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내수사전” 에 대한 검색결과 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司七宮)이 형성되었다. 특히 이 시기에는 무주진전(無主陳田)‧무주공한지(無主空閑地) 점탈 및 민전 침탈이 행해지면서 크게 확대되었다. 순조 연간에 편찬된 ≪만기요람≫에 의하면 은 3,797결에 달했다고 한다. 은 면세지이며 경작 농민에게는 국역(國...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 소유의 토지를 이르던 말
    정의왕실 소유의 토지를 이르던 말 | 문광부표기Naesusajeon | MR표기Naesusa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궁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접 답험(踏驗)과 수조(收租)를 하였다. 이 과정에서 창고궁사의 노(奴)가 인마(人馬)를 많이 끌고 와서 횡렴(橫斂)이 매우 심했으므로 조선 태조 연간에는 수조시에 노 1구 말 한 필로 규제하기도 하였다. 창고궁사전은 이후 으로 흡수되면서 명칭이 소멸되었...
  • 처간(處干)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園) 즉 ()에 소속된 소작인을 지칭한다. 이 용어는 고려시대 특별 행정 구역이었던 진(津)·처(處)·장(莊) 등에서 처에 소속된 소작인을 의미하는 것이었고, 이러한 관행이 조선시대로 이어졌다. [담당 직무] 처간은 , 궁사전, 내장전, 창...
    관련어장정(莊丁)
  • 도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내수사 및 궁방(宮房)에 소속된 관직. [내용] 내수사 및 궁방의 지역단위 토지관리책임자이다. 과 궁방전은 전국 각지에 산재하여 있었고, 그 관리를 위하여 농장마다 도장(導掌)‧궁차(宮次)‧감관(監官)‧마름[舍音] 등...

고서·고문서(8)

신문·잡지(1)

  • 삼월 담갑으로 국보급 본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김형원 심상덕 심봉셥 김연봉 리일셩 리동 셔계홍 양은쇠 리효식 리대복 이상각五十뎐식 合二十六圜二十전 西署仁達坊會同 슌셩 五十젼 최문완 五十뎐 최리식 四十전 김소셕 쟝우진 졍인슌 이상각三十전식 함슌 김슈보 리경한 김인창 고셩완 졍인규 김쥰 장학쥰 이상각二十...
    게재일1907년 3월 20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3)

  • /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왕실 재정을 담당한 내수사에 소속된 토지. 내수사에서 관할하는 토지는 본래 본궁에 속한 토지 이외에도 내수사의 공해전(公廨田)이 있었다. 1449년에 가속군자전(假屬軍資田)에서 2,000결을 떼어 내수소에서 수세하도록 했던 것이나, 1472년(성종 3)에도

  • 유토면세전 / 有土免稅田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의 등 왕실의 사유지와 대군·군·공주·옹주 등 왕족들의 사유지. 조선 후기의 궁방전은 왕실·왕족들이 직접 지배하는 사유지와 왕실·왕족들의 지배 하에 있는 일반 민전인 수조지가 있었다. 전자를 유토면세전 또는 영작궁전(永作宮田)이라 했고, 후자의 수

  • 각도각군소재목장둔토총목 / 各道各郡所在牧場屯土總目 [경제·산업/산업]

    표시된 곳도 있다. 공토는 각 군마다 없는 곳이 없으며, 대부분의 군은 관둔(官屯)·봉둔(烽屯)·포둔(砲屯)·훈둔(勳屯)·친둔(親屯)·호둔(戶屯) 등의 공토가 2, 3종 있는 것이 보통이다. 특정 기관의 공토로 인정되는 것으로는 활인서답(活人署畓)·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