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약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
사전(19)
- 내약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약(宮內御藥)을 취급하던 봉의서(奉醫署)의 제도에 따라서 건국과 함께 왕실내의 의약을 전담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 보이는데, 독립된 것은 아니고 전의감(典醫監)에 속해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것은 1408년(태종 8) 12월 내약방의원 평원해(平原海: 일...이칭별칭약방(藥房)|내의원(內醫院)
- 내약방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초기 왕이 쓰는 약재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정의조선 초기 왕이 쓰는 약재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Naeyakbang | MR표기Naeyakp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약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시대의 관서. [내용] 궐내의 약방으로서 의약에 관한 일을 맡아보았다. 742년(경덕왕 1)에 보명사(保命司)로 고쳤다가 765년(혜공왕 1)에 다시 약전으로 하였다. 소속관원으로는 사지(舍知) 2인과 사(史) 6인, 종사지(從舍知) ...
- 성담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시사(時事)에 대한 소를 올리자, 왕이 친히 불러 그 진의를 묻고 내약방(內藥房)의 약재를 하사하여 포상하였다. 그 뒤 홍문관교리에 이르렀으나 곧 사직하고 성리학의 연구에 힘썼다. [저술활동] 저서로는『정재집』이 있다.이칭별칭 인수(仁?)| 정재(靜齋)
- 권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신사 유사눌(柳思訥) 등과 공모하여 내약방(內藥房)에 들여보낸 사건으로 의금부에 하옥된 뒤 외방으로 유배되었으나, 곧 풀려나 직첩을 환급받았다. 『고려사(高麗史)』 『태종실록(太宗實錄)』
고서·고문서(7)
- 춘추일기 약방(春秋日記 藥房)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內局)⋅내약방(內藥房)⋅약원(藥院) 등으로도 불렸다. 이 일기는 1책이 1년분의 기록이며, 내용의 첫머리에는 그 해에 있었던 특별한 업무만을 뽑아 요약해 두었다. 대전⋅대왕대비전⋅대비전⋅왕대비전 등 국왕을 비롯해서 왕실에 올린 약방의 문안 기록이 많...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약방일기(藥房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국(內局)⋅내약방(內藥房)⋅약원(藥院) 등으로도 불렀다. 총 3책의 필사본(筆寫本)으로 한 책당 1년분의 내용을 기록하였다. 제 1책(1839, 憲宗 5)과 제 2책(1840, 憲宗 6)은 헌종대의 기록이며 마지막 제 3책(1909, 隆熙 3)은 순...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약방일기(藥房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국(內局)⋅내약방(內藥房)⋅약원(藥院) 등으로도 불리었다. 총 10책의 필사본(筆寫本)으로 1년분의 기록이 한 책을 이룬다. 제1책부터 9책까지는 1850년(哲宗 1), 1852년(哲宗 3), 1853년(哲宗 4), 1854년(哲宗 5), 1856년...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349 B004349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7年 6月 10日_009 ○內醫院官員, 以都提調意啓曰, 內藥房湯藥使令, 在平時, 以二十八名, 分定書員·庫直·酒房·香匠之任, 其餘則藥房入直, 晝夜不離。 又有看病·採藥·出使等役, 奔走無暇, 而只給料米六斗·步兵木一...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雜說 第九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夢叟曰:“凡疹藥,皆不拘時溫服。” ○“凡藥,入甘ㆍ桔ㆍ牛旁者,皆徐徐服之。” ○“藥料斤兩,壯者以一兩半爲準,以次遞減,至弱者以五六錢爲準,而等分諸料。” 秋冬 之異 夢叟曰:“向來藥方皆是,六七月間,所口號其方。能於暑月而多有不合於冬者,氣候隨變故也。治蛔之方ㆍ發表之法,八九月則與夏月猶...권차명麻科會通 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2)
-
내약방 / 內藥房 [과학기술/의약학]
조선 초기 왕이 쓰는 약재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1392년(태조 1) 7월에 반포된 관제 중에는 그 이름이 없고 어느 때부터 시작되었는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고려 말 궁내어약을 취급하던 봉의서(奉醫署)의 제도에 따라서 건국과 함께 왕실내의 의약을
-
내의원 / 內醫院 [과학기술/의약학]
조선시대 때 왕의 약을 조제하던 관서. 조선 건국초에 반포한 관제 중에는 그 이름이 없으나, 태종 때 왕실의 내용약을 맡은 기관으로서 내약방이 있었다. 그 뒤 1443년(세종 25) 6월에 이조에 계청하여 내약방을 내의원이라 칭하였는데, 관원 16인을 두고 3품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