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시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9)
사전(24)
- 내시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전기 궁궐의 경비와 왕의 신변보호를 맡아보던 시위군. [내용] 동일한 성격의 내금위(內禁衛)가 먼저 설치되어 있었으나, 인원이 부족하다 하여 1409년(태종 9)에 새로 내시위가 구성된 것이다. 이들은 모두 120인으로 40...
- 삼위(三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삼위 삼위 三衛 2군(二軍), 6위(六衛), 좌우위(左右衛), 신호위(神虎衛), 흥위위(興威衛), 내금위(內禁衛), 내시위(內侍衛), 별시위(別侍衛) 정치사법/치안 집단 기구 대한민국 차인배 ...관련어2군(二軍), 6위(六衛), 좌우위(左右衛), 신호위(神虎衛), 흥위위(興威衛), 내금위(內禁衛), 내시위(內侍衛), 별시위(別侍衛)
- 금병(禁兵)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금병 금병 禁兵 금군(禁軍), 시위(侍衛), 호위(扈衛), 숙위(宿衛), 수문(守門), 갑사(甲士), 무예별감(武藝別監), 내시위(內侍衛), 내금위(內禁衛), 우림위(羽林衛), 겸사복(兼司僕), 내사복(內司僕), 궁궐, 군영(軍營)...관련어금군(禁軍), 시위(侍衛), 호위(扈衛), 숙위(宿衛), 수문(守門), 갑사(甲士), 무예별감(武藝別監), 내시위(內侍衛), 내금위(內禁衛), 우림위(羽林衛), 겸사복(兼司僕), 내사복(內司僕), 궁궐, 군영(軍營)
- 정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411년 동지총제(同知摠制)가 되었고, 그의 노모가 광주(光州)에 있었기 때문에 1414년 전라도병마도절제사에 보임되었다. 1416년 전라도병마도절제사로서 수군병마도절제사를 겸하였고, 이듬해에 전라도관찰사가 되었다. 1418년(세종 즉위년) 내시위...
- 홍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방면되어 이듬해 동지총제(同知摠制)에 승진되었다. 1418년(세종 즉위년) 태종이 양위하면서 군직을 개편함에 따라 내시위 1번절제사(內侍衛一番節制使)가 되고 이어 상왕(上王)과 세종이 모화루(慕華樓)에서 명나라 사신들을 송별할 때에 별운검총제(別雲劒...
고서·고문서(54)
- 거도(擧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强自踰墻潛給, 雖未捧價, 乃是倭人之過也。 然其銀子甚多, 多數失價擧島憤怨。 依該曹所啓, 遣京官推之爲當。 接見事, 其人委來之事, 旣不能依願, 自上接見, 則似當矣。 其人雖欲速還, 若不從近發還, 接見與押宴中, 觀勢爲之何如?” 答曰: “知道。”출처전거中宗實錄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則乃是倭中所生, 不無後日難處之憂。 欣福父子, 姑令本道監禁以待之意, 全羅監司處, 密爲移文, 何如? 答曰, 姑置之, 可也。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則乃是倭中所生, 不無後日難處之憂。 欣福父子, 姑令本道監禁以待之意, 全羅監司處, 密爲移文, 何如? 答曰, 姑置之, 可也。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自上亦必知之矣。 壽興曰, 國家若入江都, 則各各軍門, 當分定所守, 而國家若不入, 則本府軍餉未輸之物亦多, 以些少軍兵, 不可守備矣。 兩局所屬, 乃侍衛缺不可分守江都, 而外方上番軍, 似難推移, 然南方若缺七八字許未知何如也。 金錫胄曰, 儲蓄所在, 不缺外方軍定送, 可矣。 上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國家若入江都, 則各各軍門, 當分定所守, 而國家若不入, 則本府軍餉未輸之物亦多, 以些少軍兵, 不可守備矣。 兩局所屬, 乃侍衛缺不可分守江都, 而外方上番軍, 似難推移, 然南方若缺七八字許未知何如也。 金錫胄曰, 儲蓄所在, 不缺外方軍定送, 可矣。 上曰, 然。 師錫曰, 四行缺 上曰...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정로_1946_0321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사 토지개혁실행위원회, 조선공산당 지난 3월 17일에 황해도 안악읍에서는 안악군 농민들이 뫃여 토지개혁실행위원회를 개최하고 토지개혁령실시에 관하야 열렬한 토의를 거듭한 결과 아래와 같은 선서문을 발포하고 이어서 시내시위행렬을 성대히 거행하였다. 안악군...대표표제어정로_1946_0321_04
주제어사전(2)
-
내시위 / 內侍衛 [정치·법제/국방]
조선 전기 궁궐의 경비와 왕의 신변보호를 맡아보던 시위군. 1409년(태종 9)에 새로 내시위가 구성된 것이다. 이들은 모두 120인으로 40인씩 세 번으로 나누어 숙위하였는데, 각 10인마다 총제(摠制) 1인이 절제사로서 통솔하였으며, 삼군에 소속되어 있었다. 여
-
금군 / 禁軍 [정치·법제/국방]
고려·조선시대에 설치되었던 국왕의 친위군. 조선시대 금군으로는 1407년(태종 7) 10월 종래의 내상직을 내시위(內侍衛)로 고쳤다가 다시 내금위(內禁衛)로 고쳤는데, 오위와는 별도로 무예가 특이한 자 190인으로 편성하였다. 왕과 가장 가까이에서 입직·시립·호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