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9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458)
사전(4,568)
- 내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내의원(內醫院) 소속의 당하(堂下) 의관. [내용] 당상(堂上) 의관은 어의(御醫)라 하였다. 내의(內醫) 가운데 의술이 정통한 자는 어의로 특별히 차출해 동반(東班)으로 자리를 옮겨 임무를 맡겼는데, 이런 경우는 겸관(兼官)이...
- 내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내의원(內醫院)의 의원. 伯兄主自七月初四卒得類中風之.卽用針藥 且有上命 送內醫救療 今幾平復 而此間憂悶爲如何, 홍경신(洪慶臣), 3-5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내의(內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의 내의 內醫 내의원(內醫院), 의녀(醫女) 내의녀(內醫女) 간병의(看病醫), 초학의(初學醫) 정치행정/관직·관품 직역 한희숙 [정의] 조선시대 내의원에 소속된 의...상위어내의원(內醫院), 의녀(醫女) | 동의어내의녀(內醫女) | 관련어간병의(看病醫), 초학의(初學醫)
- 내의사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초기 정사 논의의 관청으로 추측되는 내의성의 관원. [내용] 내의사인이 기록에 처음 보이는 것은 『고려사』 백관지(百官志)에 930년(태조 13) 내의사인을 두었다는 간단한 기록이다. 그러나 내의사인이 소속된 내의성이 언제 설치되었...
- 내의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 초기 중앙최고행정관청인 삼성의 하나. [내용] 조칙(詔勅)의 초안을 만들어 왕에게 상주하는 일을 맡아 보았으며, 그 장관으로 내의령(內議令)을 두고 그 아래 내의사인(內議舍人)을 두었다. 982년(성종 1)에 내...
단행본(3)
- 재중조선인 디아스포라문학연구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김호웅... | 출판사 : 연변대학출판사 | 출판일 : 2010.09.분야문학 | 유형단행본상화 제3절 재만조선인 소설문학의 기수-안수길과 그의 소설 제4절 륙도하기슭의 선바위-김창걸과 그의 소설 제5장 1932~1945년의 문학 3-동북과 관내의 문학 제1절 동북항일유격구
- (조선시대 궁중회화 2) 조선 궁궐의 그림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미술사학과 교수), 윤진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5.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궁중 장식화의 세계 (1) 궁궐 실내의 그림 장식 전통 (2) 장엄과 위의 (3) 길상과 장생 (4) 태평과 복락 (5) 동궁과 교육
- 역주 헌릉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김덕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42. 입역 43. 향탄산 44. 조포사 45. 속사 46. 능내의 지명 47. 동구 바깥의 촌락 48. 위전 49.
논문(1)
- 1812년 洪景來의 亂으로 본 朝淸관계 [一國 硏究의 벽을 넘어서: 朝鮮 코리아 연구에 대한 혁신적 글로벌 패러다임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저자 : Seonmin Kim | 게재정보 : 中國學報유형논문
고서·고문서(3,100)
- 內醫院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20_0170 內醫院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鳳來儀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世宗實錄樂譜 世宗莊憲大王實錄 卷第一百四十 鳳來儀 鳳來儀 정인지(鄭麟趾) 1 樂譜 / 鳳來儀 / 前引子 ⊙ 前引子 樂譜 / 鳳來儀 / 進口號 ⊙ 進口號 【念我祖宗德盛功隆載篤其慶誕膺成命于萬斯年赫赫昭宣永言嘆嗟維以遂歌】 樂譜 / 鳳來儀 / 與民樂譜 ⊙ 與民樂譜 【歌辭...서명世宗實錄樂譜 | 저자정인지(鄭麟趾)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내의사랑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내의사랑 조 여자 경상북도 청송군 흑룡강성(黑龙江省) 아성현(阿城县) 옥천진 조선소학교 4 1 내의사랑, 애국가,...대표표제어내의사랑 | 성씨조
- 御葬内儀次第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41000682014100068_036 御葬内儀次第 궁내청 공문서관 85018 0012 1 문서 1919년 궁내성 1919.99.99 고종의 장례식 절차이다. 이왕무 2015. 01...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1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조선 국내의 소요 [개항기 한국관련 독일외교문서 탈초·번역·DB 구축 | 고려대학교]정치·법제 문헌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번역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김재혁 조선 국내의 소요 Sternburg Caprivi 1893.04.23 1893.06.13 베이징 베를린 No.63 A....대표표제어조선 국내의 소요 | 발신자Sternburg | 수신자Caprivi | 발신지베이징 | 수신지베를린
구술자료(76)
- 아내의 치성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설화구연이 제보자와 청중의 교류가 활발하여 즐거운 분위기에서 이루어 졌다. 특히 김기열 제보자는 교훈을 강조하는 이야기를 주로 구연 하였다. 구연을 시작할 때도 적극적이어서 민요구연이 끝난 후에 설화 구연 유도를 위해 노랑 병든 며느리의 이야기를 해달라고 요청하였는...조사일시2011. 2. 18 (금) | 조사장소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성남 3리 경로당 | 제보자김기열
- 아내의 지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에 이어서, 한번만 더 해 달라고 졸랐더니, “아가씨들 앞에서 이런 얘기 자꾸 해서는 안되는데….” 하면서 이 이야기를 했다. 조사자가 마을의 상가에 가서 상여소리를 녹음하기로 했기 때문에 이 이야기를 끝으로 경로당에서의 조사를 모두 마쳤다.*조사일시1983-07-21 | 조사장소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 제보자김응화
