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43)
사전(88)
- 내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처(本處)에 돌렸다고 한다. 그러나 충목왕 때의 혁파는 일시적인 조처였을 뿐이며, 그뒤 우왕ㆍ공민왕 때에 이르면 왕의 유흥을 조장하는 관부로 변질되었다. 또 내승ㆍ내승제조(內乘提調) 및 내승별감의 비행을 탄핵하는 상소문이 자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내승의...
- 내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원래는 고려 말까지 있었던 내승도감(內乘都監)에 소속되었던 관원이었다. 이들은 어승마의 조련과 사육, 국왕의 시위(侍衛), 명령 전달 및 궁궐의 입직(入直), 내주(內廚 : 어승목장)의 관리 등을 담당하고 있었는데, 국왕의 근신(近臣)임을 빙자해 많은 폐단을...
- 內乘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1_D_0271 內乘 왕실 王師, 田園, 禾穀 恭愍王, 普虛 麗史 D_17_03_20 대동운부군옥 17권 3장 2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3장 2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내승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시대 궁궐내에서 필요로 하는 마필(馬匹)을 관장하던 관청.정의고려시대 궁궐내에서 필요로 하는 마필(馬匹)을 관장하던 관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Naeseung | MR표기Naesŭ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내승(內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승 내승 內乘 겸사복(兼司僕), 사복시(司僕寺), 내사복시(內司僕寺), 제용원(濟用院), 태복시(太僕寺), 태복사(太僕司) 정치행정/관청 직역 대한민국 조선 조선 윤훈표 사복시(司僕寺),...관련어겸사복(兼司僕), 사복시(司僕寺), 내사복시(內司僕寺), 제용원(濟用院), 태복시(太僕寺), 태복사(太僕司)
고서·고문서(642)
- 전래승중노비(傳來承重奴婢)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치부책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치부 | 현소장처부안 우반 부안김씨
- 보편광명염만청정치성여의보구인심무능승대명왕대수구다라니경(普遍光明焰鬘淸淨熾盛如意寶具印心無能勝大明王大隨求陀羅尼經)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경전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伻來毖殷,乃命寧予,【句】 以秬鬯二卣曰,‘明禋,拜手稽首,休享。’ 予不敢宿,則禋于文王ㆍ武王。惠篤敍,無有遘自疾,萬年厭于乃德,殷乃引考。王伻殷,乃承敍萬年,其永觀朕子,懷德。”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550 尙書古訓 卷六 ITKC_MP_0597A_0550_010_0150 伻來毖殷,乃命寧予,【句】 以秬鬯二卣曰,‘明禋,拜手稽首,休享。’ 予不敢宿,則禋于文王ㆍ武王。惠篤敍,無有遘自疾,萬年厭于乃德,殷乃引考。王伻殷,乃承敍萬年,其永觀朕子,懷...권차명尙書古訓 卷六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其一曰:“皇祖有訓,民可近,不可下。民惟邦本,本固邦寧。予視天下,愚夫愚婦,一能勝予。一人三失,怨豈在明?不見是圖。予臨兆民,凜乎若朽索之馭六馬,爲人上者,柰何不敬?”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580 梅氏書平 卷二 ITKC_MP_0597A_0580_030_0030 其一曰:“皇祖有訓,民可近,不可下。民惟邦本,本固邦寧。予視天下,愚夫愚婦,一能勝予。一人三失,怨豈在明?不見是圖。予臨兆民,凜乎若朽索之馭六馬,爲人上者,柰何不敬?” 정...권차명梅氏書平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明禮宮_경기도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07152 18210_0761 奎18210 明禮宮 경기도 龍面 小串里 경기도 龍面 小串里 6 6결 박내승(朴乃昇) 박내승(朴乃昇)자료번호18210_0761 [奎18210]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7)
- 尹乃陞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음력본월십륙일은 황비 삼간일인 윤영씨의령량이 피션되야 당일하오이시경에대안동별궁으로 뫼시 그분위의 졀 분시독이인 분시죵관 이인 분시종인 분쥬인 분시어인이오 부장은 쥬뎐원경위국경무관이인 경무쳥경무관이인이 각각긔마고 반를라 죵며 도로 각병...게재일1907년 1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加來勝美(-)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加來勝美(-) 인천 加來勝美 - 濱町 5 - - 좌포단(座布團),화로(火鉢)대부 대부 13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대표표제어加來勝美(-)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좌포단(座布團),화로(火鉢)대부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강원로동신문_1947_1026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947년 10월 26일 332 한성(韓星) 원산시 중앙리 37 강원로동신문사 석왕사 송천리민 금년도 세금 완납 석왕사면, 송천리 이내승, 한용구 석왕사 (석왕사) 석왕사면 송천리 열성당원 이내승 동무를 선두로 우리 당...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1026_03 | 날짜1947년 10월 26일 | 책임주필한성(韓星)
