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시교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5)
사전(65)
- 내시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내시들을 교육하고 훈도하는 책임을 맡았던 관리. [내용] 조선시대 내시들을 교육하고 훈도하는 책임을 맡았던 관리. 교관은 내시를 교육하는 것이 임무였지만, 내시부(內侍府)에 소속되어 있지는 않았으며 체아직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다....
- 왕자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왕손교부(王孫敎傅)‧내시교관(內侍敎官) 등의 권설직은 재직기간 900일이 지나면 6품관으로 승급되었다. 『고종실록(高宗實錄)』 『대전통편(大典通編)』 『대전회통(大典會通)』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박세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되자 볼모로 심양(瀋陽)에 잡혀갔다. 이때 아버지가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심관(瀋館)에 갇혀 장차 화를 당하게 되었으나, 청나라 장군에게 주선하여 화를 면하게 하였다. 본국에 돌아온 뒤 선공감역에 임명되었으나 나이가 어려서 사양하였다. 효종이 즉위하자 내시교관...이칭별칭 중오(仲五)
- 성효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였다. 이조의 천거로 내시교관(內侍敎官)에 등용되어 상서원주부ㆍ공조좌랑을 거쳐 용인현령에 이르렀다. 관직을 물러나서는 공주ㆍ인천ㆍ용산(龍山) 등지에 정자를 세워 문인생활을 하면서 호를 스스로 ‘어부(漁夫)’라고 하였다. 시문과 글씨에 뛰어났다.이칭별칭 백일(伯一)| 어부(漁夫)
- 유세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654년(효종 5) 사마시에 합격, 1675년(숙종 1) 내시교관(內侍敎官)을 비롯하여 동몽교관(童蒙敎官)ㆍ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를 거쳐 공조좌랑ㆍ군위현감을 역임하였다. 그는 효종이 죽은 뒤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문제(服喪問題)에 대하여 경상도유생을...이칭별칭 자우(子遇)| 회당(悔堂)
고서·고문서(20)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上曰, 泰輿進前, 爾邑捧糶幾許? 泰輿曰, 新條已畢捧, 舊條未捧, 至於七百餘石矣。 宗白煎入理中湯, 尙魯嘗而進之。 上進御訖曰, 雖是藥器, 銀器甚未安矣。 尙魯曰, 何未安之有。 上曰, 東萊府使下批後, 卽爲謝恩, 明朝其令辭朝。 出傳敎 上曰, 內侍敎官趙昌逵·李待令事。 出榻敎...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5969 B035969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仁祖 22年 2月 7日_011 ○有政。 以申命羲爲保安察訪, 李廷相爲禮曹佐郞, 趙汝彬爲內侍敎官, 兪榥爲校理, 許啓爲戶曹參判, 梁曼容爲副修撰, 李有淐爲黃海都事, 李晳爲平安都事, 趙景愼爲延安府使, 奇震興爲全州判...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爲定山縣監, 朴世熙爲軍威縣監, 尹敬敎爲檢詳, 李慣爲密陽府使, 李苟爲光陵參奉, 任在爲尙衣直長, 朴之相爲英陵參奉, 李升來爲居山察訪, 尹以亨爲軍資奉事, 朴泰徵爲典設別檢, 李彦紀爲內寺敎官, 朴世樑爲監察, 尹源爲宗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1996 B071996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5年 3月 20日_006 ○有政。 以柳德三爲濟州牧使, 李慣爲羅州牧使, 趙祺錫爲禮山縣監, 柳栽爲典籍, 趙泰采爲兵曹佐郞, 尹憘爲監察, 南垕爲掌樂正, 閔安道爲禮賓正, 張遇一爲司藝, 權瑎爲大司成, 李碩德爲內侍敎官...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6021 B036021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孝宗 3年 8月 19日_007 吳挺垣爲正言, 任映爲學諭, 具仁垕爲訓鍊提調, 閔鼎重爲副修撰, 閔燾爲平市令, 張遇漢爲尙州牧使, 李齊阮爲內侍敎官, 李希齡爲庇仁縣監, 韓振夏爲禮賓主簿, 成震丙爲魚川察訪, 柳潝爲軍器...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0)
-
내시교관 / 內侍敎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내시들을 교육하고 훈도하는 책임을 맡았던 관리. 교관은 내시를 교육하는 것이 임무였지만, 내시부(內侍府)에 소속되어 있지는 않았으며 체아직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다. 정원은 모두 2인이었고, 내시들의 교과목인 사서와 ≪소학≫·≪삼강행실 ≫·≪통감≫ 등을 교수하
-
왕자사부 / 王子師傅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자의 교육을 맡았던 종9품 관직. 권설직으로, 1785년(정조 9) ≪대전통편≫에 명문화됨으로써 임시로 증치된 관직이다. 품계는 종9품으로 사과 이하의 체아록을 받았다. 대군사부·왕손교부·내시교관 등의 권설직은 재직기간 900일이 지나면 6품관으로 승급되
-
윤동수 / 尹東洙 [종교·철학/유학]
1674(현종 15)∼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학자. 선거의 증손자로 자교의 아들이다. 처음 부모의 명에 따라 과시준비를 하였으나, 얼마 뒤 그 뜻을 버리고 성리학 공부에 전념하였다.1706년(숙종 32) 우의정 최석정의 추천으로 내시교관에 제수되고 승정원
-
권태일 / 權泰一 [종교·철학/유학]
1569(선조 2)∼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증 좌승지 권석충, 아버지는 내시교관 권춘계, 어머니는 경주손씨이다. 큰아버지인 집의 춘란에게 입양되었다. 구봉령의 문인이다. 1599년에는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교리, 풍기군수,
-
김신겸 / 金信謙 [종교·철학/유학]
)에 풀려나 내시교관에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강원도 영월의 산중에 들어가 산수를 즐기면서 후진 교육에 힘썼다. 저서로는『증소집』10권 5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