- 감내의 지명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밀양군내의 여러 전설들을 두루 잘 알고 있는 눈치여서, [설화 8]을 끝낸 뒤에 계속 이야기하도록 해서 들은 것이다. 그러나, 이 이야기에 대해서는 별로 자신이 없는 듯,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지 못하는 것을 미안하게 생각하는 듯했다. *조사일시1981-01-12 |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군 상남면 | 제보자신현희
- 코 큰 사내의 망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시 제보자를 향해 외설스런 얘기라도 괜찮다며 청했다. 제보자는 꺼내기를 사양했으나 거듭 조사자가 부탁하자 “그런 얘기라도 수록헐라요?”하며 채록 여부를 물은 뒤, 얘기를 시작했다. *조사일시1985-03-31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 | 제보자송영철
- 원님 아내의 명판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이야기가 끝나자, 한 차례 음료수를 대접하였다. 그러고 나자 “금방 한 것과 비슷한 거이 있는데 한 자리 더 하지요.”하면서 자청해서 이야기를 시작했다. *조사일시1984-02-19 | 조사장소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 제보자원우송
기초학문(84)
- 우리나라 內部者去來의 情報效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찬웅, 게재일 : 199810877 김찬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증권학회 1998 우리나라 內部者去來의 情報效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유형논문 | 게재일1998
- 일제강점기 光州邑城 內의 경관변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정규, 게재일 : 201344762 조정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남도문화연구소 2013 일제강점기 光州邑城 內의 경관변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고려 초기 內議省의 성립과 운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수정, 게재일 : 201546092 신수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학회 2015 고려 초기 內議省의 성립과 운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외국인 아내의 재해지 지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70947 한국연구재단 서울대 일본연구소 2013 외국인 아내의 재해지 지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기업내의 지식형성과 기업성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기성, 게재일 : 200209584 박기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노사관계학회 2002 기업내의 지식형성과 기업성과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4,017)
- 飛來義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계쟈 본 황셩금부후동 살다가 미국 칼이포니아도이들낸시 디동 한인공립회학안상학은 뎨국신문샤쟝좌하에 올니나니다 미국잇 한국동포가 오명인데 타국인은 다공령가잇셔 학을보호 우리한인은 공령가업셔셔 보호명입거슨 불가형언이어니와 오작 한인공립협회가잇셔셔 ...게재일1906년 10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伊侯來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이번에 이등방문씨 건너오난 명의난 일로젼시에 한국국경을 소요케일을 위문고 한국셔 셰번이나 일본에 대 보낸일에 야 답례이라더라게재일1905년 11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상공안내의 발행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상공안내의 발행 1917년 8월3일 평양 평양 평양상업회의소에서 최근 평양상공안내라는 책자를 발간하여 회원들에게 배부...대표표제어상공안내의 발행 | 연월일1917년 8월3일 | 지역평양
- 성내의 시장세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대한매일신보 성내의 시장세 1910년 1월12일 서울 서울 경성상업회의소에서 성내 시장세 문제에 관한 실지 조사를 행함 h...대표표제어성내의 시장세 | 연월일1910년 1월12일 | 지역서울
- 皇儲丹立內意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근일에 쳥국 셔태후가 루루이 말기를 가 졍치에 간여은 본의가 아니여날 외국인등은 나에게 야 잘못다는을 가진쟈가 잇는듯니 속히 황태를 봉코쟈 다고 엿다더라게재일1902년 12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47)
- 전투를 마친 맹호부대 장병들의 휴식 및 생활에 관련된 상황과 국내의 파월장병가족돕기운동을 보여준다.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66년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1966년 1월 8일부터 1월 11일까지 우리나라와 일본 간 공동규제수역과 전관수역 내의 어로작업을 빙자해서 물물교환에 의한 밀수행위가 성행하고 있다는 풍설의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밀수사범특별 합동수사반이 해군 함정PCEC 55함인 옥포함에 승선하여 대마도부터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66년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가야인 생활체험촌 조성부지 내 김해 봉황동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ss1-0004_#1 유구 도면 1. 김해시내의 유적 위치도 2015-02-13_4.282779E-02_도면 1. 김해시내의 유적 위치도.jpg ss1-0004_#2 유구제목가야인 생활체험촌 조성부지 내 김해 봉황동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2013-04-21_0.2105371_도면5.제방절개 ATr.동벽(1) 및 BTr.서벽(2) 층위도.jpg c4-0022_#3 유구 사진22.제방절개ATr.내부 1차 제방토 내의 지엽부설 노출 모습(서북) 2013-04-21_0.4303553_사진제목당진 합덕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김해대성동고분군Ⅲ - 전시관부지의 발굴조사 및 47∙52호분 - ss1-0058_#1 유구 도면 1. 김해시내의 유적 위치도 2014-11-26_0.9755976_도면 1. 김해시내의 유적 위치도.jpg ss1-0058_#2 유구 도제목김해대성동고분군Ⅲ - 전시관부지의 발굴조사 및 47∙52호분 -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562)