- 강원인민보_1947_1026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947년 10월 26일 323 서창훈(徐昌勳) 원산시 철산리 16번지 강원인민보사 한용수 (석왕사) 북조선 각 농촌에서 조국을 애호하여 끓어오르는 애국열을 발휘하고 있는 바 석왕사면 송촌리 인민위원장 이내승 씨를 비롯한 이민들은 1947년도...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1026_02 | 날짜1947년 10월 26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 녹기_1937_02_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醫道樹立を目指して 須江杢二郞 49 綠旗醫院の開設を祝ふ 廣兼寅雄, 木內勝男, 佐伯穆, 原藤周衛, 森田芳夫 51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기타자료(6)
- 박내승;朴來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7418 남한 경성 경성공학원 1-05 경성공학원공우회 <<공우>> 제2호 1929 56면 ㅁ2. 在學生之部;ㅁ2) 1학년 生 박내승;朴來昇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공학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내승;柳來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8440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동창회회원명부 1941―12―20 24면 유내승;柳來昇 당진군 송악면 기지시리 제6회 1931년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박내승;朴來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박내승;朴來承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朝鮮예수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양내승;梁棶承;량천래승;梁川棶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6272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111면 양내승;梁棶承;량천래승;梁川棶承 전남 보성군 득량면 송곡리 본과 제19회 1942...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문무왕이 설인귀의 편지에 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擬向平壤 熊津送粮 路上逢雪 人馬死盡 百不一歸 至龍朔二年正月 劉揔管共新羅兩河道揔管金庾信等 同送平壤軍粮 當時陰雨連月 風雪極寒 人馬凍死 所將兵粮 不能勝致 平壤大軍 又欲歸還 新羅兵馬 粮盡亦廻 兵士饑寒 手足凍瘃 路上死者 不可勝數 行至瓠瀘河 高麗兵馬 尋後來趂 岸上列陣 新羅兵士 疲...대표표제어문무왕이 설인귀의 편지에 답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1(辛未/신라 문무왕 11/唐 咸亨 2/倭 天智 10)
주제어사전(6)
-
내승 / 內乘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궁내에서 필요로 하는 마필을 관장하던 관서. 내구(內廄)를 관장하는 봉거서(奉車署)와 관계가 있으나,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마필을 관리하는 태복시(太僕寺)와는 구별된다. 1344년(충목왕 즉위년) 이를 혁파하고 그 토전(土田)과 노비를 본처(本處)에 돌렸다고
-
상승내승지 / 尙乘內承旨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액정국에 소속된 남반직의 하나. 1116년(예종 11) 상승내승지를 삼반차사, 상승부내승지를 삼반차차라 개칭하였다. 1308년(충렬왕 34)의 관제개편 기사에 보면 상승내승지를 비롯하여 초입사로 3개직이 빠져 있어, 상승내승지는 이 때 혹은 그 이전에 이미
-
태복사 / 太僕司 [역사/근대사]
구한말 임금의 거마와 조마 등을 관장하였던 관서. 1895년 종래의 태복시(太僕寺)를 개칭한 것이다. 관원으로는 주임관인 장 1인, 판임관인 주사 2인, 내승 2인을 두었으나, 내승은 곧 감원하고 주사 1인을 증원하였다. 1902년에는 주임관인 기사 1인을 증원하였다
-
내사복시 / 內司僕寺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왕의 말과 수레를 관리하던 관청. 고려시대에 내구(內廄) 관리는 상승국(尙乘局)의 여러 기능 중에 하나였으나, 조선 건국 후 내사복시의 전담기능으로 독립되었다. 관원으로는 내승(內乘) 3인이 있었는데, 1인은 사복시정이 겸임하였고, 나머지 인원도 다른 관직
-
삼반차차 / 三班借差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액정국의 남반의 초입사직 가운데 최하위직. 문종 관제에서의 상승부내승지를 1116년(예종 11)에 개칭한 것이다. 이 개칭의 이유는 전전승지·상승내승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반이나 서반에 비해 천시되던 남반의 관직에 승지라는 호칭이 어울리지 않았기 때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