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내소주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6)
- 내소주방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내소주방과 궁장 연회 음식을 장만하는 외소주방이 있다. 癸亥十二月二十二日一中使分付內殯殿內燒廚房前面懸薦所入從實入次以薍簾條所三甲所中竹大竹等優數待令亦是置, (빈전1683/037ㄱ11~ㄴ01)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소주방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에 궁중의 음식을 만드는 주방. 내소주방과 외소주방으로 나뉘는데 안소주방[內燒廚房]은 왕ㆍ왕비의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을 비롯한 일상식을 장만하고 각종 찬품(饌品)을 맡아한다. 이에 반해 외소주방(外燒廚房)은 궁중의 잔치 음식을 장만하였다. 조선시대 말기에는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사옹원(司饔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대전·중궁전·왕세자·왕세자빈에게는 각각 수라간(水刺間)·외소주방·내소주방·생물방의 4개로 구성된 전용 주방이 배정되었다. 그리고 이 밖에 태조와 신의왕후의 혼전(魂殿)인 문소전(文昭殿), 대전 내시의 처소인 다인청(多人廳), 왕비전 다인청, 세자궁 다인청, 후궁에게도...동의어주원(廚院) | 관련어수라간(水刺間), 사옹방(司饔房), 전선사(典膳司)
- 궁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격에 따라 같을 수 없었다. 실제로 궁녀는 왕족의 사생활을 위한 일종의 사치 노예이므로, 그들을 필요로 하는 곳은 의식주로 분장(分掌)된 각 독립처소이다. 지밀(至密)‧침방(針房)‧수방(繡房)‧내소주방(內燒廚房)‧외소주방‧생과방(生果房)‧세답방(洗踏房...
- 소주방(燒廚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과 소주방을 통칭하거나 혼용하여 사용한 것이 아닌가 한다. 『[영조정순후]가례도감도청의궤([英祖貞純后]嘉禮都監都廳儀軌)』를 살펴보면, 주방·내소주방·외소주방·수라간 등 각각의 명칭이 나온다. 크게 주방과 수라간을 나누어 분석해 보면, 조리하는 공간을 만들기 위한 건...상위어궁궐(宮闕) | 동의어수라간(水剌間), 소주방(小廚房) | 관련어사옹방(司饔房), 설리방(薛里房), 어주(御廚), 주원(廚院), 천주(天廚)
고서·고문서(2)
- 추안급국안 : 경술년(1730, 영조 6) 반역사건 신문기록(1)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之而其時矣身捨所戴水桶於生物房 前爲求醋入去燒厨房是白遣順正入去建極堂之時則矣身在 內燒厨房前見之是白遣其時石禮則持首袱立於藁索中門 外亦爲見之是白遣石禮言於矣身曰尙宮作如此事若或言 出則將何以爲之云云是白遣仍言順正以矣身新入勿爲傳 說此言推矣身云云是白去乙矣身問於石禮曰角氏所言何 言云云則石禮答曰...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7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추안급국안 : 기묘년(1639, 인조 17) 나인 등 저주 사건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介坐燒厨房熟設之 處申李兩尙宮同爲監設申尙宮曰諸人中有不正者則當出云而矣身別無不正 之事故仍爲供辦申尙宮又曰彼色掌當勿招而何以來耶云而非顯語之言故矣身仍 在過祭祭撤之後來燒厨房衆會之中作粥饋之食粥後退宿于矣身之房二十 四日巴只欣介言吾等不知矣聞水賜禮今之言則申尙宮使之勿招吾等云矣身亦聽 諸人之言則...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5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기타자료(1)
- 경복궁 소주방지 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동궁인 자선당과 비현각이 자리잡고 있다. 이곳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이후 고종연간 경복궁을 재건하면서 다시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나, 임진왜란 이전에도 이곳에 소주방이 있었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는다. 소주방지 조사 결과 내소주방 본채와 동-서-남-남외행각의 건물지에 해...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국립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서울특별시
주제어사전(2)
-
내소주방 / 內燒廚房 [정치·법제]
는 내소주방과 궁장 연회 음식을 장만하는 외소주방이 있다.
-
소주방 / 燒廚房 [정치·법제]
조선 시대에 궁중의 음식을 만드는 주방. 내소주방과 외소주방으로 나뉘는데 내소주방은 왕ㆍ왕비의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을 비롯한 일상식을 장만하고 각종 찬품을 맡아한다. 이에 반해 외소주방은 궁중의 잔치 음식을 장만하였다. 조선시대 말기에는 평상시의 조석 수라상이나 다