- 이내의;李來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2651 남한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1-35 양정 제6호 1930 88면 1. 양정교우회 회원명부;1) 통상회원;(8) 제1학년 갑 (74명) 이내의;李來儀 (원적)충남 논산군 양곡면 남산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양정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내의;朴來義;산전내의;山田來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1356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청주공립농업학교동창회원명부 1943―02―28 54면 박내의;朴來義;산전내의;山田來義 제24회 1939년 3월 5일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본 도내의 교육공해 상황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본 도내의 교육공해 상황 본 도내의 교육공해 상황 교육 문헌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총류 교육론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낙주 | 사료철명교육충남
- 직장내의 인간관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직장내의 인간관계 직장내의 인간관계 職場內의 人間關係 교육 문헌 현대 초등교육 교사문화 중등교육 교사문화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기용 | 사료철명부산교육
- 53. 조선 내의 일본인 인구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53. 조선 내의 일본인 인구 n°14. Population Japonaise en Corée E, N 사회, 국제 문헌 근대 조선 고서/고문서 조선 내의 일본인 인구에 대한 보고 조선총독부, 일본인 인구, 서울, 제물포, 부산항 프랑...집필자A. 게랭, 서울 주재 프랑스 영사 | 작성연도1918년 | 작성월일2월 19일 | 발신자A. 게랭, 서울 주재 프랑스 영사 | 수신자G. 두메르그, 프랑스 수상 겸 외무부 장관
연구과제(66)
-
필리핀 내의 한국학의 중추: 태동에서부터 제도화 까지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Fernando Aldaba | Ateneo de Manila University | 2016 | 국외 | 해외
-
독일 내의 사회과학으로서 한국학 교육과 연구의 강화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Hannes Mosler | Universitaet Duisburg-Essen (Universität Duisburg-Essen) | 2023 | 국외 | 해외
-
스리랑카 켈라니야대학교 한국학센터 설립에 관한 연구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Meemure Gunananda Thero | University of Kelaniya | 2014 | 국외 | 해외
-
스리랑카 지역의 한국학 교육/연구/확산 기반 구축: 캘라니야대학교를 중심으로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김진량 | University of Kelaniya | 2015 | 국외 | 해외
-
국립 필리핀 대학교 내 한국학 연구소 설립 및 연구활동을 통한 한국학 교육자료 개발 및 과목 개설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Eduardo T. Gonzalez |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 2015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381)
-
내의 / 內醫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내의원 소속의 당하 의관. 당상 의관은 어의(御醫)라 하였다. 내의(內醫) 가운데 의술이 정통한 자는 어의로 특별히 차출해 동반(東班)으로 자리를 옮겨 임무를 맡겼는데, 이런 경우는 겸관(兼官)이라 하였다. 의약동참(議藥同參)과 침의(鍼醫)는 당상, 당하관
-
내의원 / 內醫院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때 왕의 약을 조제하던 관서. 조선 건국초에 반포한 관제 중에는 그 이름이 없으나, 태종 때 왕실의 내용약을 맡은 기관으로서 내약방이 있었다. 그 뒤 1443년(세종 25) 6월에 이조에 계청하여 내약방을 내의원이라 칭하였는데, 관원 16인을 두고 3품은
-
홍경래의 난 / 洪景來의 亂 [역사/조선시대사]
1811년(순조 11) 홍경래·우군칙 등이 일으킨 대규모 농민반란사건. 1811년 12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약 5개월간에 걸쳐 일어난 반란이다. 이듬해 관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
기신론내의약탐기 / 起信論內義略探記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태현이 『대승기신론』의 주요 내용을 해설하여 1261년에 간행한 불교서. 『기신론고적기(起信論古迹記)』라고도 한다. 이 책은 대의(大意)와 탐의(探義)의 2부로 구성되어 있다. ‘대의’에서는 『기신론』을 지은 내력을 밝히고, ‘탐의’는 『기신
-
새털옷신랑설화 / [문학/구비문학]
아내의 초상화로 인해 임금에게 아내를 빼앗긴 남자가 새털옷 때문에 다시 찾게 되었다는 내용의 설화. 문헌설화는 허균(許筠)의 『성수패설(醒睡稗說)』에 수록되어 있으며, 구전설화는 일찍이 손진태(孫晉泰)가 1933년평안북도 강계에서 채록한 것이 있다(무가 일월노리푸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