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수사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16)
- 내수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司七宮)이 형성되었다. 특히 이 시기에는 무주진전(無主陳田)‧무주공한지(無主空閑地) 점탈 및 민전 침탈이 행해지면서 크게 확대되었다. 순조 연간에 편찬된 ≪만기요람≫에 의하면 내수사전은 3,797결에 달했다고 한다. 내수사전은 면세지이며 경작 농민에게는 국역(國...
- 내수사전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왕실 소유의 토지를 이르던 말정의왕실 소유의 토지를 이르던 말 | 문광부표기Naesusajeon | MR표기Naesusa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궁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접 답험(踏驗)과 수조(收租)를 하였다. 이 과정에서 창고궁사의 노(奴)가 인마(人馬)를 많이 끌고 와서 횡렴(橫斂)이 매우 심했으므로 조선 태조 연간에는 수조시에 노 1구 말 한 필로 규제하기도 하였다. 창고궁사전은 이후 내수사전으로 흡수되면서 명칭이 소멸되었...
- 처간(處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園) 즉 내수사전(內需司田)에 소속된 소작인을 지칭한다. 이 용어는 고려시대 특별 행정 구역이었던 진(津)·처(處)·장(莊) 등에서 처에 소속된 소작인을 의미하는 것이었고, 이러한 관행이 조선시대로 이어졌다. [담당 직무] 처간은 내수사전, 궁사전, 내장전, 창...관련어장정(莊丁)
- 도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내수사 및 궁방(宮房)에 소속된 관직. [내용] 내수사 및 궁방의 지역단위 토지관리책임자이다. 내수사전과 궁방전은 전국 각지에 산재하여 있었고, 그 관리를 위하여 농장마다 도장(導掌)‧궁차(宮次)‧감관(監官)‧마름[舍音] 등...
고서·고문서(8)
- 京畿道庄土文績_제46책 : 京畿道安城郡所在庄土朱熙完提出圖書文績類 1. 道光貳拾貳年三月日安城郡所在內需司田畓打量成冊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4943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46책 : 京畿道安城郡所在庄土朱熙完提出圖書文績類 46-001 1. 道光貳拾貳年三月日安城郡所在內需司田畓打量成冊 양안류 13 25.6x40.2cm 한지, 관인, ‘啓’인과 군수의 押 13장...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47책 : 京畿道通[津]郡桑串面所在尹希謇提出圖書文績類 5. 同治拾貳年-癸酉-四月日通津府所在內需司田畓量案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4976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47책 : 京畿道通[津]郡桑串面所在尹希謇提出圖書文績類 47-005 5. 同治拾貳年-癸酉-四月日通津府所在內需司田畓量案 양안류 5 23.9x35.1 한지, 관인, 부사의 押 5장, 23...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全羅道庄土文績_제6책 : 全羅北道南原郡所在庄土白時鏞提出圖書文績類 26. 嘉慶五年庚申十二月日內需司田畓案謄書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3848 奎 19301 全羅道庄土文績 제6책 : 全羅北道南原郡所在庄土白時鏞提出圖書文績類 06-026 26. 嘉慶五年庚申十二月日內需司田畓案謄書 전답성책류 24자료명全羅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忠淸道庄土文績_제7책 : 忠淸南道平澤郡所在庄土朴弘來提出圖書文績類 3. 平澤郡邑南西北西面所在內需司田畓量案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4152 奎 19300 忠淸道庄土文績 제7책 : 忠淸南道平澤郡所在庄土朴弘來提出圖書文績類 07-003 3. 平澤郡邑南西北西面所在內需司田畓量案 양안류 6 19.1x27.6 판심(平澤郡), 관인, 군수의 印章 6장, 19.1x2...자료명忠淸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47책 : 京畿道通[津]郡桑串面所在尹希謇提出圖書文績類 2. 道光十四年十一月日京畿通津府桑串面大坡面所在內需司田畓改打量案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4970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47책 : 京畿道通[津]郡桑串面所在尹希謇提出圖書文績類 47-002 2. 道光十四年十一月日京畿通津府桑串面大坡面所在內需司田畓改打量案 양안류 4 61.7x40.2 한지, 관인, 도호부사의 押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1)
- 삼월 담갑으로 국보급 본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김형원 심상덕 심봉셥 김연봉 리일셩 리동 셔계홍 양은쇠 리효식 리대복 이상각五十뎐식 合二十六圜二十전 西署仁達坊內需司前會同 슌셩 五十젼 최문완 五十뎐 최리식 四十전 김소셕 쟝우진 졍인슌 이상각三十전식 함슌 김슈보 리경한 김인창 고셩완 졍인규 김쥰 장학쥰 이상각二十...게재일1907년 3월 20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3)
-
내수사전 / 內需司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왕실 재정을 담당한 내수사에 소속된 토지. 내수사에서 관할하는 토지는 본래 본궁에 속한 토지 이외에도 내수사의 공해전(公廨田)이 있었다. 1449년에 가속군자전(假屬軍資田)에서 2,000결을 떼어 내수소에서 수세하도록 했던 것이나, 1472년(성종 3)에도
-
유토면세전 / 有土免稅田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의 내수사전 등 왕실의 사유지와 대군·군·공주·옹주 등 왕족들의 사유지. 조선 후기의 궁방전은 왕실·왕족들이 직접 지배하는 사유지와 왕실·왕족들의 지배 하에 있는 일반 민전인 수조지가 있었다. 전자를 유토면세전 또는 영작궁전(永作宮田)이라 했고, 후자의 수
-
각도각군소재목장둔토총목 / 各道各郡所在牧場屯土總目 [경제·산업/산업]
표시된 곳도 있다. 공토는 각 군마다 없는 곳이 없으며, 대부분의 군은 관둔(官屯)·봉둔(烽屯)·포둔(砲屯)·훈둔(勳屯)·친둔(親屯)·호둔(戶屯) 등의 공토가 2, 3종 있는 것이 보통이다. 특정 기관의 공토로 인정되는 것으로는 활인서답(活人署畓)·내수사전답(內需司田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