정원은 4인이며, 직급은 판임관으로 주임관인 전의의 하위직이었다. 1895년 관제개정 때 전의보로 개칭되었다가 1896년에 폐지되었다.

  • 동변군사 / 童便軍士 [사회/사회구조]

    조선시대 에 속하였던 노비. ≪육전조례≫에 그 정수는 3인으로 되어 있다. 의약서에 따르면 동변은 12세 미만의 아이들 오줌으로, 허로·빈뇨·유정·장양·보음, 인후구설의 창종에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 이것을 조달하기 위하여 소속시켰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