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내시부” 에 대한 검색결과 3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5)

사전(15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뒤이어 이들 환관직을 맡아 보는 를 설치하고 관청의 격을 개성부(開城府)에 견주어 관원으로 판사(判事, 정2품) 1인, 검교(檢校, 종2품) 3인, 동판사(同判事, 종2품) 1인, 검교(정3품) 32인, 지사(知事, 정3품) 1인, 검교(종3품) 3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內常侍)‧내시감(內侍監)‧내승직(內承直)‧내급사(內給事)‧궁위승(宮闈丞)‧해관령(奚官令) 등과 같은 내시직이 설치되었다. 곧이어 1356년(공민왕 5)에는 전문 관청인 가 성립되었다. 이 때의 관원은 정2품 판사 1인에서, 종9품 통사(通事) 1인에 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궁중 안의 식사 감독, 왕명의 전달, 수문(守門)‧수직(守直) 및 청소의 일을 맡은 관청.
    정의조선시대 궁중 안의 식사 감독, 왕명의 전달, 수문(守門)‧수직(守直) 및 청소의 일을 맡은 관청.[두산백과] | 문광부표기Naesibu | MR표기Naesi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승전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정‧종4품 관직. [내용] 대전승전색(大殿承傳色)은 정4품 2인, 왕비전승전색은 종4품 1인을 두었으며 각기 왕과 왕비의 명령 전달을 담당하였다. 이들을 보통 ‘승전환관’ 또는 ‘승전내시’라고 불렀다.
    이칭별칭승전환관|승전내시
  • 설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의 종4품에서 정7품까지의 관직. [내용] 원래 몽고 궁중에서 쓰던 말로서 화언(華言 : 중국어)으로는 ‘조(助)’의 뜻이 있어 각 궁(宮)‧전(殿)에 배속되어 시중드는 일을 맡았다. 문소전‧대전‧왕비전‧세...

고서·고문서(114)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060 經世遺表 卷一 ITKC_MP_0597A_1060_020_022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經世遺表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乃惟孺子,頒朕不暇,聽朕敎汝。【句】 于棐民彝。汝蘉,乃時惟不永哉。篤敍乃正父,罔不若予,不敢廢乃命。汝往敬哉。玆予其明農哉。彼裕我民,無遠用戾。”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50 尙書古訓 卷六 ITKC_MP_0597A_0550_010_0090 乃惟孺子,頒朕不暇,聽朕敎汝。【句】 于棐民彝。汝蘉,乃時惟不永哉。篤敍乃正父,罔不若予,不敢廢乃命。汝往敬哉。玆予其明農哉。彼裕我民,無遠用戾。” 정약용(丁若鏞)...
    권차명尙書古訓 卷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6814 B016814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景宗實錄 元年(1721) 五月 경종실록_10105029_003 ○遣禁府都事, 拿罪人玉常于江華府。 設三省鞫, 取服正法。
    출처전거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0408 B040408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世祖實錄 三年(1457) 六月 세조실록_10306005_002 ○命判事洪得敬, 齎鹿脯、乾雉、乾大口魚、石首魚、松魚、新黍米分贈兩使。 自後每五日例贈食物。
    출처전거世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29년 오신남(吳信男) 노비매매명문(奴婢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629년(인조7) 8월 23일에 통훈대부행상촉한후창이 필요가 있어서 가의대부동지중추부사오신남에게 양부가 전에 별득한 노비 4구(내갑춘, 득추, 신남, ▣생)를 목면 2동으로 팔면서 작성한 노비거래문서이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노비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노비매매명문 | 현소장처강진 덕호사

신문·잡지(1)

  • 관들은 외국인에 대한 보호를 요청함. 개화당은 열 네 개로 이루어진 정령(政令)을 발표하였음. 이 조항은 문벌 폐지와 지조법 개혁, 폐지, 규장각 폐지, 순사제도 실시, 재정과 관련된 문제 등을 다루고 있음. 이는 청나라로부터 독립 된 조선의 권리와 의무를 담고...
    대표표제어12월5일 | 자료유형저술 | 집필자김옥균저,조일문역 | 출처갑신일록(甲申日錄)(서울:建國大學校出版部, 1977)(pp.95-100) | 키워드갑신정변, 김옥균, 박영효, 조선 개화당, 청나라

기타자료(2)

  • 남양주 호평‧평내택지개발지구 문화유적 시‧발굴조사보고서 I -조선시대 분묘군-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2.유물 / Ⅵ.맺음말 / 부록 [평내1지구] 1호분은 매몰된 묘표를 확인한 결과 이 관직을 지낸 정계동 묘소였는데, 묘소를 바라볼 때 좌측의 묘광은 정계동 것이고 우측의 묘광이 부인의 것임을 알 수 있다. 부인을 부좌(祔左)시키는 방법은 조선시대에 일관되게...
    발행연도2001 | 발굴기관경기문화재단 부설 기전문화재연구원/경기토지공사 | 발굴지역경기도
  • 庶 若有舟船到彼不執文符者 竝請切命所在推勘收捉 又去年廻易使李忠揚圓等所齎貨物 下官吏及故張寶高子弟所遺 請速發遣 仍齎閻丈上筑前國牒狀參來者 公卿議曰 少貞曾是寶高之臣 今則閻丈之使 彼新羅人 其情不遜 所通消息 彼此不定 定知 商人欲許交通 巧言攸稱 今覆解狀云 李少貞齎閻丈上筑前國牒狀...
    대표표제어신라인 이소정이 일본에 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42년(壬戌/신라 문성왕 4/발해 이진 13 咸和 13/唐 會昌 2/日本 承和 9)

주제어사전(29)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시의 일을 관장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고려 초기 내시직은 남반(南班) 7품에 한정되어 있었다. 1356년(공민왕 5)에는 전문 관청인 가 성립되었다. 이 때 관원은 정2품 판사 1인에서, 종9품 통사(通事) 1인에 이르기까지 101인에 달하였다

  • 상약 / 尙藥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의 관직. 이조에 속했던 ()의 관직으로, 궁중에서 왕비·왕녀·여관(女官) 등의 질병치료·의약관계에 종사하였는데, 정원은 2인(종3품)이었다. 종3품의 () 직명으로 의약(醫藥)의 처방과 시약(施藥)에 관한 일을 맡는다.

  • 궁위승 / 宮闈丞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말기 에 소속된 종7품 환관직. 정원은 1인이다. 1356년(공민왕 5) 환관직을 개편하면서 처음 설치되었으나, 조선시대에 들어와 가 재편되면서 이 직명은 없어졌다.

  • 사알 / 司謁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와 조선시대 액정서에 소속된 잡직. 소속 정7품, 정원 1인의 관직. 우왕 때 폐지, 공양왕때 의 복구와 함께 복설되었다. 조선의 사알은 고려제도를 계승, 가 환관직의 와 내수직의 액정서로 분립될 때에 액정서 소속이 되었

  • 상문 / 尙門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 종8품 관직. 궁궐 내의 문의 수직(守直)을 맡아 보았다. 환관으로 임명되었으며, 정원은 5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